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Writing Guide (1)

1. 개요

UX Writing 이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사용할 때 접하게 되는 단어와 문구들을 설계하는 일입니다. 서비스와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디자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말 잘 구현된 UX Writing은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서비스를 잘 팔 수 있게 돕습니다. 제품과 서비스 전반에서 명확하고 간결하며 일관성 있는 UX Writing 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메시지를 추가하거나 교체할 때 본 가이드를 반영해 주세요.

1) 기대효과

고객에게
좋은 사용자 경험을 일관성 있게 제공합니다.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구성원에게
알맞은 텍스트 작성을 위해 고민하고 검색하던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텍스트 수정을 해야할 때 가이드 문서를 보고 알맞은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논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새로운 구성원에게 관련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3. 대원칙

1) 사용자 입장을 생각하며 쉬운 말로 쓰기

어려운 전문용어 대신, 사용자의 상황과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단어를 선택합니다.
  타입폼에 의견을 적어주세요. 설문 양식에 의견을 적어주세요.

2) 간결하게 쓰기

짧은 글일수록 의미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쉽습니다. 동시에 꼭 필요한 내용을 포함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재연결이 감지되었습니다. 서버 접속을 시도 중입니다. 네트워크를 다시 연결 중입니다.

3) 일관성 있게 쓰기

한 요소를 지칭하는 말은 항상 같아야 합니다.
  아래의 미팅 리스트에서 입장을 원하는 미팅룸을 선택해 주세요. 단, 종료된 미팅룸은 목록에 보이지 않습니다. 아래의 미팅 목록에서 입장을 원하는 미팅룸을 선택해 주세요. 단, 종료된 미팅룸은 미팅 목록에 보이지 않습니다.

4) 신뢰성 있게 쓰기

‘- ㅂ니다’체를 기본형으로 쓰고, 사용자의 행동을 요구할 때는 ‘-해 주세요’체를 사용하며, 최초의 경험을 제안할 때는 ‘-해 보세요’체를 사용합니다. 질문을 할 때는 ‘해요’체를 사용합니다.
  첫 방문을 환영해요! 첫 미팅룸을 만드세요.   첫 방문을 환영합니다. 첫 미팅룸을 만들어 보세요.
  미팅 호스트에게 문의하세요.   미팅 호스트에게 문의해 주세요.
  오류를 발견했습니까?   오류를 발견했나요?

4. 보이스톤 : 브랜드의 특성 알리기

예시) 친절하고 예의있는 말투를 사용하는 중저음의 30대

긍정/부정 표현

부정문과 부정표현 보다는 긍정문/ 긍정표현을 사용합니다.
부정문과 부정표현의 예 : -아니다, -않다, 못하다, 말다
잘못된 닉네임입니다. / 올바른 닉네임이 아닙니다. 올바른 닉네임을 입력해 주세요.

높임법

우리가 주체가 되어 고객에게 특정한 행위를 할 때에는 ‘~ㅂ니다’ 체를 주로 사용하며, 높임의 의미가 들어간 특수 동사를 사용합니다(객체높임법).
  설문에 참여 시 선물을 줍니다. 설문에 참여 시 선물을 드립니다.
‘-ㅂ니다’가 이미 충분히 상대를 높이는 표현이기 때문에(상대높임법), 원칙적으로는 주어에 ‘~께서’라는 조사나 서술어에 ‘-시’라는 선어말어미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습니다(주체높임법). 단, 주체높임을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어색할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합니다. 인증ㅇ
  {name} 님께서 입장하셨습니다. {name} 님이 입장했습니다.
문장 구조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문제에 고객이 당황하거나 망설이지 않도록, 어떤 문제인지 파악하여 단계적이고 구체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문제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집중합니다.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세요.
해결방안이 없다면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대안을 작성합니다.
 
사용자에게 무언가를 요구해야 한다면,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혜택을 줄 수 있는지 설명하고 순차적으로 접근합니다.
 
‘목적 + 사용자 액션 요구’ 순으로 표기합니다.
  드래그하여 이 페이지에 개체를 추가하세요. 새 페이지를 추가하기 위해 드래그 해주세요.
한 번에 한가지 내용에 대해서만 이야기합니다. 중복된 내용은 지양합니다.

5. 사용성 : 명확하게 전달하기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문제에 고객이 당황하거나 망설이지 않도록, 어떤 문제인지 파악하여 단계적이고 구체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문제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집중합니다.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네트워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고침 버튼을 눌러주세요.
해결방안이 없다면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대안을 작성합니다.
 
사용자에게 무언가를 요구해야 한다면,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혜택을 줄 수 있는지 설명하고 순차적으로 접근합니다.
 
‘목적 + 사용자 액션 요구’ 순으로 표기합니다.
  드래그하여 이 페이지에 개체를 추가하세요. 새 페이지를 추가하기 위해 드래그 해주세요.

문장 어미

사용자 행동을 요구할 때 어미
하세요 → 사용하지 않는다
해주세요(부탁의 뉘앙스, please) 톤앤매너를 고려하여 default
해보세요(let’s) 최초의 경험 가이드

텍스트 상황별

1.
타이틀
참고
서두가 길어지면 고객은 어떤 내용을 봐야할 지 혼란에 빠집니다. 예측 가능하고 바로 내용을 인지할 수 있게 커뮤니케이션합니다.
타이틀을 쉽고 명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에 집중하여 작성합니다. 행동을 구체적이고 직관적으로 표현합니다.
‘한글 맞춤법’ 문장 부호, 온점( . ) 규정에 따라, ‘온점’에 한하여, 제목에는 ‘온점’을 쓰지 않습니다.
2.
인터랙티브 텍스트
참고
3.
디스크립션
참고
글자수 제한
빨간 레인지까지 한글로 범위 만들기
4.
빈 화면
참고
공백 상태를 잘 활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도움 및 동기 부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5.
레이블
참고
버튼
확인하기 : 사용자의 다음 액션을 유도하고 싶을 때
확인 : 사용자가 현재 머무르고 있는 상태의 정보를 인지했다 정도
입장하기/입장
모달에 들어가는 버튼은 ‘~하기’를 생략하고 쓴다
6.
조작
참고
7.
텍스트 입력 (Placeholder)
참고
8.
전환 텍스트
참고
9.
확정 메시지
참고
시스템적으로 무언가 이뤄졌을 때 어미
되었습니다 형태로 사용 가능? 아니면 그냥 했습니다 체로?
eg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 링크를 복사했습니다.
10.
알림 : 목적
참고
11.
에러 : 목적
참고

6. 용어 및 문장 표기 : 일관적으로 전달하기

용어 정리
단어 정의
띄어쓰기
띄어쓰기를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 확인합니다.
띄어쓰는 것이 원칙, 붙여씀을 허용
도와주세요 / 적어주세요 / 찾아주세요 / 남겨주세요
클릭해 주세요 / 확인해 주세요 / 요청해 주세요 / 업로드해 주세요 / 시도해 주세요 / 추가해 주세요 / 검색해 주세요
확인해 주세요 = 확인하다 + 주세요 = ‘해’가 있으면 띈다(3/3)
도와주세요 = 돕다 + 주세요 = 미적통일성을 위해 붙여쓴다
찾아주세요 = 찾다 + 주세요 = 미적통일성을 위해 붙여쓴다
텍스트 상황 사전
제품명/상품명 쓰는 경우
파일 및 스토리지 용량을 표기할 경우
물결표(~) 표기를 사용할 경우
슬래시(/) 표기를 사용할 경우
콜론(:) 표기를 사용할 경우
문장부호를 사용할 경우 앞뒤 글자를 모두 띄워씁니다.
닉네임: 제이미
줄임표(...) 표기를 사용할 경우
쉼표(,) 표기를 사용할 경우
단어의 나열에서만 사용한다
앗, → OUT
숫자를 표기할 경우
날짜를 표시할 경우
문장 : 년, 월, 일
정보로서의 전달 : YYYY-MM-DD
날짜 시각을 바로 이어서 쓸때는 흐름을 맞춘다
‘0’이 숫자의 처음에 포함될 때 표기
2022년 2월 5일
2022년 02월 05일
2022-2-5
2022-02-05
시간을 표시할 경우
n 분 n 초 → n분 n초, 0n분 0n초, nn 분 nn 초
hh:mm:ss
10:10 / 10 : 10, 10:05, 10:5
진행 시간: 초 단위 표기 여부 (ex. 60초를 초과할 경우 분으로만 기재함)
시, 분
시간 : 시, 분(한글로- 플랫폼), hh:mm:ss (코어앱에서도 유량일 때)
시각 : hh:mm:ss
요일을 표시할 경우
업데이트는 2022년 2월 15일 화요일에 있을 예정입니다.
업데이트는 2022년 2월 15일(화)에 있을 예정입니다.
돈/화폐를 표기할 경우
₩, $
기호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기호는 앞에 붙인다
$40/월, $ 40/월
₩20,000/월, ₩ 20,000/월
원, 달러
한글로 단위 표기는 뒤에 한다
외래어를 표기하는 경우
→ 최대한 한글로 접근, 예외를 기본적으로 가볍게 논의
→ 고객 입장에서 가장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쓰는게 더 큰 원칙
→ 신문에서 외래어 표기 (초등학교 3학년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
외래어 표기법에 맞춰 적습니다.
영문 표기를 하는 경우
영문 작성시 반드시 앞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합니다.
파일 확장자를 표기할 경우
.pdf, .apk : 소문자 확장자를 사용합니다.
PDF, APK : 문장 안에서 파일 유형을 지칭하기 위해서 쓸 때
메시지가 한 줄일 경우
버튼 이름을 쓸 경우
어미 ‘-시-’를 사용하는 경우
어떻게 구분해야 재사용하기 좋고 한번에 볼 수 있을까?
타이틀 / 디스크립션(문장) / 레이블(단어) 형태구분
레이블이 인터렉티브 텍스트(링크, 메뉴, 조작(옵션))을 포함
전환 텍스트 → 확정메시지 (유저의 능동적인 행동으로 인한 변화) / 알림은 에러를 포함(시스템적인 변화) 목적구분
위치(페이지) - 목적(의도) - 형태
위치(페이지), 형태는 협업을 위해 키값에 넣을만한 정보
형태 : 타이틀, 디스크립션, 레이블
목적(의도) : 키값에는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
인터렉티브(ex.링크, 메뉴, 옵션, 버튼, 리스트), 전환, 확정, 알림, 에러
빈화면 = 타이틀 + 디스크립션(타입 구분이 아닌 페이지 단위 구분)
텍스트 입력(플레이스홀더) = 레이블, 디스크립션을 쓰고 상황에 맞게 구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