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 | BE | QA | Data |
개요
현황 및 히스토리
•
지식태그를 활용한 플랜 기능이 도입될 예정
문제 상황
•
메인 액터인 선생님은 플랜 기능이 번거로운 작업이 하나 더 늘어나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
선생님은 플랜을 짜는 것 보다, 플랜을 잘 짤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 받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플랜 기능을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목표 지식 수를 세팅할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목적
•
선생님에게 플랜 기능의 핵심 가치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
정확한 목표 지식 수를 세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Key Results
•
목표 지식 수를 세팅하기 위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솔루션
논의 사항
가설 및 지표
•
메인 측정 지표
1.
학생의 첫주간 동안의 학습 목표 달성률
•
목적
◦
진단고사 및 레벨 분류 체계, 초기 목표 설정 가이드가 적절한지 확인할 수 있다.
◦
선생님이 신규 학생의 개별 요구사항, 학습 목표, 역량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측정 가치
◦
학생의 수준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진단고사인지 평가할 수 있게 된다.
◦
내부 가이드가 적절한지 평가할 수 있게 된다.
◦
신규 학생/학부모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
측정 방법
지표
학생별 초기 학습 목표 달성률 ((학생별, 첫 1주일만, 레벨별, 일별) 습득 완료 지식 수 / 계획한 목표 지식 수)
가설
진단고사의 결과가 정확하고 선생님이 초기 설정 학습 목표가 적절했다면, 달성률이 높을 것이다.
초기 학습 목표 달성률이 낮다면,
- 진단고사가 학생의 레벨을 적절히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 레벨별 적정 하루 학습 지식수 가이드가 적절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후속 액션
- 진단고사 및 레벨 분류 체계를 개선한다.
- 레벨별 정적 하루 학습 지식수 가이드를 조정한다.
2.
학생의 학습 목표 달성률
•
목적
◦
학생별 학습 목표의 적절성과 학습 계획의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
측정 방법
지표
(일별/주별) 학생별 학습 목표 달성률(습득 완료 지식 수 / 계획한 목표 지식 수)
가설
선생님이 설정한 학습 목표가 적절했다면, 달성률이 높을 것이다.
달성률이 낮다면,
- 선생님이 설정한 목표가 적절하지 않다는 의미이다.
후속 액션
- 지속적인 트래킹 및 하루 학습 지식수 조정을 통해 달성률이 변동하는지 확인한다.
•
지표 보완점
◦
적절한 목표 지식수를 파악하기 위한 부가 정보 필요
▪
학습 속도
▪
하루 소화 가능한 학습 분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