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VP spec 정의

MVP spec

기능

각 팀에서 이미 생성된 상담 기록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생별로 한 곳에서 조회할 수 있는 웹 기반의 뷰를 제공해요.
단, “어떠한 데이터를 보여줄 것인가”를 정해야 해요.

범위

초기에는 데이터 입력 기능을 제외하고, 기존에 수집된 데이터를 중앙화하여 보여주는 것에 집중해요. - CRUD중 Read만 제공해요.

구현 방식

1.
밀당 Hub 사이트 제작
2.
학생별로 상담 기록을 조회
3.

해결할 수 있는 문제 및 요구사항

정보 유실 방지: 분산된 상담 기록을 한 곳에 모아봄으로써 정보 유실을 방지하고, 팀 간의 정보 연속성을 확보해요.
업무 효율성 향상: 각 팀이 학생의 상담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어요.
서비스 품질 개선: 선생님과 온택트 팀원이 학생의 과거 상담 내용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요.
팀 간 협업 강화: 중앙화된 정보를 통해 팀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지고 협업을 강화시켜요.

적절한 spec 일까?

현실적인 접근: 각 팀의 기존 업무 프로세스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핵심 문제인 정보 유실을 해결할 수 있어요.
빠른 구현 및 가치 제공: 개발 리소스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빠르게 MVP를 출시할 수 있어요.
향후 확장성: MVP를 기반으로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고, 이후 단계에서 데이터 입력 기능과 추가적인 관리 기능을 도입할 수 있어요.
리스크 최소화: 새로운 시스템 도입에 따른 혼란이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어요.

향후 발전 방향

데이터 입력 기능 추가
상담을 함으로써 산출되는 메모, 특이사항 등의 데이터는 상담 이라는 데이터와 연관 지어서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도록 합니다.
상담 분석
상담 기록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공유하면 초기 환불율이 감소할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