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현황 및 히스토리
•
액티비티 > 문항 > 블록 종류에는 두가지 타입이 있다.
◦
자동 채점이 가능한 “답안 블록” 타입 (ex. 객관식, 주관식)
종류
◦
비정형 답변으로 인해 자동 채점이 불가능한 “활동 블록” 타입 (ex. 그리기 등 )
종류
◦
답안형, 활동형 답안 블록은 반드시 문항 번호 내 포함해야 한다.
▪
활동형의 경우 문항 번호에 1개 이상의 활동 블록을 추가할 수 있다. (문항번호 + n개의 활동 블록)
▪
답안형의 경우 문항 번호에 1개의 답안 블록을 추가할 수 있다. (문항번호 + 1개의 답안 블록)
(
1개의 질문에 2개의 답안 블록이 있을 수 없어요!)
•
시스템의 한계와 실무적인 필요로 인해 “활동 블록” 타입이라도 채점을 원하는 요구사항이 있다.
보완사항 원본
◦
과제 유형의 한계
▪
그리기 활동이나 파일 업로드 과제 - 학생이 파일(PDF, Word, 이미지 등)을 업로드하거나 손으로 작성한 답안을 제출하는 경우, 시스템은 내용을 자동으로 읽거나 채점하기 어렵다.
▪
서술형 답변의 복잡성 - 학생이 입력한 긴 서술형 답안의 논리와 구조를 시스템이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해 정확한 평가가 어려움.
◦
시스템 오류 및 수정 필요
▪
답안 설정 오류 - 시스템에 미리 등록된 답안이 잘못 설정된 경우, 자동 채점이 잘못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교사가 수동으로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
평가 기준 수정 - 정답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다양한 답변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이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오답으로 처리할 수 있음.
◦
출판사 요구사항
▪
활동 유형에도 - 지식태그를 추가해서 정오 판단 후 추천 학습을 보낼 수 있게 하고 싶다.
문제 상황
보완사항 원본
•
R&D - 모든 활동을 자동 채점이 가능한 “답안 블록”으로 제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시스템 - “활동 블록” 타입은 채점할 수 없고, 기존 “답안 블록”은 자동 채점 후 수정이 불가능하다.
•
학생
◦
제출한 학습에 대한 정/오답을 확인할 수 없다.
•
선생님
◦
시스템의 한계와 실무적인 필요로 인해 타입과 상관없이 채점 수정이 필요하다.
고려사항
•
활동 AS 채점 관련 - 대시보드, 학습요약 등에서 어떻게 정답률 처리할지 고려 필요
채점 프로세스 개선
모든 유형에 대해 직접 채점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자동 채점 가능한 유형은 그대로 활용하되, 필요 시 직접 채점을 허용하고, 기존에 자동 채점이 불가능했던 유형까지 직접 채점으로 관리범위에 편입한다.
용어
채점표
일괄 / 개별 채점 유닛
문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