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팅 베타 테스트 결과

배경

테스트 인원
선생님 : 8명
학생 : 16명
과목
학년
이름
찬택트 사용여부
다중채팅 사용여부
수학
초등
김혜미
O
O
수학
초등
박세리
O
O (밀당 채팅은 하나만 띄워서 사용)
수학
중1
고범주
O
O
수학
중1
이혜연
O
O
영어
초등
배지혜
X
O
영어
중1
이주은A
O
O
영어
중1
김지민
O
X
영어
초등
이소진
X
X
학습중- 학습시간 초과 및 포커스아웃학습중- 학습시간 초과(특정문제 시간초과)종료필요- 열공중출석미출석 /미접속출석종료필요미출석 /미접속
등의 시나리오를 확인 할수 있도록 진행

확인하고자 한 내용

1.
기존 카카오톡 사용성과의 차이
2.
상태 태그
3.
연동 기능의 유효성

테스트 결과 해석

1.
기존 카카오톡 사용성과의 차이
모든 채팅방이 다 안보여서 불안하다.
채팅방을 띄워 놓았을때 미리보기가 필요하다
더 정확히 알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 기존에 하나의 채팅방으로 관리하는 선생님은 불편함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관리를 위해서 여러개의 채팅방을 제공하는 방법도 필요하긴하다.
⇒ 카카오톡, 네이트온, 버디버디 등에 절여져 있다.
다중 X ————— 다중 O
영훈 - 현영 - 나래 - 한준
1.
상태 태그 유용성
a.
채팅방 리스트로 상태를 더 잘 확인했다.
b.
미접속, 미출석 태그 유용했다
열공중 태그가 유효했다.
다만 알아서 막 푸는 경우의 케이스를 대응하기 어렵다
피드 외 페이지에서도 열공중…
관리를 놓치는 학생이 없다 (읽씹한 학생)
답변 필요 태그에 대한 혼란으로 계속 들어가보는 사용성이 있다. (안읽씹) → 우선순위를 낮추거나?
답변 필요 태그 기준 시간 축소 필요 (3분에서 2분 정도로?)
안읽은 메시지 순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미출석 상태는 아니지만 수업시작은 안하는 학생 놓칠 수 있음
3.
연동 기능의 유효성
a.
문제 바로 보여지는게 유용하다.
b.
학생 이름 { } 넣기 / biff 텍스트
c.
고정 멘트 전송
4.
도입할 수 있는가?
a.
(몇 % 일까?)
KEEP
미출석, 미접속 등 놓치는 학생들을 바로 알 수 있게 됨
안내 받은 후 바로 열공중 인 학생들의 안심함
PROBLEM
상태 태그들이 학습관리 도움에 큰 역할이 되지 못했음
답변 필요의 상태값에서 관리의 혼란을 일으킴
명확한 관리 - 미관리 학생의 구분이 필요함
기능상 오류보다 SAI 문제 보기까지 보여졌을때 임팩트가 더 컸을것 같은데, 찬택트의 기능으로만 작용해서 기존 채팅 대체의 사실들이 너무 아쉬움
TRY
기능이 익숙한 상태에서의 테스트 필요
태그 값에 대한 직접 적인 유용함으로
문제를 잘 풀고 있어요. 조금 주의가 필요해요.
확실히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애들을 구분해주자!

️ 수업이 어떻게 더 잘해야하는지

선생님의 불편하다보다 학생이 수업을 잘 받기 위해서
학생이 재결제를 하는 이유
학습이 잘 되고 있다는 느낌 (수업 경험의 효용성)
멘탈 모델

이후 일정

진짜 수업이 잘되는건 어떤 모델일까 논의
5월 말, 6월 정기 시간 마련
Table
Search
버그 리스트
Name
Note
재연필요, 부연설명 필요
고정 채널을 고려했을 때 이슈 없음
COUNT8
Search
Name
Tags
Effort
Impact
기능추가
Big Effort
Small Impact
COUNT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