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팀에게 확인해야 하는 정보
수학 수업 과정
•
수업의 어느 포인트에서 피드백이 많이 일어나면 좋을지?
피드백 현황
•
선생님 한명이 한명의 학생에게 체감상 피드백을 얼마나 제공하고 있는지
피드백에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 - 수학팀은 ?
•
액티비티별
◦
문제가 어떤 유형 인지
◦
학생이 답안이 틀렸다면 학생이 고른 보기가 왜 틀렸는지, 정답이 왜 정답일 수 밖에 없는지
◦
해당 문제와 연관된 선행 지식
◦
문제를 풀기 위한 힌트
◦
문제를 왜 틀렸는지 파악하기 위한 질문
•
유닛별
◦
문제별 관계성을 고려해 피드백 요청 필요
◦
학생의 성취도 별로, 피드백 내용이 달라지면 좋을 것 같다.
◦
Q&A(학생이 질문할 법한 내용)
피드백 줄 때 어려운 점?
수학 문제로 피드백 포인트 테스트 (시연 완료)
•
문제별 관계성을 고려해 피드백을 요청했을 때 의미있는 결과가 나옴
예시
이상적인 피드백 제공 시나리오 요청(요청 완료)
논의 내용
수학 온택트 선생님분들과의 회의
•
피드백 현황
◦
4일에 한 번 돌아가는게 일반적이다.(이부분은 영어와 동일)
◦
퀄리티 있는 피드백을 준다고 해서 연장률이 높아지는 것은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이부분은 검증해보면 될 것 같다.
•
피드백 종류
◦
참고자료 등을 참고한 역질문
◦
액티비티별 → 피드백이 필요한 경우 → 단계별 힌트 제공
◦
커리큘럼 - 후행 학습 제공
◦
피드백 속도 / 정성 → 학생에게 마이너스가 되지 않도록 제공하는 것이 지금의 목표
•
피드백 줄 때 어려운 점?
◦
필기를 토대로 역질문을 남기기 어려움
◦
너 이거 몰라서 틀렸지? → 를 선생님이 제공하는 것이 긍정적인 포인트 라는 가설을 세웠음 → 아하 모먼트를 제공했을 때 지표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웠음
◦
코칭의 퀄리티 보다는 분배가 더 중요하다.
▪
학생이 코칭이 누락되지 않도록
◦
어떤 학생에게 피드백이 안가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내가 물어보지 않으면, 터치를 하지 않았으면 하는 학생도 있다.
◦
티칭의 성의와 능력을 끌어올려야 한다.
◦
참고자료 활용이 함께 필요하다.
◦
어떤 순간에 이걸 던지는게 좋을지 타이밍을 의식하는게 필요하다.
◦
어떤 학생들에게 어떻게 전달하는게 효과적인지 판단을 해야 한다.
수학 온택트 회의
1.
문제가 이미지로 되어있어서 긁어서 gpt를 돌리는 경우가 거의 없다.
2.
수학선생님들은 피크타임에 학생들에게 얼마나 피드백을 주고 있을까?
•
피드백 종류:
◦
유닛단위의 정오답률 → 틀린문제 확인하고 짚어주는 것
◦
문제 단위에서는 필기에 대한 피드백. 손필기나 이미지를 통해 받은 풀이에 대한 피드백
◦
역질문: 애들이 이 문제를 틀렸다면 이 문제도 잘 모를 것이다라는 걸 생각하고 질문한다.
▪
GPT를 쓴다면 역질문의 확장일 것 같다.
◦
해설을 한 번에 주는 경우는 많지 않다. 3단계로 끊어서 준다. 단계별로 힌트를 제공하면서 풀이를 도와줌.
1.
학생들에게 제공했을 때 감동을 주는 피드백은 어떤 게 있을까?
•
커리큘럼 쪽으로 후행을 해야한다거나 … ???
•
선생님의 피드백이나 정성에 있어서, 비대면이라 피드백을 덜 한다는 것에 대한 의심을 덜어야 한다.
•
피드백할 때는강의를 들은 것처럼 질문해야한다거나 필기에서 역질문을 해본다든가 이런 게 힘들다.
1.
아하 모먼트가 발생하는 경우
•
이거 몰라서 못 풀고 있지를 최대한 적은 횟수만에 알려주고 풀이에 도움이 되었을 때. 아하를 준 것 같다.
•
아하가 발생했을 때 카운트가 어려워 수치적으로 개선되었음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
코칭률: 선생님이 코칭을 할 때마다, 버튼을 누르게 해서 카운트/트래킹을 하고 팀원들을 그 수치에 대해 피드백을 했었다.
◦
우리가 주는 피드백을 카피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도 좋을 듯
•
코칭의 분배가 중요하다. 50~60명을 관리할 때 누락되는 아이들이 없어야 한다.
•
우수사원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봤을 때 카톡 내용이 개판인 분들 중에서도 우수사원인 경우가 있었다. 그분은 자신을 스타강사처럼 해서 팬덤을 만드는 형식으로 했었다. 그래서 코칭만이 답이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어떤 사람에게 피드백이 안가고 있는지 알림을 줄 수 있어야 병행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
건드리지 말아야 연장이 되는 아이들이 있다.
◦
내가 물어보지 않으면 나한테 말걸지마 하는 애들이 있다
1.
온수연이 만들어지기 전에 했던 게 딱 이거다!
•
문제, 학생 수준이나 풀이에 따라 스크립트가 달라지는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았다.
•
다만 콘텐츠적으로 막혔었다.
•
대표님이 콘텐츠팀에 안하고 챗지피티한테 시키는 이유가 있냐고 물어보긴 했다.
◦
맥락에 맞게 잘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게 콘텐츠팀이기 때문에 그런 말을 한 것 같다. 딥러닝이 되는가???
•
아이들을 학습성취도와 적극성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그 집단에 따라 지도 시 유의사항이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생각했다.
•
동기가 낮은 학생에게는 역질문을 많이 주고, 동기가 높은데 수준이 낮은 경우는 학생이 할만한 질문을 리스트업해놓고 답변을 미리 준비해놓는다.
•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텍스트 데이터로 저장해놓고 GPT에게 학습시켜놓으면 어떨까?
1.
스크립트를 복사해서 보내는 건 괜찮나요?
•
네!
•
하루 한번 피드백 가능할 것 같다!
•
학생들마다 커리큘럼이 다달라서 역질문하기가 어렵다
•
아이가 모르는 걸 질문했을 때는 괜찮은데, 역질문을 했을 때 아이의 답변이 이상하면 거기서 부하가 들어가기 때문에 역질문을 꺼리게 된다.
◦
단답형이나 객관식이 아니면 부하가 크다 → 빈칸채우기 느낌
◦
아이가 강의를 보고왔다면 충분히 답변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느낌의 질문들이 좋다.
1.
피드에 포함되는 내용
•
문제에 대한 개념
•
어떤 순간에 이걸 던지는지 효과적인가에 따라서 그때에 맞게 질문을 던진다. → 아무 때나 피드백을 던지는 게 아니다!
•
40명까지는 할 수 있긴함
모르겠어요 버튼
•
공부하기 싫은 학생들이 저걸 모두 클릭해서 선생님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할 우려가 있다.
•
선생님 입장에서 반발이 있을 것 같은 기능이다.
•
3문제 연속으로 어려워요를 눌렀을 때 선생님한테 알림이 가서 ‘그만 풀어라’라는 액션을 취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려워요 해지 버튼이 있어야 한다.
•
정오답 영향이 가지 않는 선에서 아이의 이해도를 알 수 있다면 좋다. 지식태그가 달리면 너무 좋을 것 같다.
•
채팅에 이모티콘 꼭 개발해주세요.
GPT로 시연하기
•
문제 간의 관계를 고려해서 피드백 주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