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표준체계 구축 가이드 정리

Key Result

표준체계를 활용해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표준체계를 활용해 학습 활동을 평가하고, 루브릭 정보로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CASE 표준을 적용한다.

교육과정 표준체계

표준체계는 통합지원센터(aidt.keris.or.kr)에서 확인 가능(학습맵 지원 API 제공)
구성 요소
교육과정 분류 체계
구성 요소
내용 요소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내용 및 개념
맵을 그릴 때 노드에 적용 필요한 개념(중주제 까지는 일치 필요)
성취 기준과 구분됨.
구성요소
성취 기준(루브릭 포함)
성취기준은 영역별 내용 요소(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학습한 결과 학생이 궁극적으로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도달점을 의미
성취기준은 학생이 학습시 도달해야 하는 목표
지식태그 평가의 집합 느낌. 노드 하위의 지식태그를 특정한 기준으로 습득 수준을 판단하는 느낌.
구성요소

코드 관련

표준체계 코드표
내용 요소 코드표
성취기준 코드표

평가 루브릭

성취수준은 학생들이 각 교과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달 정도를 몇 개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수준에 속한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할 수 있는지가 명시적으로 제시
성취수준은 그 특성에 따라 3~5 수준으로 구분
’A/B/C’ 3수준에서 ‘A/B/C/D/E’ 5수준 사이로 구분

CASE 표준

CASE(Competencies and Academic Standards Exchange)는 교육과정이나 역량 체계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변환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서로 다른 교육과정 및 역량체계를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여 상호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함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교과에 대한 CASE 적용 예시

전송되어야 하는 내용

전송되어야 하는 학습자 데이터
학습자의 학습이력
학습자 ID
과목코드
식별코드
학습일시
학습시간
성취기준 등급(루브릭)
평가결과
피드백
비고

위계 / 연계

각 교과별 대주제에 속한 소주제를 기준으로 학교급간, 학교급내의 내용에 대한 위계와 연계를 코드와 개념(소주제명), 성취기준, 선수 학습, 후수 학습(후속 학습/중등연계)으로 나타낸다.
위계표 요소
위계/연계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