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적별 이탈 / 생존 현황

분석 결과

원본 데이터

mock_test_grade대와 이탈 비율: 약 -0.043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이는 매우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school_test_grade와 이탈 비율: 약 -0.198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이는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로, 학교 성적이 낮을수록 이탈 비율이 높다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학교 성적대가 이탈 비율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모의고사 성적대와의 관계는 매우 미미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school_test_grade 기준으로 합치고 경향 확인

이 데이터를 보면 등급이 높은 학생일수록 이탈 비율이 높은 경향이 확실하게 나타납니다.
이탈 비율이 8등급은 38%, 1등급은 58%로, 성적대가 낮을수록 이탈 비율이 낮고, 성적대가 높을수록 이탈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성적대별로 이탈 학생 수와 전체 학생 수를 고려한 이탈비율의 표준편차 계산

전체 이탈 비율은 약 47.88%로 성적대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높은 이탈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표준편차는 약 4.66%로, 대부분의 성적대에서 이탈 비율이 유사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큰 차이는 없지만 일부 성적대에서는 이탈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거나 낮다는 경향이 있습니다.
성적대별 이탈 비율 차이
성적대별로 이탈 비율을 살펴보면, 1등급8등급 간의 이탈 비율 차이가 약 20%로 매우 크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표준편차가 4.66%로 비교적 작은 수준이므로, 성적대 간의 이탈 비율 차이가 극단적으로 커지지 않는 한, 대부분의 성적대에서 비슷한 수준의 이탈 비율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성적대가 높을수록 이탈 비율이 높아진다는 경향이 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1등급의 이탈 비율이 다른 성적대보다 높지만, 그 차이는 여전히 범위 내에서 변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성적대별로 이탈 비율이 크게 달라지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이탈 비율을 줄이기 위한 전략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정 성적대에서만 이탈을 줄이기보다는, 전체적인 학습 경험 개선이나 학생 지원 강화를 통해 이탈을 전반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1등급과 8등급 학생들 사이에 큰 이탈 비율 차이가 존재하므로, 1등급 학생들의 높은 이탈 비율을 줄이기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단, 고 성과 학습자의 인원의 분포는 총 인원 중 15.4%에 해당 하는 인원으로 이탈비율 50% 미만 인원이 포함 되어 있는 64% 인원에 비해 그 수가 적어 임팩트 레벨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저 성과 학습자를 위한 관리 기능이 필요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