draft (acrm 연동을 통한 초기 상담 정보 노출 (R) + STT요약)

1. 문제점 및 요구사항

1-1. 문제점

학생은 밀당에서 담당 선생님 외에 여러 명의 밀당 관계자들을 만나게 돼요. 그런데 학생 상담 기록이 판매 팀, 온보딩 팀, 온택트 팀 등 여러 팀과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어 정보 유실이 발생하고 있어요.
특히나 구두로 일어나는 녹음, 카카오톡(비정형데이터)은 수집되지 않아 정보를 활용할 수 없어요. 이후에 수업을 하며 선생님들과 상담하는 내용도 마찬가지에요.
이러한 점들이 학생 및 학부모의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있어요.

1-2. 요구사항

학생 상담 기록의 체계적인 수집공유를 통해 정보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팀 간 협업을 강화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야 해요.
11/29 요구사항 정리

2. 이번 에픽의 목표

2-1. 목표

고객과 만나는 모든 팀(판매팀, CX고객서비스팀, CX고객온보딩팀, 온택트팀 (실장, 팀장, 원장))이 고객과 만난 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어야해요.
비정형 데이터를 축적하는게 중요해요.
이 정보들을 학생 페이지에 축적할 수 있어야해요.
더 나아가면 학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볼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는걸 고려해야해요.

2-2. 문제 정의

주 고객인 학생(학부모) 유저가 우리 서비스를 경험하며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분석하지 않아 정보 유실이 발생하고, 개인 맞춤형 학습 제공이라는 서비스 가치가 선생님들의 개인 역량에 의해 제공되고 있어요.
밀당은 전국의 다양한 학생 유저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 유저들의 다양한 데이터를 한 곳에 수집해서 관리하고 있지 않아 서비스의 정보적 강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어요.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면, 밀당의 강력한 차별화 포인트로 자리잡을 수 있을거에요.)
비정형 데이터들은 수집하고 분석할 수 없어 정보가 유실되어요. 이는 선생님들이 학생과 학부모를 관리할 때 어려움이 될 수 있고, 학생과 학부모들은 밀당의 신뢰를 잃을 수 있어요.

2-3. 방향성

밀당의 주 고객인 학생(및 학부모) 유저를 관리하기 위해 특화된 데이터를 다루는 시스템을 설계해요.
타 운영팀이 잘 기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쉬운 시스템을 설계해요.
개강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파일들을 학생 정보에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해요.

2-4. 이번에 고려하지 않아야 할 것

개강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

3. 솔루션

3-1. 현황 정리 (참고 문서)

지금은 어떻게 하고 있나요?

 개강 프로세스 현황 - 학생이 경험하는 밀당 저니
판매팀은 이렇게 하고 있어요
온택트팀은 이렇게 하고 있어요
온보딩팀은 이렇게 하고 있어요
기록중인 것, 해야하는 것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록 정보
ACRM에 있는 데이터 정리 @요셉 노

3-2. 솔루션

개강 플로우 내 각 팀별 역할 및 개발 필요 시점
판매팀 업로드 기능 추가
밀당 Hub - 학생 정보 시스템

3-2-1. MVP 설정

3-2-2. 정책 문서

4. 가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