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체적인 업무 진행 플로우

신규 스프린트 시작 1주전 (직전 스프린트 4주차) ~ 스프린트 1주차
직전 스프린트 회고 진행 : 스프린트가 마무리 된 이후 해당 스프린트에 진행했던 과제들에 대한 회고록을 작성하고, R&D 본부 전체 회고 미팅 진행
해당 스프린트내 진행 과제 킥오프 미팅 참여 : 디자이너, 개발자, QA까지 킥오프 미팅을 진행하며 4주간 진행하게 될 과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검증 진행 시 중요하게 봐야할 부분을 생각해볼 수 있는 미팅 진행
스프린트 업무 계획 : 본인에게 할당되는 과제들에 대해 티켓을 미리 생성하고, 업무량 예측 및 업무 계획 수립
할당된 티켓 목록 - R&D 본부 과제 목록 엑셀 시트 확인
각 업무별 스토리 포인트 책정 - 예상되는 업무 시간 스토리 포인트에 기입 (시간 단위)
각 스프린트 별로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해당 스프린트 내 전체 할당 업무의 스토리 포인트 총합은 약 80을 기준으로 작성
스프린트 2주 ~ 4주차
각 에픽별로 스프린트 내 배포일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에픽별로 QA 진행을 위해 배포일 최소 3~4일 전으로 개발 완료 및 stage 배포 일정 확인
스테이지 배포 하루 전, 혹은 스테이지 배포 당일 슬렉 rnd-qa-notice 채널에 게시글 작성
Ex) [nn스프린트] 에픽명
PROD 배포 예정일 : 3/29 (금)
밀당/스쿨 PT = 배포범위
@김시원 @김한준 @배아란 : 관련된 모든 담당자 태그
배포 범위 및 해당 에픽 담당자는 R&D 본부 과제 목록에서 확인 가능
스레드로 해당 에픽 TC 스프레트 시트 공유
디자이너 태그 및 노티 후, 시작조건 검증 완료된 후 검증 진행
해당 주차에 배포 예정인 과제가 있을 경우 검증 및 배포 준비
검증 진행 시 모든 관련 소통은 rnd-qa-notice 채널에 만들어둔 해당 에픽 게시글내 스레드로 진행
버그리포트 : 이슈 티켓 생성 (이슈 등록 시 템플릿 참고)
이슈 티켓 해결여부 확인 및 재검증
논이슈로 설정된 이슈 제외 전체 이슈 티켓 재검증, 해결 확인되면 최종 배포 승인
차주 검증 예정인 과제 TC 작성 및 검증 준비
테스트플랜 작성
요구 사항 문서, 커버리지, 계획, 테스트 준비, 시작/종료 및 sign off 조건, 이슈관리
기능 요구사항 정리 작성 (figma 디자인/기획서 참고)
시작 조건 작성 (가장 필수적인 기본 기능 점검으로 구성)
TC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