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드백을 정의하는 다양한 관점
◦
행동주의 관점 : 강화(reinforcement)의 형태로 정의
◦
인지주의 관점 : 정보적(informative), 교정적(corrective) 기능을 강조
◦
구성주의 관점 : 피드백의 촉진적 기능을 강조
◦
형성평가를 위한 피드백은 지시적(directive)이며 촉진적(facilitative) 성격을 갖추어야 하고 학습자들의 현재 수준과 더 나은 학습 향상을 위한 개선점에 대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
피드백을 학습개선을 위해 학습자의 사고나 행위의 수정을 목표로 하여 학습자와 소통하 는 정보로 정의
•
피드백의 목적
◦
•
피드백 유형
•
피드백 유형별 효과
◦
선행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습자의 수행에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피드백 유형, 학습자 내부의 준거와 비교하는 피드백 유형이 후속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규준적 성격의 피드백은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
하지만 일부의 연구에서는 이와는 상반되는 결과 또한 존재한다. 첫째, 학습자의 수행에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피드백 유형은 학습 과제와 수행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 부하를 감소시키고 학습자의 현재 수준과 목표 수준간의 간격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해 학습자의 동기를 증진시키는 유형으로 확인되며(Locke & Latham, 1990: Hattie & Timperley, 2007에서 재인용), 이와 함께 학습자의 후속 활동에 대한 단서 제시의 기능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피드백 유형으로 구분된다(Baron, 1993: Kluger & DeNisi, 1996에서 재인용).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 대한 기대와 달리 피드백이 제시하는 정보의 수준에 따라 그 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통해 적절한 정보를 제시하였더라도 그것이 반드시 학습자의 학습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논문에서 다루는 피드백 효과 분석
•
피드백 유형
◦
정보피드백 : 학습자의 후속 수행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피드백
◦
자기참조피드백 : 학습자의 수행 경험을 환류해주는 피드백
◦
규준참조피드백 : 규준 정보를 제시하는 피드백 유형
•
피드백 유형에 따른 과제지속의 차이
•
피드백 수용성에 따른 결과
◦
피드백 수용성 상위 집단에서는 세 가지 피드백 유형 모두가 하위 집단에서는 정보 피드백만이 과제지속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리고 피드백을 제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서는 어떤 경우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
Chaudron(1988) : 학습자들의 발화 오류에 뒤이어 일어나는 교사의 행동, 학습자에게 오류가 있음을 알리고자 하는 행위를 피드백으로 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