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HFB Core UX writing

연관&참고 문서

IHFB 시스템 페르소나

1.1 서비스의 역할

교육 도메인의 UX 라이팅은 사용자의 학습 경험을 돕는 핵심 도구입니다. 선생님, 학생, 콘텐츠 제작자 각각에게 맞는 명확한 메시지를 제공하며,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로컬라이제이션도 고려합니다. 이 문서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담고 있습니다.

1.2 주요 페르소나 정의

1) 선생님 (Teacher)

목표: 효과적인 수업 운영과 학생 학습 관리
필요한 정보: 강의 자료, 출석 관리, 학생 평가, 학습 척도 확인
UX 라이팅 톤: 명확하고 전문적이며, 행동을 유도하는 직접적인 표현

2) 학생 (Student)

목표: 수업 참여, 학습 내용 이해, 과제 수행
필요한 정보: 수업 일정, 성취도 피드백, 학습 과정 피드백
UX 라이팅 톤: 친근하고 격려하는 표현과 쉬운 언어 사용

3) 콘텐츠 제작자 (Content Creator)

목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강의 콘텐츠 제작과 관리
필요한 정보: 콘텐츠 작성 도구, 명확한 UIUX 안내
UX 라이팅 톤: 명확한 안내와 작업 효율을 높이는 설명 제공

AI 기반 서비스 페르소나

교육 플랫폼에서는 AI 튜터(학생용)와 AI 보조교사(선생님용)를 제공합니다. AI 튜터는 학습을 돕고 동기 부여를 하는 역할을 하며, AI 보조교사는 선생님의 수업 진행을 지원하는 도구로 기능합니다.

AI 튜터 (르네, 마리)

캐릭터: 친근하고 똑똑한 친구 같은 존재
어조: 학생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반말 스타일
주요 기능: 학습 피드백 제공, 격려, 힌트 제공
예시:
"우와! 지금까지 너무 잘했어! 조금만 더 힘내보자!”
"이 문제는 조금 어려웠나 봐? 다시 한 번 도전해볼까?”
"대단해! 오늘 목표를 다 달성했어! 다음 도전도 기대할게!"

AI 보조교사

캐릭터: 논리적이고 효율적인 선생님의 수업 도우미
어조: 공식적이고 직관적인 톤 유지
주요 기능: 수업 데이터 제공, 분석 및 제안
예시:
"00이 완료되었습니다. 추가 조치가 필요하신가요?"
"다음 강의에 대한 학생 질문을 요약해 드릴까요?"

메시지의 격식과 표현 방식

사용자 행동 유도에 따른 격식 조정

강한 행동 유도:사용자의 즉각적인 행동이 필요한 경우 명령형과 감탄형을 활용하여 강조합니다. (예: "지금 확인하세요!", "바로 시작해 보세요!")
일반 안내 및 설명: 지나치게 격식을 갖추기보다는 친절한 평어체 유지합니다.
정보 제공: 불필요한 문장 길이를 줄이고, 핵심 정보만 간결하게 전달합니다.
예시 기존 수업을 종료하신 후 새로운 수업을 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 수업을 종료하고 새 수업을 시작하세요.
업로드가 완료되었습니다. 학생들에게 공유하시겠습니까? 업로드가 완료되었어요. 학생들에게 공유할까요?

행동 주체에 따른 차별화

시스템의 시각: 시스템이 수행하는 작업은 명확하고 직접적인 어조 사용
사용자의 시각: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은 자연스럽고 친근한 표현 유지
예시
시스템 메시지: "설정을 변경하면 기존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사용자 행동: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도전해 보세요!"

능동태와 수동태 활용

시스템이 주체인 경우 능동태 사용
"설정을 저장했습니다."
"저장이 완료됐습니다."
사용자 행동의 결과나 과정 설명 시 수동태 활용 가능
"00이 성공적으로 제출됐습니다."
"이 자료는 밀당이에게 자동 공유됩니다."

문장 작성 가이드

문장 길이와 명확성

한 문장에는 한 가지 개념만 포함
되도록 20자 이내의 짧은 문장을 권장 (긴 문장은 문맥에 맞게 나누어 사용)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문장을 간결하게 유지
예시: 수업을 진행하시려면 먼저 설정에서 교실을 생성해야 합니다. 수업을 진행하려면 먼저 교실을을 생성하세요.

긍정적인 표현 사용

"실패했습니다." → "다시 시도해 보세요. / 주세요."
"잘못 입력되었습니다." → "올바른 형식을 입력해 주세요."

명확한 디스크립션 작성

기능 설명은 구체적으로 작성
사용자가 해야 할 작업을 명확하게 안내
예시: 설정에서 옵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 > 계정 관리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UI 요소별 라이팅 가이드

버튼 레이블

명확하고 짧게 (예: "확인", "저장", "제출") + 능동태 혹은 수동태를 조합해 사용
문맥을 고려한 CTA (예: "강의 시작하기", "문항 제출하기")

오류 메시지

사용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 제공 (예: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해주세요.")
긍정적이고 명확한 어조 유지 (예: "입력값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대신 "이메일 형식을 확인해 주세요.")

툴팁(Tooltip) 라이팅 가이드

짧고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
툴팁은 추가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필수 정보는 포함하지 않아야 함
잘못된 예: "이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변경됩니다. 다시 변경하려면 설정 메뉴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예: "설정을 변경합니다. 설정 메뉴에서 수정 가능."

에러 메시지 및 오류 처리 가이드

에러 메시지 작성 원칙

사용자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명확한 지침 제공
불필요한 기술 용어 사용 지양,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현 사용
감정적으로 부담을 주지 않도록 긍정적인 언어 사용
해결 방법이 포함된 에러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

에러 메시지 예시

"오류 발생! 다시 시도하세요." "연결이 끊어졌어요. 인터넷 상태를 확인해 주세요."
"입력값이 잘못되었습니다." "입력한 정보를 확인하고 다시 시도해 주세요."
"파일 업로드 실패." "파일 크기가 너무 커요. 10MB 이하의 파일을 업로드해 주세요."

사용자 경험 체크리스트

AI의 피드백이 자연스럽고 맥락에 맞는가?
학생과 선생님 각각의 톤이 일관적인가?
버튼, UI 요소와 일관된 용어를 사용했나요?
긍정적인 표현으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있나요?
번역 용이성을 고려한 단어 선택을 했나요?
디스크립션이 충분히 구체적이며 이해하기 쉬운가요?
툴팁이 직관적이며 필수 정보가 아닌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나요?
에러 메시지가 사용자가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는가?

 날짜 기준 표기

업데이트 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