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영님이 아이헤이트플라잉버그스에 합류하게 된 계기!
◦
환경이 중요한 사람
◦
스타트업 창업 멤버로 시리즈 A 까지 키웠었는데,
◦
나의 1년이 어디에서 과연 더 폭풍 성장할까
◦
조건 3가지 기존에 나의 제로투원 능력을 발휘, 개발팀 30-50, 의사 결정권 자와 잦은 커뮤니케이션을 기준으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
그리고 무엇보다 면접에서 PD 경현님의 냉철하고 분석적인 면모와 CTO 재우님의 조직 문화와 Get Shit Done 마인드가 맘에 들어서
•
어떤 일을 하고 계신가요?! 프로덕트 매니저란? (Point: 비개발자들도 이해하기 쉽게!)
◦
조직마다 시기마다 PM의 역할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
지금 저희 신규 시스템이 자리 잡으면서 엄청난 매출 성장을 하고 있는데
◦
프로덕트 규모나 선생님들 규모에 비해서 프로덕트 조직이 굉장히 작아서 할일이 태산입니다.
◦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기능 - 실제 사용, 운영 사이의
▪
기능만 런칭하는게 아니라 유저 소리 중간중간 조율하고, 실제 어떻게 쓰고 있는지 확인하고, 데이터로 확인하고 불편사항 박고
◦
여러가지 요구사항들을 모아서 가장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가장 효율적인 리소스를 활용해서 만들 방법을 고민하고는 하죠
◦
다만 우리에게는 제한된 시간과 리소스가 있으니까 이에 따른 배치나
•
R&D 본부가 요즘 집중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뭔가요?
◦
올해
▪
AIDT 디지털 교과서 사업
▪
밀당 PT
•
기존
•
B2B - 메가 /
•
지식 시스템
▪
스쿨 PT
◦
요새 저희는 디지털 교과서 사업을 준비중에 있어요
◦
기존에 온택트 선생님의 1:1 제품외의 학교에서 사용성으로
◦
그래서 기존에 밀당에서 제공하는 경험과 학교 안에서의 경험들을 상상해 나가면서 만들고 있어서 너무
◦
그리고 규모가 있다보니까 기본적으로 준수 해야하는 규정들을 만들어 나가면서 점점 더 체계들도 단단해져가고 있습니다.
•
유저랑 워낙 가까이 있는 제품 개발팀이다 보니 이런 저런 요청이 많을 것 같아요. 우선 순위를 어떻게 결정하시는지도 궁금해요.
◦
시기에 따라 다릅니다.
◦
크게 4가지 인데요
[업무의 유형]
•
R&D가 주로 받는 오해도 있을 것 같은데… 오해를 푸는 시간을 가져 볼까요?!
◦
R&D는 너무 바빠..
◦
오해는 아닙니다.
◦
이해 & 오해
▪
신규 기능에 대한 이해
▪
•
R&D 자랑하는 문화
•
핵심가치
•
오류 제보 채널
•
On Off 분석
•
자주 묻는 질문
•
워크샵 단체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