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othesis
•
선생님은 학생의 한 주 학습 분석을 바탕으로 학부모에게 매주 데이터 기반의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선생님과 학부모와의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이로인해 중도 이탈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Verification
중간 판단 지표
•
기한
◦
2025년 01월 06일 (월) ~ 2025년 02월 27일 (금) 총 5주
•
대상자
◦
영어 온택트본부 일반 반의 특정 선생님 ( 영어 3개 팀 +@ 공부중독 C반 )
◦
수학 온택트본부 일반 반의 특정 선생님 ( 수학 2개 팀 )
▪
모수가 많은 중3 ~ 고1 / 상대적으로 성적에 향상에 대한 부담감이 적은 중 1~2 에서 선정
◦
5주 기준 신규 인입 150~200명을 인입 하여 테스트 할 수 있는 선생님 수 ( 약 10명 )
◦
선생님의 성과 기준을 3단계로 구분하여 상 / 중 / 하 군으로 균등 선정
•
검증
◦
매주 취합
◦
에픽이 사용자에게 딜리버리 되었을때 그 인터렉션 로그를 통해 근본적인 사용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형태
•
사용자(교사)가 학부모 주간 카톡을 전송 하는가?
사용자(교사)들이 제공되는 대시보드를 이용하여 학부모 주간 카톡을 금요일마다 발송하고 있는가
최종 판단 지표
•
기한
◦
2025년 01월 06일 (월) ~ 2025년 02월 27일 (금) 총 5주
•
대상자
◦
영어 온택트본부 일반 반의 특정 선생님 ( 영어 3개 팀 +@ 공부중독 C반 )
◦
수학 온택트본부 일반 반의 특정 선생님 ( 수학 2개 팀 )
▪
모수가 많은 중3 ~ 고1 / 상대적으로 성적에 향상에 대한 부담감이 적은 중 1~2 에서 선정
◦
5주 기준 신규 인입 150~200명을 인입 하여 테스트 할 수 있는 선생님 수 ( 약 10명 )
◦
선생님의 성과 기준을 3단계로 구분하여 상 / 중 / 하 군으로 균등 선정
•
검증
◦
매주 취합
◦
에픽이 사용자에게 딜리버리 된 후 가설 내용인 환불률이 유의미하게 감소 되었는지를 확인
•
딜리버리 된 아이템(솔루션)을 통해 실제로 환불률이 감소 되었는가?
딜리버리된 아이템(솔루션)을 이용하여 주간 학부모 카톡을 보낸 선생님의 학생들의 환불률이 감소 되었는가?
Validation
중간 판단 지표, 결과 판단 지표로 분류하여 검증 결과 도출
•
중간 판단 지표
◦
결과와 상관 없이 딜리버리된 아이템(솔루션)을 유효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판단
•
결과 판단 지표
◦
딜리버리된 아이템(솔루션)을 사용함에 따른 그 결과가 사전에 설정된 가설의 유효성을 판단
◦
딜리버리된 아이템(솔루션)자체에 대한 유의미한 사용성이 존재하는지 판단
중간 판단 지표
•
아이템 기준
◦
사용자(교사)
사용자(교사)들이 제공되는 대시보드를 이용하여 학부모 주간 카톡을 금요일마다 발송하고 있는가
•
가설 기준
◦
사용자(교사)
사용자(교사)들이 학부모 주간 카톡을 보낸 학부모의 학생들의 환불률이 감소하였는가
결과 판단 지표
•
가설 기준
긍정적 결과
중립적 결과
부정적 결과
정성 평가
•
학부모 만족도 평가
◦
단순 설문을 통해 해당 기능을 통해 전달받은 학부모의 만족도가 얼마나 되는지 정성 평가 진행
DATA
•
•
DB 테이블
확인 필요 @김영훈
APPENDIX
Archive - 기존 문서 내용
사전 준비
대조군 데이터 ( 선정 후 )
•
만족도 설문지 작성
•
운영 매뉴얼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