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영 개인공간
/
빠른 회의록
/
(내부) AIDT 개발 마일스톤 & 체크 리스트
/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가이드 라인 체크리스트
Share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가이드 라인 체크리스트
전체 리스트
과제별 체크 현황
Search
최종 완료
Name
Tags
관련 분류
요건 충족 여부 확인
학생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성취수준진단
A-1
A-3
E
G
(진단평가) 학습 전, 학생의 기초 학습 수준이나 필요한 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성취수준진단
A-1
D
E
(형성평가) 학습 중, 학생의 학습 이해도나 학습 진행 상황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성취수준진단
A-1
D
E
(총괄평가) 학습 후, 학생의 학습 목표 달성 여부나 학습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성취수준진단
A-1
D
E
문항 기반 평가 외 과제, 토론, 발표, 교사 피드백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지원하는가?
Open
성취수준진단
A-1
A-2
A-3
E
F
학습 현황 분석을 위해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학습, 과제 수행 등)를 수집 분석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가?
Open
학습현황분석
A-2
B
D
E
F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절한 처방이나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
추고 있는가?
Open
학습현황분석
A-2
B
D
E
F
학습 진단 결과에 따라 맞춤형 처방이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가?
Open
맞춤형 콘텐츠
B
D
학습 진단 결과에 따라 적절한 맞춤형 학습 경로와 콘텐츠를 추천하고 있는가?
Open
맞춤형 콘텐츠
B
D
학습 내용의 이해도에 따른 다양한 피드백을 제시하는가?
Open
맞춤형 콘텐츠
B
D
교육과정 표준체계의 내용 체계와 성취·평가 기준을 준용한 학습 추천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Open
맞춤형 콘텐츠
A-2
B
D
E
개별 학생의 맞춤형 학습 지원이 가능하도록 학생 대시보드의 정보 구성이 적절히 이루어졌으며 충
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Open
대시보드
A-3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한 교사 대시보드 정보 구성이 적절히 이루어졌으며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가?
Open
대시보드
A-3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한 학부모 대시보드 정보 구성이 적절히 이루어졌으며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
고 있는가?
Open
대시보드
A-3
AI 튜터는 학습 활동이나 평가 항목 중에 학습자를 지원하는 힌트나 안내를 제공하는가?
Open
AI 튜터
E
AI 튜터는 학습 활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가?
Open
AI 튜터
E
AI 튜터는 학습자가 학습활동에 어떻게 접근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가?
Open
AI 튜터
E
AI 튜터는 학습자의 학습 방법, 학습 습관 및 태도를 개선하도록 돕는 사회적·정서적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AI 튜터
E
AI 튜터는 학생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적시적인 도움을 제공되는가?
Open
AI 튜터
E
교사가 맞춤형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 설계, 피드백 작성, 평가 채점 등 교사의
활동을 지원하는 AI 보조교사 기능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는가?
Open
AI 보조교사
E
교사가 학습경로를 조정하거나 콘텐츠를 추가, 편집, 재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교사 재구성 기능
A-1
D
E
F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평가 문항이나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가?
Open
교사 재구성 기능
A-1
D
E
F
교사가 학습자의 활동 상황이나 결과에 대한 알림을 받아 개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교사 재구성 기능
A-1
D
E
F
교사가 수업 중 학생의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가?
Open
교사 재구성 기능
A-1
D
E
F
시각자료 접근을 위해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함
Open
시각 - UDL
A-1
A-2
A-3
B
D
E
F
G
가독성이 좋은 고딕 형식의 서체를 제공해야 함
Open
시각 - UDL
A-1
A-2
A-3
B
D
E
F
G
시각자료, 멀티미디어 자료에 학습 과제 또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대체 텍스트가 아닌 화면 해설 스크립트를 제공해야 함
Open
시각 - UDL
A-1
A-2
A-3
B
D
E
F
G
초점 이동과 기능 제어를 위한 접근 가능한 조작을 지원해야 함
Open
시각 - UDL
A-1
A-2
A-3
B
D
E
F
G
텍스트가 포함된 이미지가 스캔되어 있는 경우 이를 스크린리더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함
Open
시각 - UDL
A-1
A-2
A-3
B
D
E
F
G
동영상이나 음성 콘텐츠에는 동등한 내용의 자막을 제공해야 함
Open
청각 - UDL
A-1
A-2
A-3
B
D
E
F
G
콘텐츠의 레이아웃은 일관성 있게 제시하고, 메뉴에서 다양한 구성 요소가 제시되
는 경우 메뉴에 대한 설명을 별도로 제공해야 함
Open
인지 - UDL
A-1
A-2
A-3
B
D
E
F
G
웹 표준 문법 및 웹 호환성을 준수하여 구축해야 함
Open
UDL
A-1
A-2
A-3
B
D
E
F
G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는 보조공학 기기(기술)와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하는
접근성 기능 이용하여 동등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고려하여 개발해야
함
Open
UDL
A-1
A-2
A-3
B
D
E
F
G
장애인 사용자가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실제 보조공학 기기(기술)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이용해 보고 접근 가능 여부를 평가해야 함
Open
UDL
A-1
A-2
A-3
B
D
E
F
G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진행 과정과 개발 후 검증 과정에서 장애인 사용자의 참여
를 보장해야 함
Open
UDL
A-1
A-2
A-3
B
D
E
F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