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다양한 학습 효과를 가진 저작물에 대한 탑재 필요성 높아짐
•
화이트보드, 알지오매스와 같이 다양한 저작물에 대한 하나하나 대응이 아닌 외부에서 제작한 형태의 활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답안이나 활동에 대해서 플랫폼에서 표현할 수 있는 통신 규격 필요
프로젝트 목표
•
어떤 저작물이든 우리 플랫폼에서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제공하자
•
개발 범위의 R&R을 명확히 나눌 수 있으며, 개발사가 자체 테스트 가능한 사이트를 전달
요구사항
•
어떤 타 서비스 사용할지? (구체적인 서비스는 확인 중)
•
최종 문제가 풀린 내용과 학습 내용들도 선생님에게 공유가 가능해야한다.
•
학생이 풀고 있는 현황에 대해서고도 선생님의 모니터링이 가능해야한다.
•
게이미피케이션 형태의 웹 저작물을 임베드 시키고자 한다.
•
LMS 에서는 선생님이 답을 볼 수 있어야 함. 학생들의 답안 내용, 답안도 볼 수 있어야 함
•
재검정 대비해서의 컨텐츠 제작 준비가 가능해야함
•
1월 중순에는 외주사에 프로토콜 규격 전달 필요
•
지학사 탑재 저작물
◦
예상 개수
◦
미 래엔
현황 및 확인 중인 사항
•
UDL 이나 번역의 경우 iframe 형태로 넣을거라 대응 불가능
◦
외부에 문제 자체 내에서 번역 버튼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풀 수 있는지 확인 필요
•
알지오매스랑 비슷한 형태로 개발 방향 진행 예정
◦
외부 링크 공유형으로 임베드 가능
•
예상 필요 정보
◦
문제 유형
▪
활동형 / 문제형
◦
학생 정보
▪
학생 아이디
◦
학습 정보
▪
학습 유형 (활동형/ 학습형)
▪
정답
▪
풀이 시간
◦
학습 진행 관련 정보
▪
정오답 여부
▪
답안
▪
해설
▪
정답 표현 유형
솔루션
•
프로토콜 통신 규격 지정 및 docs 제공
◦
공통 저작물 정의 형태
•
임베딩 블록 형태 제작
•
채점 판단 여부
◦
CMS 에서 정답안을 같이 받아서 채점을 플랫폼에서 진행하는 방향
•
유형 정의
◦
활동형
블록 구현 가능한 내용
액션
•
기술적 검토 필요
◦
미래엔 미팅 확인 내용
◦
(과정 속 데이터), 결과 데이터 정의
◦
채점 O/X 형에 따른 가능 여부
◦
제약 사항, API 형태의 가안, 제공 형태
•
BE 리소스 확인
한계
•
번역
•
UD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