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New?
CMS에서 액티비티별로 참고자료를 등록하고, LMS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CMS > 메타 콘텐츠 관리 메뉴 > 콘텐츠 편집 > 액티비티 추가 및 편집 > 새로만들기참ㄱ
CMS > 메타 콘텐츠 관리 메뉴 > 콘텐츠 편집 > 액티비티 추가 및 편집 > 편집 페이지
LMS > 실시간 학습 현황 메뉴 > 피드탭 > 개별 피드 > 개별 액티비티 Item
내부 이슈로 참고자료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추후 수정될 예정입니다.
LMS > 실시간 학습 현황 메뉴 > 피드탭 > 개별 피드 > 결과보기 페이지
어떻게 사용하나요?
•
[CMS/메타 콘텐츠 메뉴 > 액티비티 추가 및 편집 메뉴]에서 참고자료 작성, 수정, 삭제, 순서 이동, 이미지 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작성 방법
참고자료의 SET 개념에 대해
참고자료 수정, 삭제, 순서 이동 방법
•
CMS에서 작성된 참고자료를 [LMS/실시간 학습 현황 > 피드탭과 결과보기 페이지]에서 참고자료 조회 및 이미지 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복사 기능 사용 방법
참고자료 유형 종류
유형 | 설명 |
역질문 | 역질문, 퀴즈(O/X, 빈칸 맞추기 등) |
역질문 답 | 역질문의 답, 퀴즈 답, 정답 및 해설 등 |
보기별 피드백 | 문제 액티비티의 경우 보기 번호별 해설 및 피드백
* 1~5번 합쳐서 작성하지 않고 번호별로 구분해 피드백을 작성합니다. |
핵심 개념 설명 | 해당 액티비티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개념 등 |
강의 타임스탬프(추후 구현 예정) | 강의에서 참고해야하는 구간 입력 |
학습 자료 | pdf, ppt 등 액티비티와 연관된 참고 문서 |
FAQ | 액티비티와 연관된 학생이 자주 묻는 질문 |
FAQ 답변(추후 구현 예정) | 액티비티와 연관된 학생이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 |
오답 원인(추후 구현 예정) | 해당 액티비티에서 학생이 “왜 틀렸는지”에 대한 원인을 기입할 수 있는 영역
작성 방식은 아래 예시 참고
ex. [오답 원인] “~~에 대해 몰라서 틀린 경우”
|
반복 사용 멘트 | 해당 액티비티 학습시 반복 사용하는 멘트 |
숙제 | 해당 액티비티와 연관된 숙제 내용 |
기타 | 정의된 참고자료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선택
기타 유형인 경우, 상세 분류 태그를 추가해주세요. |
참고사항
•
CMS에서 등록된 자료는 “공식 자료”라 지칭합니다.
•
현재는 CMS에서만 참고자료를 등록할 수 있고, LMS에서는 등록된 참고자료 조회만 가능합니다.
•
학생 페이지에서는 참고자료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
Coming Soon] LMS에서 참고자료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은 추후 추가될 예정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
FAQ
상세 분류는 어디에 활용되나요?
•
당장은 참고자료를 쉽게 탐색하기 위한 필터링 용도로 사용됩니다.
•
추후 예상 시나리오는 학생이 어떤 SA를 학습하고 관련 질문시 질문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좀 더 정밀하게 참고자료를 추천하는 용도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
ex. 질문 : 선생님 강의를 들어도 수동태가 잘 이해되지 않아요.
◦
위의 예시로 보자면, 상세 분류 없이 참고자료 유형을 “역질문”으로 둔다면 수동태라는 질문 키워드와는 상관없이 모든 자료가 추천됩니다. 이는 참고자료를 탐색하는데 추가적인 리소스를 사용하게 만듭니다.
◦
반대로 상세 분류에 수동태가 포함되어 있다면 위와 같은 질문에 우선순위를 높여 추천이 가능해집니다.
유형과 상세 분류의 차이점
•
“질문”이나 “답안”과 같은 요소는 대분류, 상세 분류는 소분류입니다.
•
위의 “상세 분류 활용 예상 시나리오”를 고려했을 때, 상세 분류에 들어가야하는 정보는 해당 참고자료의 핵심 개념 또는 키워드입니다.
•
다만, 아직 어떤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상세 분류를 추가하면 될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이를 정립하기 위한 시범 운영이 필요합니다.
학습 전 / 학습 후” 요소는 어디에 사용되나요?
•
학습 전, 후 요소는 추후 참고자료 추천시 어떤 타이밍에 학생에게 피드백을 띄워줄지 타이밍을 가늠하기 위해 필요한 상세 분류입니다.
•
상세 보기와 동일하게 태그 형식으로 적용될 예정입니다. (ex. 카테고리 : 질문 / 상세 분류 : 학습전, 수동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