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퍼실리테이터/튜터가 여러 학교의 선생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학급관리 시스템을 구축
핵심 사용자
튜터
•
역할:
◦
교실 별 수업의 질을 평가하고 교육학적 피드백을 제공
◦
교실 별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
•
주요 업무:
◦
수업 평가 및 점검 - 수업이 원활히 진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 개입: 교육학적인 지도
◦
교육학적 피드백 제공 - 교사의 교수법, 학생 참여도 등에 대한 피드백 제공
◦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 및 교수법 적용을 돕는 역할
퍼실리테이터
•
역할:
◦
정부에서 파견되어 선생님을 지도하고 학교 운영을 지원
◦
수업 모니터링 및 개입 가능
◦
교사 관리 및 학사 운영 지원
•
주요 업무:
◦
학교 담당 및 교사 지원 - 각 담당 학교의 전반적인 학습 환경 및 운영 관리
◦
수업 모니터링 및 개입 -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필요 시 개입하여 개선
⇒ 개입: 교사가 딴짓하지 않는지 관찰
◦
근태 및 근무환경 관리 - 교사들의 근태 및 근무 여건을 점검하고 개선 조치
◦
교사 면담 진행 - 교사들과 1:1 면담을 통해 교육 방향 및 개선점 논의
MVP 설계
•
문제가 있는 학급의 정의
◦
‘진도율’,‘출석률’,‘정답률’이 낮은 학급
◦
‘기기 이슈’,’와이파이 이슈’가 많은 학급
프로젝트 범위
문제
튜터가 문제가 있는 학급을 확인하기 위해서 교사 계정에 로그인 해 교실 목록을 보고 대시보드 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 발생 → 학급 내부 페이지로 진입하기 전 까지는 어떤 학급의 진도율이 낮은지 파악하기 어려움
솔루션
튜터가 문제가 있는 학급을 빠르게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학급, 전체 학습 진도율, Day별 출석율, Day별 기기 고장 비율이 한 번에 보여지는 대시보드를 만든다.
•
튜터는 관리 페이지 접속 시 학급 별 진도율, 날짜 기반의 출석율과 기기 고장 비율을 알 수 있다.
•
학급 내부로 진입했을 때 기존의 대시보드 페이지가 보여진다.
포함하지 않는 프로젝트 범위
•
튜터는 확인하고 싶은 특정 날의 진도율을 확인해야 정확한 진도를 측정할 수 있고 선생님에게 진도를 달성하기 위한 피드백을 줄 수 있으나 현재는 커리큘럼 단위의 진도만 측정이 가능하다. 특정 날의 진도율을 측정할 수 있으려면 Day별 학습 완료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습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날짜 별 진도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을 2차 프로젝트 범위로 설정한다.
Figma
스토리맵
스토리맵은 퍼실리테이터,튜터의 업무 플로우를 중심으로 작성합니다.
업무플로우
회의 중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