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블록

요구사항 배경
히스토리
국어, 영어 등 언어 과목의 말하기 역량 평가 필요
평가 영역의 균형(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실제 발화를 통한 사고력, 표현력 측정 가능
학생 개별 표현력 향상 도구
말로 설명하면서 개념 정리
스스로 말하고 돌아보며 자기 점검 기회 제공
시점
내용
1차 기획 단계
언어 과목 중심으로 '말하기 활동' 필요성이 제기됨 (특히 영어 말하기 수행평가)
컨텐츠 설계 초기
말하기 활동은 외부 플랫폼(Zoom, 녹음 앱 등) 활용으로 우회 진행
사용자 피드백 수렴
교사: "학생 말하기 내용을 수집할 방법이 없다" 학생: "말하기 연습을 어디에 해야 할지 애매하다"
시스템 개선 논의
활동 유형 블록화 필요성 도출: 읽기/쓰기 외에 말하기/듣기 활동 확장
기능 설계 착수
음성 녹음 기능 탑재, 메타데이터(시간, 시도 수 등) 저장, 교사 피드백 기능 포함 고려
솔루션
말하기 블록은 활동 블록으로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본을 선생님에게 제출할 수 있는 활동
말하기 1차
말하기 2차
담당자
DE 김나래 | FE 김지우 → 심규민 | BE 노요셉 → 이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