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피드백 스터디

AI 피드백 생성이라는 기본 컨셉은 유지하되, 사이드바 영역에 채워지는 내용들은 모든 변경 가능성을 열어두고, 스터디 진행하며 발전시키면 좋겠다고 논의했습니다.
실장님만 괜찮으시다면, 방향성에 대해 R&D 에서만 따로 논의하기 보다 스터디 진행하면서 AI 피드백 기능이 잘 답변해줄 만한 부분을 찾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ex. 특정 문제 유형, 타겟 학생 특징, 성적권 등 좀 더 뾰족하게 좁힐 수 있는 여지는 없을지 등)
스터디 아젠다
핵심 목표 : AI 피드백 기능은, 선생님의 리소스를 낮추면서 학생이 만족할 수 있어야 하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문제 유형별 프롬프트 및 피드백 예시 발굴
ex. 주제 찾기 문제 유형 Case -> 학생이 해당 유형을 틀릴 경우 해석하기 어려웠을 수 있다. -> 문법적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문장과, 핵심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을 2가지 추출 후 해당 문장에 대해 해석할 수 있는지 질문한다.
신규 기능을 활용한 수업 진행 과정 설계
스터디 일정
1/9 목요일 (2시 30분)
1/10 금요일 (1시)

스터디 진행할 때

문제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구분 안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무엇인가?
선생님이 생각하는 효용이 높은 피드백
사전 지식은 뭐가 없는가
프롬프트를 정규 커리큘럼을
독해
단어의 의미를 아는가, 문장 성분을 아는가
문단
문법
다중 개념을 하나의 문제에 녹여서
1.
안건 1 : 이상적인 피드백 순서 및 발화 방식에 대한 합의
a.
이상적인 방향
i.
선생님의 코스트가 적게 들면서,
ii.
학생에게 효과적인
2.
안건 2 : 정규 강의 / 모고 프롬프트 제작을 위한 문제 액티비티 구분
3.
안건 3 : 실제 커리큘럼별 문제 예시와 해당 문제를 틀렸을 때 이상적 피드백 토론
4.
안건 4 : (추후 진행 안건) AI 결과물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향 협의

의견

커리큘럼을 제한하는게 좋을 것 같다.
안건 2,3번 처리 후 어떤 커리큘럼으로 좁힐지 논의한다.
2,3번을 기반으로 RAG 구성

1/10 미팅

주황색 표시된 부분에 AI가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좋겠다.
오답 중 일부 문제 이해도 파악
학생이 틀렸을 때, 어떤 질문을 해야 이해도를 파악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을 던져주세요’ 라고 AI가 추천해주면 좋겠다.
독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해석이 잘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질문 등
지문 독해 유형 → 주어 동사 뭐야? 문법이 적용되어 있으면(ex. 관계대명사, that이 무엇을 의미해?)
문법 문제 → 그 문제에서 문법 문제가 나왔다면 능/수동 수일치 확인 등을 하는데, → 학생이 문법적 지식을 짧은 설명과 확인 질문
어려운 부분 사전 지식을 파악하는게 가장 어렵다.
독해 / 문법
지문 →
해석을 못해서 모를만한 문장이 있는가? 해석할 수 있는가?
어떤 지문을 물어볼
매력적인 보기를 소거하지 못했는가?
배경 지식
쌍둥이 문제가 추가로 나오면 완벽함
ex.
구성이 어떻게 되면 좋을까?
얘한테 뭐가 필요한지 선생님이 선택해서 보낼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독해
독해는 배경지식이 있으면 글을 좀 더 빨리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배경 지식 제공하기
문제에 포함된 단어와 뜻 → 학생에게 이런거 외워봐~ 에 대한 자료 제공
풀이 팁 제공하기
독해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는지?
해석을 못했는지?
배경 지식을 모르는지?
글의 전개 방식별로 묶을 수 있을 것 같다. 글의 패턴과 시그널 (글에서 A와 B를 비교하기, 글에서 어느 부분이 중요한지 취사 선택하기)
문법
문법 개념의 규칙을 알고 있는지?
모의고사
유형이 명확히 나뉘어져 있다.
유형별로 어떤식으로 문제를 푸는지
그래서 모의고사 유형별로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피드백을 제공해준다.
모의고사 풀이 가이드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알려줌
문제 유형별로 문제를 어떤 흐름으로 읽어야 하는지,
문법 문제라도 시제나, 글의 흐름을 파악하는게 포함되어 있어서 복합적이다.
샘플 문제 링크 : 독해 / 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