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 발송 RFP (연수 버전)

개요

이번 21일 연수 버전에서 학생의 수준에 따른 추천 발송이 가능해야함
추천 발송 최소 버전을 구현함으로써 추후 가이드라인 요구사항에 맞는 기능의 최소 버전을 구현하고 해당 기능을 기준으로 추가 개선 개발을 진행할 예정

요구사항

학생의 정답률(상중하 성취율)에 따라서 맞춤형 추천 콘텐츠를 발송할 수 있어야 한다.
연수 버전의 발송 위치는 [커리큘럼 학급 대시보드] 에서 진행된다.
커리큘럼 학급 대시보드의 각 Unit 별 AI 보조교사 추천 발송 버튼을 활용
대시보드 AI 보조교사가 Unit 학습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표현해야 한다.
주의사항*: 연수용으로 준비되는 버전이지만 하드코딩이 되면 안됨. 이 버전을 기반으로 개선 업데이트 예정.

이번에 고려하지 않아야 할 것

검인정 전 작업해야할 것
유닛에 연결태그를 구성 (출판사 요구사항에 있으나 연수 버전 이후에 작업 필요)
지식태그를 통한 추천 (추후 작업해야하나 지식 태그 관련 선작업이 필요)
학급(학습) 요약을 통한 AI 보조교사 및 추천 발송
각각 학생의 SA 리스트를 편집하는 화면 (FE 리소스 고려하여 현재 버전에서는 제외)
각각 학생을 선택적으로 눌러서 발송하는 버튼
검인정 전에 하지 않아도 될 것
Depth 가 깊은 추천 알고리즘 (선지식태그 등을 고려한)
-

솔루션

AI 보조교사 (6번 영역)
AI 보조교사에서 학생의 정답률에 따른 성취율 분류, 가장 많이 틀린 문제 등을 설명하는 형태로 피드백
*코멘트 영역은 데이터 API 별도로 @data
추천 발송 버튼
학생의 상중하에 따른 전략에 따라 추천학습보내기 버튼 눌렀을때, 상중하에 따라서 구성
발송 전 다이얼로그
학생마다 발송하는 SA 개수 세팅하고 추천학습 발송
발송 시스템은 Sub CCC
Assignment 데이터 세팅이 필요
발송 완료 화면 필요
발송 후 확인
아래 피그마 확인 (숙제 목록)
Figma Card

추천 전략

상중하 기준
하: 정답률 0~40%
중: 정답률 41~70%
상: 정답률 71~100%
연결태그
선수 문제: 해당 SA를 틀렸을때 풀어야하는 선수 문제들
쌍둥이 문제: 해당 SA와 같은 유형의 쌍둥이 문제들
유사 문제: 해당 SA와 유사한 유형의 문제들
심화 문제: 해당 SA의 심화 버전의 문제들
추천 알고리즘 (콘텐츠 구성에 따라 변경 가능함. 하드코딩하면 안됨X)
성취율 하일때
선수 문제 + 오답 문제
성취율 중일때
오답 문제 + 쌍둥이 문제
성취율 상일때
오답 문제 + 유사문제 + 심화 문제
위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적절하게 연수용 콘텐츠를 구성
[전체 보조교사]
우리 학급의 커리큘럼 전체 정답률이 학년 평균 대비 약 8% 가량 낮게 나타났습니다. 가장 성취도가 낮은 수업은 [~]입니다.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좀 더 세심한 지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수업 보조교사 멘트]
전체 30명 중 상위 성취율은 8명, 중위 성취율은 12명, 하위 성취율은 10명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Activity] 문제의 정답률이 10%로 가장 낮았고,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추천 학습을 통해 학생들에게 보완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연수팀 콘텐츠 논의 내용]
[영어]
선수 문제, 쌍둥이 문제 개념이 없음.
선수 문제는 기초문제로 수정하여 추천 알고리즘을 아래와 같이 수정
기초문제 + 오답문제
오답문제 + 유사문제
오답문제 + 유사문제 + 심화문제
영어는 이번 연수사업에 정책을 잡으면서 진행하기엔 일정상 무리가 있어 우선 연수용 콘텐츠에만 임의 설계하려고 합니다.
[성취율 상]
심화문제는 틀린 문제 뿐만 아니라 맞은 문제에 대해서도 심화문제를 푸는 방향으로 제공
[문제 수]
유사문제 1개
쌍둥이문제 1개
심화문제 1개
진단평가/선수문제는 선수 개념 당 문제 1개
[연결태그, 지식태그]
현재 연수버전에서는 연결태그까지만 고려
[연수팀 추가 문의 사항]
정답률에 대한 기준을 바꿀 수 있는가?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이번 연수 버전에서는 아니더라도 시스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영어
성취율 하
선수문제 → 진단평가
성취율 중
쌍둥임 문제 → 유사문제
쌍둥이 문제
영어에서는 향후 연결태그 전략이 바뀔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