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부) AIDT 개발 마일스톤 & 체크 리스트

 능률 공유용 (이미 공유되어 있으므로 수정에 주의해주세요)

Objective: AI 디지털 교과서 검정 통과 Key Results: 자체 검정 기술서 구현율 100% 달성

일정

 최종 심사 일정 : 2024. 08. 17
자체 기술 검증 결과서 제출 : 2024.
컨텐츠 제작 입력 가능한 개발 피쳐 : 2024. 05. 30

우선순위

1순위. AI 디지털 교과서 가이드 / CSAP 만족
2순위. 선생님들이 오프라인에서 수업이 잘되는가
3순위. 출판사, 학교에서의 요구사항

FAQ

AIDT 관련 질문

태그 유형

A - 피드 시스템
A-1 (강경현, 정성대, 김우희, 김훈, 김영훈, 김창수)
차시 개념 → 검정기준 우선 잡기
보내진 피드 수정 → 검정기준 우선 잡기
그룹 단위, 모둠 단위 피드발송 → 그룹피드 캘린더?
Self 시스템 → 나만의 노트
A-2 (강경현, 염규완, 박상엽, 심규민, 이경민)
지식태그 개선
추천 선수지식태그 SA별지식태그(추천피드 연동)
그룹별 지식맵/플래닝
지식 태그 자동 판단
기존에 하드코딩 개발. 기준 정해서 재개발 필요
LRS 연동
표준 체계 시스템 개발 및 연동
기존 지식맵에 연동 및 표시 (개발)
xAPI 연동
A-3 : 대시보드 (김나래, 염규완, 심규민)
대시보드 개발
기간, 커리큘럼, 지식맵 대시보드
그룹, 개인 기준
B - 컨텐츠 & 커리큘럼
SA 구조 개선 (유민영, 이현수, 노요셉, 김지우, 박성민)
Block UI
컨텐츠 입력
새로운 타입 추가 (유현영, 김나래)
디교실이랑 커뮤니케이션 및 우선순위 논의
UDL/웹접근성 (강경현, 정성대, 김예은, 배아란)
D - 컨텐츠 관련 (서유라, 김우희, 조원우) → B-4와 합치기
컨텐츠 배포 / 권한 / 분류
MC 복제
CMS 분리 논의필요C 인프라 옮기기
C - 인프라 & 보안 (김훈, 정성대, 고준호, 강태구)
행정작업
기술작업
클라우드 전환
SSO 연동
E - AI 기능
AI 튜터 → 챗봇 (유민영, 조재우, 김영훈, 심규민, 김예은)
clova 안되면 검색엔진으로 대체
AI 보조교사 (김나래, 고준호, 심규민, 김예은)
(수업 설계 지원) 메뉴 통합
RCC 수업 관리
그룹 피드 발송
추천 학습
수업 설계 지원
피드백 작성 지원
평가 채점 지원 (정의적 영역)
진단/형성/총괄 대응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
F - 개선 (서유라, 정성대, 노요셉, 고준호)
School PT 수업화면 개선
UI 통합 개선
숨겨져있는 여러 메뉴를 단일 메뉴로 통합하는 작업
G - 분류 아직 안된것 (우선순위 확인중)
손필기
또래 교수
디교실에 아이디어 물어보기
진단 / 형성 / 총괄
커리큘럼 시스템을 그대로 쓰더라도 앞단 UI Flow (진단을 해야합니다. 등의 유즈케이스에 대응되는 화면 필요)
문제 주관, 객관, 순서 상관없이/고려, 중복 문제 제작/입력에 대한 로직
자동 채점이 아닌 주관식, 손필기 등에 대한 선생님의 별도 채점 로직 필요
자기 평가 옵션 추가
표의 반응형으로 개발
수직선 액티비티 제작
메타 정보 입력 체계 & 표준 체계 입력 체계
유닛에 대한 학습 요약 결과
Search
A-1
5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A-1
오프라인 수업 환경
유라 서
유라 서
kimcs@ihateflyingbugs.com
창수 김
kimuh@ihateflyingbugs.com
우희 김
수업 중에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기능 제공 수업 중 컨텐츠 구성 자유롭게 수정하기 실시간으로 학생들에게 바로 반영 (숨기기, 추가) → 원본 영향 받지 않음
기획중
0
2024/04/01 → 2024/04/12
2024/04/15 → 2024/05/03
2024/05/03
A-1
AIDT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김영훈
김영훈
kimcs@ihateflyingbugs.com
창수 김
학생 스스로 학습 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차시안에 포함 - 진행한 학습에 대한 복습 (오답 필터 제공) - (추 후 학생이 자습한 내용 볼 수 있어야 함)
예정
0
A-1
오프라인 수업 환경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김영훈
김영훈
kimcs@ihateflyingbugs.com
창수 김
듀데이트 단위 → 차시 LMS 에서 선생님들이 RCC 재구성 가능하도록
예정
0
A-1
오프라인 수업 환경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김영훈
김영훈
kimcs@ihateflyingbugs.com
창수 김
- 메인 커리큘럼 피드 및 플랜에서 한번에 보내기 - 미리 풀기는 방지
예정
0
A-1
맞춤형 학습 제공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김영훈
김영훈
kimcs@ihateflyingbugs.com
창수 김
- 모둠 단위 피드 발송 (우선순위 논의) → 과제 및 시험에서 ‘과제’
0
RANGE0
A-2
4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A-2
맞춤형 학습 제공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규완 염
규완 염
상엽 박
상엽 박
규민 심
규민 심
경민 이
경민 이
추천 피드 시스템 개선 - 선수 지식태그 - 연결 태그 로직
개발중
1
2024/03/04 → 2024/03/08
2024/03/11 → 2024/03/22
2024/03/22
A-2
맞춤형 학습 제공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규완 염
규완 염
상엽 박
상엽 박
규민 심
규민 심
경민 이
경민 이
학습률에 따른 자동 태그 (시연시 로직 존재함)
기획중
0
A-2
AIDT
훈 김
훈 김
Learning Record Store
예정
0
A-2
AIDT
재우 조
재우 조
Learning Record Store
예정
0
RANGE0
A-3
1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A-3
맞춤형 학습 제공
나래 김
나래 김
규완 염
규완 염
규민 심
규민 심
학생 : 스스로 학습 파악하고 목표 설정해 달성할 수 있도록
기획중
1
2024/03/25 → 2024/03/29
2024/04/01 → 2024/04/26
2024/04/26
RANGE0
B
4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B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민영 유
민영 유
현수 이
현수 이
요셉 노
요셉 노
지우 김
지우 김
성민 박
성민 박
SA 구조 개선
개발중
3
B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훈 김
훈 김
성대 정
성대 정
고준호
고준호
kimye@ihateflyingbugs.com
예은 김
AWS 링크 → 직접 파일 업로드
예정
0
B
AIDT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고준호
고준호
성대 정
성대 정
kimye@ihateflyingbugs.com
예은 김
* 콘텐츠 레이아웃 접근성 준수 * Latax -> MathML 출력 * 브라우저 지원 (Edge, Chrome, Safari, Whale, Firefox) 등등 웹 접근성 필수요건
예정
1
2024/04/01 → 2024/04/12
2024/04/15 → 2024/06/07
2024/06/07
B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현영 유
현영 유
어떤 유형 추가 할지 확인 필요 (4/5) 교과서 기준으로 확인 (학년 확인)
예정
0
RANGE3
C
4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C
AIDT
재우 조
재우 조
성대 정
성대 정
CSAP 컨설턴트 4월 2주차 부터 시작
예정
1
C
AIDT
훈 김
훈 김
태구 강
태구 강
성대 정
성대 정
0
C
AIDT
훈 김
훈 김
태구 강
태구 강
고준호
고준호
성대 정
성대 정
0
C
AIDT
훈 김
훈 김
성대 정
성대 정
훈 김
훈 김
성대 정
성대 정
(1인 1계정)
0
RANGE0
D
5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D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유라 서
유라 서
원우 조
원우 조
지우 김
지우 김
콘텐츠 공유의 유연성과 편리성을 높여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기획중
2
2024/03/01 → 2024/03/29
2024/04/01 → 2024/05/10
2024/05/10
D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나래 김
나래 김
나연 김
나연 김
콘텐츠 편의
개발중
2
2024/03/25 → 2024/03/29
2024/04/01 → 2024/04/19
2024/04/19
D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유라 서
유라 서
원우 조
원우 조
kimuh@ihateflyingbugs.com
우희 김
콘텐츠 제작의 수정/삭제/복제 등 편의 기능 제공
개발중
2
2024/03/25 → 2024/03/29
2024/04/01 → 2024/04/19
2024/04/19
D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훈 김
훈 김
원우 조
원우 조
성대 정
성대 정
TTA 확인 4/8 (월) 까지
예정
0
D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재우 조
재우 조
스쿨 PT 제작에 따라 문제 발생 소지 多, 논의 필요
예정
0
RANGE0
E
2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E
맞춤형 학습 제공
민영 유
민영 유
재우 조
재우 조
김영훈
김영훈
규민 심
규민 심
kimye@ihateflyingbugs.com
예은 김
* 룰 베이스 챗봇 * 추가 학습 자료의 자동 제공 * 진단 및 추천 결과로 맞춤 경로 제시거나나 콘텐츠 추천 * 오답노트 (오답 커리큘럼 활용 방안)
예정
1
E
AIDT
나래 김
나래 김
고준호
고준호
규민 심
규민 심
kimye@ihateflyingbugs.com
예은 김
챗봇 외 교사의 학습 지도를 도와 줄 수 있는 보조 기능 수업 설계 지원, 피드백 작성 지원, 평가 채점 지원등 교사 지원
예정
1
2024/04/18 → 2024/05/01
2024/05/02 → 2024/05/24
2024/05/24
RANGE0
F
2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F
오프라인 수업 환경
성대 정
성대 정
요셉 노
요셉 노
성대 정
성대 정
학교 수업 환경에서의 프레젠테이션 수업 도구
개발중
10
2024/03/18 → 2024/03/22
2024/04/01 → 2024/04/26
2024/04/26
F
오프라인 수업 환경
유라 서
유라 서
요셉 노
요셉 노
고준호
고준호
성대 정
성대 정
kimuh@ihateflyingbugs.com
우희 김
규민 심
규민 심
수업 환경에 맞춘 경험 설계
예정
0
2024/04/18 → 2024/05/01
2024/05/03 → 2024/06/07
2024/06/07
RANGE10
G
5
스콥 확정 여부
유형분리
유형
PM
DE
BE
FE
과제명
설명
진행상태
진행상태
기획일정
개발일정
최종 배포 예상일
G
맞춤형 학습 제공
훈 김
훈 김
kkh@ihateflyingbugs.com
강경현
김영훈
김영훈
kimcs@ihateflyingbugs.com
창수 김
경민 이
경민 이
- 진단 평가 / 형성 평가 / 총괄 평가 → 과제 및 시험 에서 ‘시험’ - 평가 대시보드 / AI 리포트
예정
0
G
맞춤형 학습 제공
나래 김
나래 김
재우 조
재우 조
고준호
고준호
나연 김
나연 김
* AI 리포트 * AI 보조교사 추가 feedback 다이얼로그? 등
0
G
AIDT
태구 강
태구 강
원우 조
원우 조
지우 김
지우 김
( 논의 필요) - 손필기 대체 확인 필요
예정
0
2024/05/27 → 2024/05/31
2024/06/03 → 2024/06/21
2024/06/21
G
오프라인 수업 환경
원우 조
원우 조
지우 김
지우 김
학생이 학생을 가르치는 기능 활동으로 임팩트가 클 수 있다고 판단 능률 요구사항으로 손필기 공통 사용 고려 논의 모둠에서의 모둠장 (권한)
예정
0
G
맞춤형 학습 제공
요셉 노
요셉 노
나연 김
나연 김
학생 자신이 스스로 학습 속도와 원하는 시간에 학습 가능. 주도성 유연성
예정
0
RANGE0

기능 필수 준수 사항

6.1 학습 진단
6.2 맞춤형 콘텐츠
6.3 대시보드
6.4 AI 튜터
6.5 AI 보조교사
6.6 교사 재구성 기능

진행 사항 체크리스트

Search
최종 완료
Name
Tags
관련 분류
요건 충족 여부 확인
Search
완료
검인정 항목
Name
Text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AI 디지털교과서의 기능에 대한 명세가 별도의 문서 또는 파일에 기술되어 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의 사용방법이 별도의 문서 또는 파일에 기술되어 있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호환성) AI 디지털교과서가 사용자의 환경(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리 없이 구동되는가? • (기능성-AI) AI 디지털교과서에 적용된 AI 활용기능(튜터, 보조교사 등)이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 (기능성-일반) AI 디지털교과서에 적용된 기타 기능(AI 활용기능 외 일반 디지털화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 (기능성-콘텐츠) AI 디지털교과서의 기능에 연동 또는 포함되는 콘텐츠(평가문항, 동영상, 이미지 등)가 오류 없이 표출되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AI 활용기능을 위한 AI 모델/데이터/환경 정보가 별도의 문서 또는 파일에 기술되어 있는가? • (분석) AI 활용기능에 대한 데이터를 정의하고 보유 현황 및 환경을 분석했는가? • (관리) AI 활용기능을 위한 AI 모델/데이터/환경 정보에 대한 연차별 관리계획을 가지고 있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모델/환경 적절성) 제시한 AI 모델과 환경이 AI 활용기능을 제공하는데 적절한가? • (데이터 적절성) 제시한 학습용 데이터가 AI 활용기능을 제공하는 데 유효한 양과 품질을 갖추었는가? ※ 본 내용의 학습용 데이터란? 이러닝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학습(Learning)데이터가 아니라, 인공지능 모델의 기계학습에 사용하는 학습용 데이터를 의미함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사용자 관점) 동시 최대 접속 상황에서, AI 디지털교과서가 제공 기능 작동 시 사용자 구동 환경의 자원 효율성은 적절하게 관리되는가? • (사용자 관점) 동시 최대 접속 상황에서, AI 디지털교과서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은 적절한 응답시간 이내 작동하는가? • (관리자 관점) 동시 최대 접속 상황에서, AI 디지털교과서 제공 서버 및 관리 플랫폼은 정상 작동하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 AI 디지털교과서가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 • 웹 문서가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작동되도록 HTML5와 CSS3를 준수하였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 시각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사용해도 동등하게 반응하도록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가? • 별도의 플랫폼을 사용할 경우에도 웹 접근성을 준수하여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하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 시각 자료 접근을 위해 대체 텍스트를 제공했는가? • 초점 이동과 기능 제어를 위한 조작을 지원하는가? •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에 스크린리더가 접근할 수 있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 동영상이나 음성 콘텐츠에는 동등한 내용의 자막을 제공하였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 시각 장애인, 청각 장애인 등이 직접 보조 공학 기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해 보고 접근 가능 여부를 평가하였는가? •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진행 과정과 개발 내용에 대한 검증 과정에서 장애인 사용자가 참여하였는가?
Ⅰ. 기술적 무결성 및 사용성
• 학습 화면, 평가 화면, 대시보드 등 주요 화면에 포함된 내용과 자료에 대한 설명을 다국어로 지원하는가?
Ⅱ. 기술표준 및 규격준수
• AI 디지털교과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직접 인프라(성능, 용량, 네트워크 등)는 적절히 준비가 되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간접 인프라(조직, 지원 인력 등)는 적절히 준비가 되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였는가? • AI 디지털교과서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하였는가?
Ⅱ. 기술표준 및 규격준수
• AI 디지털교과서 기능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한 표준(또는 규격)에 대한 명세가 작성되어 있는가? ※ 인프라 관련 CSAP 기준 및 데이터 관련 표준(IMS Caliper, xAPI) 외, 적용한 표준(또는 규격)이 있을 경우 이후 보고서 제출 시 표기 • AI 디지털교과서 기능 및 서비스는 활용한 표준(또는 규격)에 부합하는가? ※ 인프라 관련 CSAP 기준 및 데이터 관련 표준(IMS Caliper, xAPI) 외, 적용한 표준(또는 규격)이 있을 경우 이후 보고서 제출 시 표기
Ⅱ. 기술표준 및 규격준수
• 자체 서비스 인프라와 AI 디지털교과서 인프라를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에서 수집한 학습데이터가 AI 디지털교과서 이외의 서비스에서 활용되지 않도록 자체 정책을 수립하고 그에 맞는 기능을 구현하였는가?
Ⅱ. 기술표준 및 규격준수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맞는 교육 내용과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가? •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콘텐츠나 광고 또는 홍보를 배제하고 있는가?
Ⅱ. 기술표준 및 규격준수
AI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내부 지침과 운영 계획을 갖추고 있는가?
Ⅱ. 기술표준 및 규격준수
교육부 및 유관 기관의 인공지능 윤리 원칙 등을 반영한 자체 윤리 기준을 보유하고 그것을 준수하고 있는가?
Ⅱ. 기술표준 및 규격준수
• AI 디지털교과서는 ‘저작권법’이 허용하는 공정한 범위 내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도록 설계 및 개발되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 및 관련 서비스에 저작물의 정당한 활용을 위한 규정을 준수하고 ‘저작권법 시행령’에서 정한 조치를 하였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통합인증체제에 연계를 위해 API 표준 기술문서를 준수하고 있는가? • 통합인증을 위한 개인정보 안정성 확보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교육과정 표준체계와 연동될 수 있도록 개발사 학습 맵을 매핑하였는가? • 교육과정 표준체계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학습 요소의 메타데이터 형식을 구성하였는가? • 교육과정 표준체계에 따른 학습 데이터 전송 체계를 갖추었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교과서 학습 내용(학습을 중단한 화면 등)을 직접 제시하는 화면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하였는가? ※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 72쪽 참조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학습자의 수준 진단을 위한 평가문항 데이터베이스 등 제공 체계가 적절히 구축되었는가? • 학습자의 학습 진단 평가를 분석하여 학생의 학습 수준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AI 기술(모델)이 적절하게 활용되었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학습 진단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의 학습 수준에 적합한 학습 내용을 제공하기 위해 AI기술(모델)이 적절하게 활용되었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학생이 스스로의 학습을 성찰하고 목표를 설정해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학생 대시보드를 제공하는가? • 학생 개인 및 학급의 학습 현황과 강․약점을 한눈에 파악하고 효과적·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사 대시보드를 제공하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생의 질의에 적합한 응답을 제공하는가? •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생의 학습 개선을 위한 학습 정보(학습 계획과 진도 현황, 강․약점 등)를 적절히 제공하는가? • (선택)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생의 부족한 학습을 보충하기 위한 적절한 추가 학습자료를 제공하는가? • (선택)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습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학생에게 적절한 학습 전략을 제공하는가? • (선택)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습 모니터링 분석 결과에 따라 학생에게 적절한 피드백 및 성취평가 정보를 제공하는가? • (선택)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생이 틀린 문제에 대해 적절한 오답 노트를 제공하는가? • (선택) 이 외 학생의 학습 안내 및 지원을 위해 제공되는 기능이 있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교사가 개별 학생에게 맞춤화된 수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AI기술(모델)이 수업 설계를 지원하고, 수업 콘텐츠를 적절히 제공하는가? •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생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교사에게 제공하고, 이를 교사가 보완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가? • AI기술(모델)이 적용하여 학생의 평가 결과를 교사에게 제공하는가? • AI기술(모델)을 적용하여 학생의 학습 상황 모니터링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하고 있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교사가 학습경로를 조정하거나 콘텐츠를 추가, 편집, 재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 해당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교사가 재구성에 활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평가 문항이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가?
Ⅲ. AI 기능의 적합성 항목
∙ 웹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을 준수하였는가? ∙ 전자정부 웹사이트 UI/UX 설계 기준을 준수하였는가?
Ⅳ. 데이터 및 서비스 관리의 신뢰성
•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를 통해 수집하고자 하는 사용자 학습 데이터의 목적/유형/내용/수집시나리오 등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별도의 문서로 기술되어 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를 위한 수집위치, 데이터 모델, 데이터 명세, 저장소 관리 방식 등이 표준 규격(xAPI 또는 IMS Caliper Analytics 등)에 맞게 정의되어 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 서비스를 통해 발생하는 학습 데이터는 안전한 보안저장소에서 데이터 위변조 없이 관리되는가?
Ⅳ. 데이터 및 서비스 관리의 신뢰성
• 사용자 지원을 위한 정보제공과 응대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적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
Ⅳ. 데이터 및 서비스 관리의 신뢰성
• 서비스 변경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서비스 운영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도록 관련 계획이 마련되어 있는가?
Ⅳ. 데이터 및 서비스 관리의 신뢰성
• 서비스 장애 발생 시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서비스 운영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도록 관련 계획이 마련되어 있는가?
Ⅳ. 데이터 및 서비스 관리의 신뢰성
• AI 디지털교과서의 품질관리 요소를 규정하고, 이에 대한 품질수준을 제시한 자 품질관리 규정이 있는가? • AI 디지털교과서의 품질관리를 위한 활동, 내외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조직 체계를 갖추었는가?
Ⅳ. 데이터 및 서비스 관리의 신뢰성
•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의 품질 관리 활동이 실시되었는가? • 개발 이후 과정에서도 유지보수를 포함한 품질관리 활동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되어 있는가?
위 필수 준수사항, 체크리스트는 아래 자료에서 확인 함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pdf
38916.3KB
AI디지털교과서 자체기술검증결과서 작성 안내.pdf
1260.1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