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 | BE | QA | Data |
박성민 | 염규완, 피터 | 배아란 | 김정훈, 조하진 |
개요
현황 및 히스토리
•
현재까지 지식태그를 생성한 후 이를 활용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현을 완료했습니다.
•
지식맵과 함께 병행 개발 예정입니다.
목표
•
지식벡터와 User KT 개념 도입
◦
지식태그가 포함된 학습시, 학습자의 학습 속도(가이드 시간 이하)와 정답률(80% 이상) 기반으로 지식 습득 상태를 자동 평가해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수동 판단 시스템
◦
지식 습득 여부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하지만 자동 판단 시스템은 몇가지 요인으로만 판단하기 때문에 완벽하게 분석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학생 또는 시스템의 실수 등, 복잡하거나 주관적인 부분에서는 선생님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선생님이 추가적으로 판단해 수동으로 결과를 바꿀 수 있도록 시스템 구현이 필요합니다.
◦
이에 따라, 선생님의 필요에 따라 학습 및 평가 상태록 조정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해, 학습자의 지식 상태를 조정해 보다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전체 프로젝트 내에서의 구현 의미
•
지식태그가 포함된 학습/평가를 통해 사용자별 [지식태그 데이터와 지식벡터]가 업데이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당 기능을 통해 선생님은 학생의 일일 학습 성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게됩니다.
사용성 목표
•
누락 없이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합니다.
•
대시보드에서 학생별 일일 학습 성과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
지식태그 습득 여부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연관 데이터를 쉽게 해석할 수 있다.
Key Results
•
사용자별 지식벡터와 User KT 개념을 도입합니다.
•
학습한 피드에 포함된 지식태그 연관 SAI의 일일 습득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합니다.
•
학생의 일일 학습 성과 정보를 선생님이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리서치
솔루션
사용자별 지식벡터와 User KT 개념 도입
•
지식태그 연관 SUI의 학습 결과를 자동 판단해 데이터로 쌓을 수 있습니다.
•
지식태그 연관 SUI의 학습 결과를 선생님이 판단해 추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가 쌓일 때 지식벡터와 User KT가 업데이트 됩니다.
지식태그가 포함된 학습에 대한 일일 습득 여부 시각화
•
어떤 데이터를 보여줄 것인가?
학습 내역에 관한 데이터
판단 내역에 관한 데이터
•
어떤 위치에서 보여줄 것인가?
◦
실시간 학습 현황에서
▪
실시간 학습 현황에서 개별 학생 사이드바에서 지식태그 버튼을 클릭하면, 지식태그별로 일일 습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dialog 띄워서 보여준다.
▪
이전 일자 항목은 해당 위치에서 퀵 이동 버튼을 눌러 별도 메뉴로 이동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별도 대시보드 메뉴에서(이번 범위 제외)
▪
학생별로 전체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의 일일 학습 성과 정보를 선생님이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지식태그 연관 SUI별 일일 학습 성과에 대한 정보를 선생님이 수동 입력할 수 있습니다.
•
학습 성과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수동 입력 완료시, 지식벡터와 User KT 데이터가 업데이트 됩니다.
판단 내역에 관한 데이터
논의 사항
•
지식태그의 지식맵상 경로가 다르면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
지식태그 단위로 그룹핑하고, SU 단위에서만 지식맵 경로를 보여주도록 처리한다.
•
지식태그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처리
◦
미분류 데이터를 어떻게 보여줄지에 대해서는 BE, DATA에서 별도 논의 예정
•
지식태그 내에 AS가 없는 경우
◦
이번 범위에서는 일일 학습 현황 페이지에서 해당 케이스를 대응하는 UI를 추가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음을 감안해 구조 설계 필요.
User KT 관련 정책 논의 정리
가설 및 지표
로그 설계
•
일일 학습 현황 버튼
◦
daily_learning_dashboard_b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