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시스템 개선 미팅 - 개발팀 미팅

선생님 학생(유닛 피드백) 기능 우선순위 높여서 구현 예정
학생 선생님(어려워요) 기능은 사전 검증 후 구현 여부 논의 예정
사전 검증을 위한 기능 개발 일부 필요
GPT 세팅 - 하진님이 이번주 이내로 처리 예정

아젠다

우선순위 관련 논의
GPT 사용 관련 논의

우선순위 관련 논의

선생님 학생(유닛 피드백) 기능
타겟 가설 : 피드백 횟수를 늘린다.
해당 기능은 선생님 리소스를 줄여줄 수 있는가?
선생님의 업무량을 줄이진 않음. 오히려 업무 추가 예상.
다만, [학생 선생님] 보다는 업무량이 낮음.
사전 검증 없이 배포 후 프롬프팅 테스트 진행 예정
기능 개발 범위
문제 SA
팀 선정(중2~고1) 중 선정 예정
한정된 팀에 기능을 노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서브도메인 사용 등 방법 고려 필요
학생 선생님(어려워요) 기능
타겟 가설 : 수업 적응을 돕는다. 피드백 횟수를 늘린다.
선생님이 해당 기능에 잘 대응할 수 있는지 검증 필요.
어려워요 요청에 대한 선생님에게 push 보내기 기능
실시간 학습 현황 페이지를 이용해볼 수 있을 것 같다. (Good Idea)
다만, 처음부터 들어가는건 고려 필요
모든 요청에 Alert 생성은 노이즈 우려. 특정 조건에 한정해서 Alert을 띄워주기 (연속 어려워요 요청 등)
사용성 테스트 계획

GPT 사용 관련 논의

유닛 요약시, SA 필터링 필요성에 대한 논의
요약에 활용할 SA는 "오답" 및 "어려워요" 표시한 것만 필터링.
문제 SA로 한정.
GPT 답변 정보 저장 방안
SU 피드백
GPT 답변 정보를 SUI에 저장한다.
우선은 테스트 단계에서 SUI 이외 범위에 저장하는 것에 대해 고려 X
학습 완료 전에 피드백이 필요한 상황에 대해서도 고려 필요
당장 저장하지 않더라도, SA 저장을 위한 구조적인 확장에 대한 준비는 필요하다.(BE)
SA 피드백
GPT 답변 정보를 SA에 저장한다.
SA 변경에 대한 플래그 확인 필요
요청수를 줄일 수 있는 방안 필요
유즈 케이스 한정
문제 SA로 한정한다.
팀 선정(중2~고1)
답변 출력 속도
테스트 필요함.
답변 생성 시간이 2분 이상 소요되지 않도록 조치
답변 생성에 2분 이상 소요 시, "어려워요" + "틀림" 요청에 대해 사전 처리 고려.
비용
초기 단계에서는 비용 최적화보다 기능 테스트에 집중.
팀 선정 후 비용 측정.
이미지 인식 기능은 GPT 적용 전 OCR 활용 후 프롬프트 연결.

별도 의견

유닛 내 피드백 제공 대상 SA를 한정할 경우, 피드백 퀄리티가 낮아진다.
비용 최적화 방안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하다.
SA 개별 분석에는 저렴한 모델을 사용하고, 통합 분석시에 gpt 4o mini를 사용하는 등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