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booster 스쿼드의 더욱 풍부한 회고를 위해 정리한 템플릿입니다. 이 템플릿을 복사하여 각자가 생각하는 바를 중심으로 정리해보고, 함께 모여서 의견을 나눕니다. 회고의 진행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크게 두가지 축으로 나누어 회고를 진행합니다.
(목표 달성, 스프린트 중심 회고 & 업무 프로세스 중심 회고)
1.
각자 템플릿을 채워서 가지고 오기
•
서로의 것을 참고하면 비슷한 항목이 나오기 쉽기 때문에, 각자의 문서로 정리해보기
2.
회고 진행
•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가 무엇이었는지 얼라인하고 시작하기
◦
없었다면, 우리가 향하고 있던 지향점이 어디었는지 이야기해보기
•
정리해온 문서를 토대로 이야기 나누기
◦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한 일들인지 생각해보기
◦
성과가 뚜렷하지 않은 일이라도, 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 점검해보기
•
첨언할 부분, 조정할 부분 이야기해보기
3.
Try들을 토대로 새로운 목표 정리하기, 스스로의 & 팀 단위의 액션 플랜 마련해보기
목표 달성 - 스프린트 중심 회고
진행했던 스프린트 중심으로 회고를 작성해 봅니다.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 과정에서 어떤 것을 배웠는지 생각해 봅니다. 성과가 뚜렷하지 않은 일이라도 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면 함께 기록합니다.
@김영훈
•
이번 스프린트에서 잘 진행했다고 생각한 점은 무엇이었나요?
→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었다.
•
이유는 무엇인가요?
→ 서로 의견이 안 맞는 부분에서 의견 조율이 잘 되었다.
•
팀이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긍정적인 요소는 무엇이었나요?
→
@민호 이
•
이번 스프린트에서 잘 진행했다고 생각한 점은 무엇이었나요?
→ 커뮤니케이션
•
이유는 무엇인가요?
→ 첫 스프린트 진행임에 불구하고 커뮤니케이션 코스트가 많이 들어가지 않았다고 생각
•
팀이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긍정적인 요소는 무엇이었나요?
→ 커뮤니케이션 코스트를 지속적으로 줄이기 위한 노력
@경민 이
•
이번 스프린트에서 잘 진행했다고 생각한 점은 무엇이었나요?
→ 타팀과의 논의가 잘 된 듯함. (필요한 요구사항을 잘 캐치해서 기획이 잘 된듯함)
→ 소통도 원활했음
•
이유는 무엇인가요?
→ 보통 타팀과 논의하면 관점의 차이로 사족이 많이달리는걸 많이 경험했는데, 서로 합의점을 잘 맞춘듯 함
•
팀이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긍정적인 요소는 무엇이었나요?
→ 제품을 작은부분으로 잘 쪼개서 점진적으로 발전시켜나가는 방향성을 유지했으면 좋겠음
→ 타팀과의 원활한 소통
@혜인 김
•
이번 스프린트에서 잘 진행했다고 생각한 점은 무엇이었나요?
→ 문제의 핵심만 빠르게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함께 마련한 것
→ 타 팀과 협업이 잘 진행되었다는 점
•
이유는 무엇인가요?
→ 문제에 기반한 우선순위를 잘 설정해서 큰 무리 없이 해당 에픽을 잘 수행했다고 생각합니다.
→ 특히 상담 포인트의 내용구성에 대해 타 팀과 지속적으로 미팅을 진행해서 의견을 조율해 나가면서 주간 카톡에 필요한 텍스트들을 잘 다듬어 나갔다고 생각합니다.
•
팀이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긍정적인 요소는 무엇이었나요?
→ 문제에 기반한 우선순위를 잘 설정하는 것, 그에 따른 확장 계획과 백로그 수집
@김영훈
•
이번 스프린트에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 업무일정을 남기는 채널이 여러군데이다. → Jira, Confluence, Slack 등
•
왜 어려웠다고 생각했나요?
→ 한번에 일정을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문제 해결을 방해한 요인은 무엇인가요?
→ 업무일정을 확인하는 채널을 하나로 통일한다.
@민호 이
•
이번 스프린트에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 배포 일정 커뮤니케이션
•
왜 어려웠다고 생각했나요?
→ 배포 일정 및 이슈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해소가 되어야 하나 내부적 커뮤니케이션은 잘 되었지만 이에 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했던 것 같다
•
문제 해결을 방해한 요인은 무엇인가요?
→ POC에 대한 명확한 정의
@혜인 김
•
이번 스프린트에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 버그배시 이후 배포까지의 진행사항에 대한 체크가 부족했던 점
→ 배포 과정에서의 이슈 트래킹이 잘 안됐던 점
•
왜 어려웠다고 생각했나요?
→ 어떻게 잘 체크할 수 있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
문제 해결을 방해한 요인은 무엇인가요?
•
→ 체크 과정에 대한 복잡성?(지라도 봐야하고,, 슬랙도 봐야하고 Prod 주소도 봐야하고,, 매번 물어봐야 하는 것도 일인듯)
@경민 이
•
이번 스프린트에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 개인적으로 구두로 논의했었던걸 어딘가에 잘 안남겨뒀었던 것 같다.
•
왜 어려웠다고 생각했나요?
→ 사소한 이슈여서 바로 구두로 논의한걸 구현해버린 뒤에 남기는걸 잊음
•
문제 해결을 방해한 요인은 무엇인가요?
→ 습관의 문제
@김영훈
•
다음 스프린트에서 개선을 위해 무엇을 시도해볼 수 있을까요?
→
•
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실험해보고 싶나요?
→
@민호 이
•
다음 스프린트에서 개선을 위해 무엇을 시도해볼 수 있을까요?
→ 외부 커뮤니케이션 강화
•
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실험해보고 싶나요?
→ QA의 미팅 조인, 스쿼드 운영 방향에 대한 프로세스 정리 및 진행 노티스
@혜인 김
•
다음 스프린트에서 개선을 위해 무엇을 시도해볼 수 있을까요?
→ 버그배시 이후 배포까지의 진행사항을 슬랙에서 항시 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보기
•
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실험해보고 싶나요?
→
@경민 이
•
다음 스프린트에서 개선을 위해 무엇을 시도해볼 수 있을까요?
→ 잊지않고 사소한 것들도 공유될 수 있도록 기록하기
•
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실험해보고 싶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