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FB AIDT 플랫폼 웹저작물 탑재: 데이터 규격 정의

아래는 IHFB AIDT 플랫폼에서 웹저작물(이하 ‘클라이언트’)을 탑재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규격(프로토콜)에 대한 정의 문서입니다.
해당 문서에서는 웹저작물의 UI/UX나 디자인적인 요소는 다루지 않으며, 학생이 학습 활동을 수행하고, 그 기록 및 채점 정보를 플랫폼(이하 ‘플랫폼’)에 전달/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규격만을 다룹니다.

1. 용어 정의

IHFB AIDT 플랫폼: 이하 ‘플랫폼’이라 칭함.
웹저작물(Web Content): 이하 ‘클라이언트’라 칭함.

2. 요구사항

2.1 학생 정답 체크 및 답안 확인

설명
학생이 클라이언트(웹저작물) 내에서 문제를 풀고 답안을 제출하면, 이를 플랫폼에서 채점하여 정오답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플랫폼에서는 해당 정오답 및 학생 답안을 다시 조회하여 표시해야 합니다.
적용화면(예시)
선생님(LMS): 수업 페이지 / 사이드바 패널 / 학생 학습 요약 등
적용화면
학생(Student): 학습 진행 페이지 / 유닛 학습 요약 등
적용 화면

2.2 학생 활동 제출 기록 확인

설명
채점 여부와 상관없이, 학생이 클라이언트에서 어떤 활동(문제 풀이, 게임형 액티비티 등)을 했는지 그 기록이 필요합니다.
선생님은 학생의 활동 이력(정답, 오답, 해결 여부 등)을 플랫폼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생 역시 본인의 활동 이력을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적용화면(예시)
선생님(LMS): 학생별 풀이 기록 페이지
적용 화면
학생(Student): 본인이 풀이한 액티비티 내역 페이지
적용 화면

3. 데이터 규격 정의

플랫폼과 클라이언트가 주고받는 전송 데이터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숫자 리스트
예: 객관식 문제에서 선택지 번호(복수 선택 가능)
문자 리스트
예: 주관식 문제에서 텍스트 답안(복수 답안 가능)
JSON 문자열
예: 특정 액티비티나 게임형 활동에서 내부 상태를 JSON 형태로 전송
클라이언트(웹저작물)에서 학생 정답 체크를 위해 이 세 가지 형태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제출하면, 플랫폼은 이를 채점 로직 혹은 기록 로직에 반영합니다.

3.1 데이터 형태별 지원 항목

데이터 형태
채점 O/X 설정 가능
정오답 체크 가능
제출 답안 확인(플랫폼 UI에서 표시)
숫자 리스트 (객관식 단일/복수 선택)
가능
가능
가능
문자 리스트 (주관식 단일/복수 입력)
가능
가능
가능
JSON 문자열 (복합 액티비티 내역)
가능
가능
불가능 (액티비티 내 활동에서만 가능)

4. 구조

1.
클라이언트 → 플랫폼
학생이 학습 활동을 완료한 후, 해당 답안/활동 내역을 플랫폼으로 전송합니다.
플랫폼은 이를 채점 혹은 기록 저장 용도로 사용합니다.
2.
플랫폼 → 클라이언트
플랫폼에 저장된 학생의 제출 데이터(정답, 오답, 활동 내역 등)를 클라이언트로 다시 전송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재렌더링(예: 학생이 이전에 어떤 답을 적었는지, 어디까지 진행했는지 표시)하거나 활동 복원 등에 사용합니다.

5. R&R(Role & Responsibility)

클라이언트 (웹저작물 개발사)
플랫폼이 지정한 데이터 포맷/프로토콜에 맞춰 제출 로직(정답/활동 내역 전송) 구현
플랫폼에서 전달받은 제출 데이터(정답/활동 로그 등)를 활용해 UI 재렌더링 로직 구현
플랫폼 (IHFB AIDT)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정답/활동 내역을 저장정답 체크 (혹은 별도 로직 연동)
저장된 데이터(답안/결과/활동 기록 등)를 클라이언트에 재전송하여 학습 내역 표시

6. (개발가이드) WIP>>..

7. 제약 사항

1.
학습 데이터 연동 시
a.
연동 방식
i.
SDK 설치
ii.
아래 문서 내용 참고하여 이벤트 전송 필요
b.
인식할 수 있는 정보
i.
학습 완료 여부, 정오답 여부, 정오답 내용
밀당 플랫폼에서 연동되는 예시 화면
2.
학습 데이터 미연동 시
a.
저장하기 / 불러오기만 할 경우
b.
연동 방식
i.
SDK 설치
c.
인식할 수 있는 정보
i.
없음 (단순 화면 노출)
밀당 플랫폼에서 연동되는 예시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