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테스트 인원
•
선생님 : 8명
•
학생 : 16명
과목 | 학년 | 이름 | 찬택트 사용여부 | 다중채팅 사용여부 |
수학 | 초등 | 김혜미 | O | O |
수학 | 초등 | 박세리 | O | O (밀당 채팅은 하나만 띄워서 사용) |
수학 | 중1 | 고범주 | O | O |
수학 | 중1 | 이혜연 | O | O |
영어 | 초등 | 배지혜 | X | O |
영어 | 중1 | 이주은A | O | O |
영어 | 중1 | 김지민 | O | X |
영어 | 초등 | 이소진 | X | X |
•
◦
학습중- 학습시간 초과 및 포커스아웃학습중- 학습시간 초과(특정문제 시간초과)종료필요- 열공중출석미출석 /미접속출석종료필요미출석 /미접속
◦
등의 시나리오를 확인 할수 있도록 진행
확인하고자 한 내용
1.
기존 카카오톡 사용성과의 차이
2.
상태 태그
3.
연동 기능의 유효성
테스트 결과 해석
1.
기존 카카오톡 사용성과의 차이
•
모든 채팅방이 다 안보여서 불안하다.
◦
채팅방을 띄워 놓았을때 미리보기가 필요하다
◦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
⇒ 기존에 하나의 채팅방으로 관리하는 선생님은 불편함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관리를 위해서 여러개의 채팅방을 제공하는 방법도 필요하긴하다.
•
⇒ 카카오톡, 네이트온, 버디버디 등에 절여져 있다.
다중 X ————— 다중 O
영훈 - 현영 - 나래 - 한준
1.
상태 태그 유용성
a.
채팅방 리스트로 상태를 더 잘 확인했다.
b.
미접속, 미출석 태그 유용했다
•
열공중 태그가 유효했다.
◦
다만 알아서 막 푸는 경우의 케이스를 대응하기 어렵다
◦
피드 외 페이지에서도 열공중…
•
관리를 놓치는 학생이 없다 (읽씹한 학생)
•
답변 필요 태그에 대한 혼란으로 계속 들어가보는 사용성이 있다. (안읽씹) → 우선순위를 낮추거나?
•
답변 필요 태그 기준 시간 축소 필요 (3분에서 2분 정도로?)
•
안읽은 메시지 순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
미출석 상태는 아니지만 수업시작은 안하는 학생 놓칠 수 있음
3.
연동 기능의 유효성
a.
문제 바로 보여지는게 유용하다.
b.
학생 이름 { } 넣기 / biff 텍스트
c.
고정 멘트 전송
4.
도입할 수 있는가?
a.
(몇 % 일까?)
KEEP
•
미출석, 미접속 등 놓치는 학생들을 바로 알 수 있게 됨
•
안내 받은 후 바로 열공중
인 학생들의 안심함
PROBLEM
•
상태 태그들이 학습관리 도움에 큰 역할이 되지 못했음
◦
답변 필요의 상태값에서 관리의 혼란을 일으킴
◦
명확한 관리 - 미관리 학생의 구분이 필요함
•
기능상 오류보다 SAI 문제 보기까지 보여졌을때 임팩트가 더 컸을것 같은데, 찬택트의 기능으로만 작용해서 기존 채팅 대체의 사실들이 너무 아쉬움
TRY
•
기능이 익숙한 상태에서의 테스트 필요
•
태그 값에 대한 직접 적인 유용함으로
◦
문제를 잘 풀고 있어요. 조금 주의가 필요해요.
◦
확실히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애들을 구분해주자!
️ 수업이 어떻게 더 잘해야하는지
•
선생님의 불편하다보다 학생이 수업을 잘 받기 위해서
•
학생이 재결제를 하는 이유
•
학습이 잘 되고 있다는 느낌 (수업 경험의 효용성)
◦
멘탈 모델
이후 일정
•
진짜 수업이 잘되는건 어떤 모델일까 논의
•
5월 말, 6월 정기 시간 마련
Table
Search
Table
Tab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