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 | BE | QA | Data |
개요
문제 상황
선생님이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세우지 않는 경우 어떤 문제가 있을까?
•
콘텐츠 팀
◦
언제까지 어떤 콘텐츠가 필요한지 알 수 없다.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콘텐츠를 사용해야하는지 알 수 없다.
•
선생님을 관리하는 팀장
◦
학생의 진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팀원을 발견하고 개선시키기 어렵다.
•
선생님
◦
학습할 지식이 중복되거나 누락될 위험이 있다.
◦
학습 목표가 어느정도 달성되었는지 파악할 수 없어 진도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
진도가 느려지거나 예상보다 빨라지는 부분에 대해 파악이 어렵다.
•
학생
◦
어디로 가고 있는지, 무엇을 이루어야 하는지 목표를 명확히 알기 어렵다.
◦
명확한 목표를 알 수 없어 학습 동기가 부족해진다.
◦
학습 목표의 어디까지 도달했는지 성취감을 느끼기 어렵다.
•
학부모
◦
자녀의 학습 관리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알기 어렵다.
◦
수업 요구사항(ex. 선행학습 등)이 잘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기대효과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는 경우?
•
콘텐츠팀이 자료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회사 및 팀장이 선생님이 진도 관리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와 이슈가 있는지 파악하기 쉬워진다.
•
선생님은 진도가 느려지는지/빨라지는지/중복된건 없는지/누락되지 않았는지 파악하고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
학생은 학습 목표를 명확히 알게 되어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고, 목표를 수행하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된다.
•
학부모는 학습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서비스의 신뢰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목표
•
선생님이 학생이 수행해야 하는 학습을 계획하고, 진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
관리의 질을 향상 시킨다.
◦
학습 일정에 맞게 콘텐츠가 공급 된다.
◦
선생님/팀장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횟수가 늘어난다.
◦
학습 계획 달성률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
학생/학부모 만족도가 향상 된다.
유즈 케이스
•
Case 1 정규 학습 : 최대한 빠르게 특정 지식의 상태를 1로 바꾸고, 그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구성
•
Case 2 내신 학습 1 : 학습해야하는 분량 n과, 학습 해야 하는 기간 m이 확정된 상태에서, m 동안 최대한 많은 n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 구성(실제 시험 준비 과정에서 n과 m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플래닝 필요)
•
Case 3 내신 학습 2 : 학습해야하는 분량 n이 고정된 상태에서 기간 m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학습 구성
Key Results
•
학생에게 어떤 학습을 제공할지 날짜별로 계획하고, 날짜별로 계획한 학습을 학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솔루션
고려해야 하는 것
•
태그에 포함된 AS 또는 액티비티가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
애초에 플랜에 포함되지 못한 태스크(ex. 선생님의 실수로 누락)가 없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
월간 / 주간 리포트 등에 학습 계획이 학생/학부모에게도 공유하며 누락이 없는지 크로스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
스쿨PT와 밀당PT 모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플랜 구조
•
그룹 (Group)
◦
그룹 내에서 All Group User를 위한 “전체” 플랜과 Group User별로 ”개별”플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전체 그룹 사용자 (All Group User)
◦
그룹에 포함된 모든 개별 사용자를 의미합니다.
•
그룹 사용자 (Group User)
◦
그룹에 포함된 개별 사용자입니다.
•
플랜 (Plan)
◦
플랜은 그룹에 포함된 Group User 수에 따라 생성되는 종류가 달라집니다.
▪
2명 이상
•
All Group User를 위한 “전체” 플랜이 생성됩니다.
•
Group User별로 ”개별”플랜이 생성됩니다.
▪
1명
•
Group User별로 ”개별”플랜만 생성됩니다.
◦
“전체/개별” 플랜은 각각 여러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버전으로?)
•
지식태그별 플랜 (KT Plan)
◦
지식태그별 학습 계획을 의미합니다. 어떤 학습을, 언제 어떻게 할지 등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이는 피드를 발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
KT-Plan 세팅 항목
•
날짜(due date)
•
학습 구성(default : null)
•
피드 발송 설정(date / time / 기타 설정(필수/보너스 등...))
•
상태? (todo, 계획 확정됨)
◦
todo 상태로 당일이 되면 피드 발송은 안되지만 disable 처리?
◦
피드 발송은 안되었지만, 당일 학습해야하는 계획은 맞으니, 일일 학습현황에 나타나야할까?
▪
학습 구성 세팅 방식
•
학습 구성은 최초에는 null 상태에서 선생님이 셋팅으로 채우는 방식
▪
CASE
•
AS/SA 없다가 생김(생성)
•
AS/SA 있다가 없어짐(삭제)
•
AS/SA 업데이트
•
피드 (Feed)
◦
발송된 피드는 발송 방식과 플랜별로 구분됩니다.
▪
KT-Plan to Feed (어떤 플랜에 의해 발송되었는지 구분)
▪
Group User - KT to Feed
▪
RCC to Feed
사용 시나리오
•
(전체 / 개별) Plan-Feed Manage Page
◦
Plan
▪
KT-Plan을 관리 및 조회할 수 있습니다.
◦
History (추후 고도화시 적용)
▪
Group User에게 발송된 Feed의 root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플랜을 통해서 발송된 피드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전체 / 개별) Feed Manage Page
◦
History
▪
Group User에게 발송된 Feed의 sibling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룹 내에서 발송된 모든 피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발송 기록 및 Plan Diff에 대해 Plan별 필터링이 가능합니다.
•
신규 기능에서 계획과 실제 발송 기록에 대한 비교가 가장 중요함. 다른 플랜에 의해서 방해받고 있는지 등에 대한 확인을 함께 확인하려면 전체 실제 발송 기록을 확인하는 영역이 중요함.
◦
다만, 플랜별 뷰어 기능이나, 플랜 필터링 기능은 현재로서는 니즈가 크지 않고, 필요하다면 제공할 수 있음
계획과 실제 발송된 피드의 차이점을 어떻게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까?
•
어떤 데이터를 기준으로 계획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것인가?
◦
소스
▪
피드 상태
•
계획한 지식을 포함한 피드를 새로 보내는 경우
•
계획한 지식을 포함하지 않은 피드를 새로 보내는 경우
•
다음에 학습해야 하는 피드를 당겨서 학습 → 새로 추가한 피드와 동일 취급
•
이전에 제대로 학습하지 못한 피드 다시 학습 → 새로 추가한 피드와 동일 취급
▪
학습 상태
•
계획한 지식을 포함한 피드를 미학습한 경우
•
계획한 지식을 포함한 피드를 부분 달성한 경우
•
계획한 지식을 포함한 학습을 완벽히 달성한 경우
▪
학습 결과
•
정답률, 학습 속도
▪
지식태그 판단
•
습득 여부
•
어떤 방식으로 보여줄 것인가?
◦
방법 1 : 일일이 비교하는 화면
◦
방법 2 :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화면
▪
일/주/월간 계획 준수율을 계산한다.
•
기준 : 100%가 이상치
•
데이터
◦
계획한 지식 수
◦
계획한 지식 습득 완료 수
▪
이상적인 목표 / 현실적인 계획 / 실현 결과 간의 비교
▪
나간 피드를 얼마나 완료했냐
▪
일/주/월간 추가 학습 비율을 계산한다.
•
기준 : 0%가 이상치
•
데이터
◦
당일 학습한 피드 수
◦
계획 외 학습한 피드수
▪
치팅 방지
•
정책의 영역에 관한 거라, 현재 단계에서는 X
•
SA 개수 기준 이하인 경우 감지?
•
피드 개수 → 치팅이 가능하지 않을까?
•
학습 결과 (부분학습/미학습 등, 정답률?)
•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을지 애매함.
◦
부족하게 학습하고 있음을 어떻게 추적할 것인가?
화면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까?
•
방법 1 : 메뉴 분리
◦
GU별 실제 발송 기록과 plan별 발송 기록을 나눠서 메뉴를 위치시킨다.
•
방법 2 : 통합 대시보드
◦
GU별 실제 발송 기록과 plan별 발송 기록을 합쳐서 메뉴를 위치시킨다. (모드만 전환)
◦
동일 메뉴에 모드를 나눠서 관리하기
▪
일정 관리 모드
◦
플랜 수정 모드
논의 사항
가설 및 지표
관리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