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평가
개요
콘텐츠 학습 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피드백이나 만족도, 난이도 체감 등 학생의 자기 진단류의 피드백을 받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기능
문제 정의
•
기능 정의
◦
사용자(학생)은 자기 평가로 인식 될 수 있는 별도의 콘텐츠를 통해 객관식 혹은 주관식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를 작성하여 선생님에게 제출 할 수 있어야 하며, 이 제출 된 결과를 토대로 선생님의 피드백 혹은 부족한 영역의 숙제를 제공 받거나 자습 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추천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사용자(선생)은 사용자(학생)의 자기 평가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어야하며, 이를 통해 정성적 피드백 혹은 숙제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하여야 한다
•
문제
◦
CMS에서 객관식 문제 및 주관식 문제를 통해 대체가 가능하나, 자기 평가 즉 정답이 없는 정성 평가 임에 불구하고 문제 유형으로 채점이 진행 됨.
◦
노출 역시 (교과) 문제 형태로 노출 되고 있어 실제 사용자가 이를 명확하게 자기 평가 영역임을 인지 하지 못 함
◦
문제로 존재하기에 결과 역시 문제로 저장되어 이를 차후에 학급별 대시보드 등 별도의 리스트 기능을 구성 시 문제가 존재
문제풀기로 만들어진 설문 대체 콘텐츠 ( M-공부중독반_학생 만족도 설문 : CC 발췌 )
목표
사용자(학생)는 특정 주기 별 (차씨 가 아닌 단원의 종료 시점 혹은 시작 시 ) 자기 평가를 통해 나의 현재 상태를 자가 진단을 통해 스스로의 목표를 설정하거나, 이를 통해서 사용자(선생)에게 현 상황을 공유해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사용자(학생)
◦
시각적으로 SA과 구분 되는 자기 평가를 제공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객관식 혹은 주관식으로 자기 평가에 대해 답하고 이를 제출 할 수 있어야 한다
◦
제출 된 자기 평가를 통해 사용자(선생)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제출 된 자기 평가를 통해 AI 튜터를 통해 콘텐츠를 추천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사용자(선생)
◦
제출 된 학생의 자기평가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어야 한다
◦
학급 기준으로 제출 된 학생들의 자기평가를 모아볼 수 있는 별도의 페이지가 존재하여야 한다
◦
학생의 자기 평가에 정성적 피드백으로 학생에게 답변을 제공 될 수 있어야 한다
◦
학생의 자기 평가를 기준으로 AI 보조교사를 통해 콘텐츠를 추천 할 수 있어야 한다
작업 범위
아래의 형태는 현재 기준 가장 적은 업무 범위 지니기 위한 최소 단위의 작업이며, 이보다 더 적은 업무 범위로 동일한 효과가 나올수만 있다면 얼마든지 변경은 가능 하다
•
신규 타입의 SA(객관식, 주관식)를 추가해 학생들이 자가진단 평가를 제출하고, 선생님은 그 결과를 기존 SA 문제 결과와 같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작업
해당 SA 또는 블록은 유형 타입을 구분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추후 대시보드 등에서 존재하게 될 리스트업 페이지에 그 값이 노출 될 수 있도록 라벨링 되어야 한다.
•
일반 SA - 필수
◦
SA 타입 추가 ( 과목을 가리지 않음 )
▪
객관식, 주관식
▪
정답과 상관 없이 제출 가능
▪
정답에 대해 판단하지 않음
▪
노출 유형 타입 추가
•
액티비티 유형 타입 “자기 평가” 추가 및 스트링 노출
예제
•
블록 SA - 고려
◦
자기 평가 전용 블록 추가
▪
객관식, 주관식
▪
정답과 상관 없이 제출 가능
▪
정답에 대해 판단하지 않음
▪
타입 영역에 “자기 평가” 스트링 노출
추후 고려 사항
•
해당 타입으로 수집 되는 내용을 별도의 페이지에서 리스트업 하여 볼 수 있도록 제공
◦
Ex ) 커리큘럼 대시보드의 “학생별 학습 기록” 형태의 리스트업 페이지
•
해당 결과를 통해 AI 튜터 혹은 보조교사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
제출 후 학습 요약에서 배제
참고자료
•
능률
•
지학사
◦
수학 : 소단원 / 대단원 끝나고 할 수 있어야 함
◦
영어 : 사전에 자가 체크의 영역에 대한 고려 필요
◦
텍스트로 작성하고 제출한다.
◦
선생님들이 정성평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개발 가이드라인 - 자기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