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시스템 개선 미팅 - 영어 온택트

영어 과외 과정

1.
단어 - 단어테스트 - 강의 - 문장독해 - 문제 - 문장 암기
2.
단어 테스트, 문장독해, 문제 각 단계별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단어 액티비티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문제점
예문 부재로 단어 사용 맥락 이해 어려움.
유의어와 반의어 정보 제공 부족.
단어 암기 후 실제 학습 효과 확인 어려움.
복습 체계 부재로 단어 기억 유지에 대한 문제.
단어 테스트 관련 피드백은 선생님 기량에 좌우됨. 타자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요구사항
틀린 단어에 대해 피드백이나 추가 학습을 제공하고자함.

문장 독해 액티비티에도 피드백 시스템 적용 필요

현재 문제점
상호작용 부족 및 채점 기능 부재.
문제점
문장 독해 10분이 넘어가면 수업진행이 어려워지는데, 학생은 어렵다고 말하길 어려워함.
기초 학습 부족으로 문장 구조 이해 미흡 (주어/동사 파악 어려움).
독해 과정에서 베껴서 입력하는 경우 발생 → 학부모 컴플레인.
학생 스스로 어려움을 표현하지 않는 경우 선생님 개입 필요.
문제 해결 요구사항
학생이 어려움을 표현하지 않아도, 선생님의 개입이 필요한 타이밍을 알 수 있어야 함.
액티비티 진행 시 학생에게 힌트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 필요.
힌트를 제공하려면 학생이 주어와 본동사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함.
문장 독해 피드백 개선 방안
선생님의 통제하에 힌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피드백 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다.
1.
단계적 힌트 제공
문장 끊어 읽기 기능 제공.
문장 구조를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이해 돕기.
모르는 단어는 각주 형태로 제공해 참고 가능하도록.
2.
힌트 제공 방식
선생님 통제하에 힌트 범위 설정 (개별 활동/전체 단원).
주어와 본동사 파악을 돕는 힌트 시스템.

내신 대비를 위해서는 피드백 시스템 강화가 필요함

내신 대비 교재는 선생님이 상세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문장 독해 피드백 제공이 내신 대비에서 더 큰 효과를 낼 가능성.
2025년 중학교 교과 과정 개편으로 관련 문제 심화 예상.

학생 연장 사례

학생 약점(단어, 문법, 문제 유형)을 정확히 파악하고 보완 시 만족도 증가.
시각적 피드백 및 상세 보강 제공이 연장에 긍정적 영향.

AI 기반 서머리 기능 및 피드백

AI를 활용한 서머리 기능이 유용하지만 선생님 확인 절차 필요.
진단 정확도 및 개선점 지속 확인 필요.

현재 가장 큰 문제점

영어와 수학의 PT를 5500개를 유지하고 있는 서비스의 형태에서 더 이상 단순히 문제 풀이에 대한 무언가를 보내준다는 효과적이지 않을 거라고 생각함
피드백 제공이 잘 안되고 있음
피드백이 4일 동안 한 번 제공된다는게 가장 큰 문제이다.
이건 선생님이 나태해서가 아니라 타자로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선생님 평균 피드백 제공 횟수(한 주에 한 학생당 몇번의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는지 횟수 카운트)
기능 제공 전/후로

피드백 내용 보강 필요

피드백에 활용 필요한 정보
지식태그
참고자료
정답률이 낮은 액티비티
피드백에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
문제가 어떤 유형 인지
학생이 답안이 틀렸다면 학생이 고른 보기가 왜 틀렸는지, 정답이 왜 정답일 수 밖에 없는지
해당 문제와 연관된 선행 지식
문제를 풀기 위한 힌트
문제를 왜 틀렸는지 파악하기 위한 질문

핵심 키워드

문장 독해
액티비티별 힌트
내신은 선생님이 피드/유닛/액티비티에 대한 깊은 파악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액션 플랜

1.
이상적인 피드백 제공 시나리오 개발
단계별 피드백 제공 방식 정리 필요
온택트 본부서 테스트 후 전달 예정
2.
피드백 시스템 개선
선생님이 쉽게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설계

직접 카톡 대화랑 수업 피드 비교해서, 피드백 리포트에 필요한 데이터 리스트업

1.
정오답 여부
2.
문제 푼 시간
3.
정답률
4.
참고자료
5.
지식 태그
6.
액티비티 평균 정답률, 평균 푼 시간 → 문제 푼 학생들의 모수가 너무 적어서 평균을 정의하기 어렵다.

이를 통해 뽑아낼 수 있는 피드백 리포트 구성

1.
문제 유형: 빈칸 추론, 제목 선택, 인물의 심경 추론 등등
2.
이 문제와 관련된 개념: 전치사 사용, to 부정사
다 맞았으면 “너는 이런 개념에 대해서 잘 알고 있구나”
틀렸거나 시간이 오래걸렸다면 “이런 개념에 대해 부족하구나”
3.
개념과 관련해서 예문이나 문장 재구성(빈칸 → 퀄리티가 낮음. 모르는 걸 알려준 뒤에 바로 묻는 거기 때문에 정답이 뻔함, 문장재구성, 틀린부분 찾기)
4.
피드백 종합 평가
1,2번을 통해서 학생이 어떤 유형에 약하고, 강하고를 데이터를 쌓고 이를 다음 리포트의 input에 넣기
→ 피드백 summary, script가 너무 길어도 안될 것 같다. 카톡으로 보내줘야하기 때문에.

내일 수학팀에게 확인해야 하는 정보

피드백 현황
피드백 종류
참고자료 등을 참고한 역질문 > GPT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액티비티별 → 피드백이 필요한 경우 → 단계별 힌트 제공
커리큘럼 - 후행 학습
피드백 속도 / 정성 → 학생에게 마이너스가 되지 않도록 제공하는 것이 지금의 목표
피드백에 포함되어야 하는 정보 - 수학팀은 ?
액티비티별 / 유닛볏
문제가 어떤 유형 인지
학생이 답안이 틀렸다면 학생이 고른 보기가 왜 틀렸는지, 정답이 왜 정답일 수 밖에 없는지
해당 문제와 연관된 선행 지식
문제를 풀기 위한 힌트
문제를 왜 틀렸는지 파악하기 위한 질문
수학 수업 과정
수업의 어느 포인트에서 피드백이 많이 일어나면 좋을지?
피드백 줄 때 어려운 점?
필기를 토대로 역질문을 남기기 어려움
너 이거 몰라서 틀렸지? → 를 선생님이 제공하는 것이 긍정적인 포인트 라는 가설을 세웠음 → 아하 모먼트를 제공했을 때 지표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웠음
코칭의 퀄리티 보다는 분배가 더 중요하다.
학생이 코칭이 누락되지 않도록
어떤 학생에게 피드백이 안가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내가 물어보지 않으면, 터치를 하지 않았으면 하는 학생도 있다.
수학 문제로 피드백 포인트 테스트
이상적인 피드백 제공 시나리오 요청
선생님 한명이 한명의 학생에게 체감상 피드백을 얼마나 제공하고 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