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DT 디지털 교과서

1. 애초에 비대면을 가정하고 만든거라서 학교 실제 현장에 적합한것인지 의문이다. 1. 차라리 LMS → B2C 복제가 필요한게 아닐까한다. 2. 아이들 화면을 보고 싶어한다. 3. 교사가 본인 모니터에 붙어있는 시간이 거의 없음. 그나마 테블릿 들고 다니시는 4. 원페이저에 익숙해져있음 (포탈형 서비스) 2. 학교 현장에서 선생님들이 여유가 없다. 1.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복제된 미러링을 사용하시려고 함 (환경 통제) 2. 수업시 공유 하고자 하는 화면, 3. 학생별 정오답 상황은 활용 잘하고 있는 상태 4. 화면 공유 눌러서 보여지는것도 잘 활용 (화면 공유시 반응이 되는) 5. 학생 모니터링 탭은 거의 안쓰심 3. 교사가 생각보다 통제하고 싶어하는 상황들이 많음 1. AI 챗봇 4. UX Writing 을 중학생 시선에 맞게 작성이 필요하지 않을까 5. 맞춤형 학생이 하나도 안됨 6. 선생님이 CMS 들어가서 컨텐츠 고치는 것이 어렵다. 1. 과 외 행동이라서 7. 화면 공유 1. 특정 위치를 데려가는 것만 하는데, 통제의 영역 확대가 필요하다. 2. 가장 많이 쓰시는데 3. 자료 SA 에 인베드된 기능은 안뜸 8. 느린학습자 대응이 어려움 1. 형성평가 풀려 놓고 그 시간안에 선생님이 문제의 레벨을 조율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이들의 질문들 대응에 바쁘심 9. 모니터링과 프레젠트 기능의 혼동, 혼재 10. 콘텐츠 구성으로 1. 소단원끼리 묶여 있는게 좋음 (최대값, 도수분표표) 2. 진도가 보이는 것 3. 차시 기준으로 구성하는게 아닐수도 있음 11. 타겟 : 시스템을 잘 활용하는 사람들, 잘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들 / 기존에 교과서를 안쓰셨던 선생님들 1. 어디까지 커버할 것인가? 2. 우선 서울 상도중학교 (QR로 로그인 진행 예정) 1. 이진영 팀장님 담당 / 이미란 선생님 2. 관리, 수업 효과에 대한 포커싱 3. 을 메인으로 포커싱해본다. 이번 스프린트 확정 사항 아이디어 : 노션 R&D 이슈/버그 : 엑셀 시트 (의사 소통용) 챗봇에 대한 이슈 손필기 OCR 이 되겠다고 판단해서 혼란이 있음 자료 SA 에 손필기를 붙이는 것들 의견 취합용의 액티비티 * 추가 액티비티 : 주관식의 경우 선생님이 생각하는 올바른 답을 한번 적어볼 수 있도록 * 자료 SA, 문제 SA 타입에서 정답 체크를 해제 안하는 방법으로 개발하는 건 어떤지 / 정답 표시가 안되도록 * 말해보자 → 학생들이 작성하는 공간이 따로 없음 * 모든 SA에서 손필기 가능하도록 * 화면 공유 해서 자료 SA 에 인베드된 기능은 안뜸 * 선생님이 의도한 화면이 안 떠있기에 수업 중 혼란이 있음 * 손필기 SA 에 붙일수 있는 방향 25.1월 : 에듀테크 박람회 25.3월 : 출판사와 협업 결정이 나고 해당 교과서를 쓰는 학교에 테스트를 해보는 일정 EBS : 촬영일자

실증 회고

선생님들이 잘 활용하는 기능
AI 모둠 배정 셋팅하고 수정 가능하도록 하는 것
AI 디지털 교과서 참여
실제 기업 : 비트루브, 블루가, 엘리스, 구름
우리의 차별점 : 교사가 수업을 컨트롤 할수 있는 기능
기술심사 검정 기준 (확인 하기)
컨텐츠 지식 관리 시스템
예시 엑셀시트 보여주신 부분
선생님들은 수업 이외의 행정 처리 하는 것들이 많이 있음
수업 준비를 하는 시간을 CMS 대체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럼 기존에 선생님들이 수업 준비는 언제하는지?
디바이스와 수업 환경에 따른 손필기 기능의 베리에이션
모니터링의 고도화
질문
우리도 학생의 인터뷰나 의견이 있을까요?
4주 동안 노트북으로 수업한게 꿈 같았다.
참여하는 수업에 실질적인 형태였다.
다른 업체들의 형태나 우리가 부족한 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다른 업체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
비트루브에서 CMS 드래그앤 드랍
AI 코스웨어가 잘되어 있다고 생각함 (비트루브, 엘리스)
다음 실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