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 준수
시각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해 다음 요소의 준수가 필요함
•
네비게이션
◦
기본적으로 단락 구분을 하지 않되, 단락 구분을 해야 할 상황이라면 단락대로 스크린리더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탭 키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단락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
표의 행과 열 표현
◦
표의 행과 열의 맨 윗부분에는 해당 수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헤더를 삽입함
◦
헤더 행이 하나만 있도록 정보를 단순화한다.
◦
표 외부의 제목으로 이동하여 추가 행과 병합된 셀을 제거한다.
◦
표 외부의 자료 또는 머리글 정보가 아닌 텍스트는 캡션 또는 테이블 설명으로 이동시킨다.
•
서체
◦
크기
▪
글자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A등급)
▪
최소 200%에서 최대 500%까지의 크기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
•
메뉴 및 인터페이스 구성
◦
정보를 조직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단축키 또는 메뉴를 포함한다.
◦
목차와 랜드마크, 북마크, 주석, 찾기, 페이지 이동, 콘텐츠로 이동, 스크롤 바,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
PC 기반 플랫폼의 경우 이러한 기능을 직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단축키를, 모바일 버전에서는 이를 조작할 수 있는 메뉴 섹션을 별도로 제공한다.
◦
콘텐츠는 서책형 자료와 같은 페이지와 목차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공한다.
◦
중단 없이 콘텐츠 흐름대로 연속해서 읽을 수 있는 건너뛰어 읽기(skippability)가 가능하도록 한다. 구조화하여 독립된 영역 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 영역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능(escapability)을 제공한다.
◦
문서에 있는 내비게이션 메뉴에 대한 청각적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
목차에 접근할 경우 읽기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 오디오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시각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접근성 준수를 권장함
•
하이퍼링크
◦
하이퍼링크를 사용할 경우 연결된 문서의 제목 또는 설명을 제공한다.
◦
하이퍼링크의 주소를 그대로 삽입하지 않는다.
◦
하이퍼링크의 제목을 ‘더 보기’ 등 링크의 내용을 알 수 없는 제목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
단락 별 제목
◦
단락 별 제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목차탭 또는 랜드마크 기능을 제공한다.
◦
단락 별 제목을 사용하여 페이지 구조나 개요를 제공한다.
◦
단락 별 제목을 사용하여 콘텐츠 하위 요소의 제목을 나타낸다.
◦
콘텐츠의 계층 구조와 제목을 일치시킨다. 건너뛰거나 생략하지 않는다.
•
색 대비
◦
텍스트와 텍스트 이미지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명도대비율은 최소 4.5 대 1 이상이 되어야 한다. 단, 다음의 경우는 제외한다.
▪
큰 텍스트(Large Text): 큰 텍스트와 텍스트 이미지의 명도 대비를 최소 3 대 1 이상으로 설정한다.
•
배경과 글자색의 대비 변경
◦
모바일 기기 또는 컴퓨터의 OS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접근성 기능(명도 대비, 색상 변경 등)과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청각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 준수
•
청각적 지시 사항에 대해 대체 수단을 제공해야 함
◦
AI 디지털교과서에서 음성이나 음향을 사용해 지시 사항을 전달하는 경우, 청각장애를 가진 사용자(학생, 교사, 학부모)가 소리를 들을 수 없더라도 지시 사항을 인식할 수 있도록 텍스트, 이미지 등을 시각적으로 동시에 제시
운동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 준수
•
운동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키보드 또는 대안적인 입력 장치(스위치 등)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I 디지털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동등한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운동장애(지체장애, 뇌병변장애 등)를 가진 사용자가 키보드, 스위치, 트랙볼 등의 대안적인 입력 장치를 사용해서 AI 디지털교과서를 동등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단일 스위치만을 이용하는 운동장애 사용자를 위해 포커스 이동 및 선택에 도움을 주는 스캐닝(scanning) 기능을 제공함
•
시간적 제한이 있는 콘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시간제한 기능이 동작되지 않도록 조작하거나 제한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지원함 (A 등급)
◦
운동장애 사용자는 장애로 인해 콘텐츠를 조작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시간제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
인지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접근성 준수
•
인지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키보드 또는 대안적인 입력 장치(스위치 등)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AI 디지털교과서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동등한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2026년)
◦
인지장애(지적장애, 자페성장애 등)를 가진 사용자가 키보드, 스위치, 트랙볼 등의 대안적인 입력 장치를 사용해서 AI 디지털교과서를 동등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
단일 스위치만을 이용하는 인지장애 사용자를 위해 포커스 이동 및 선택에 도움을 주는 스캐닝(scanning) 기능을 제공함
•
문자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인지장애 학생을 위해 핵심적인 학습 콘텐츠를 음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함 (2026년)
◦
인지장애로 인해 문자 정보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학습자를 위해 핵심적인 학습 콘텐츠는 음성을 통해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음성지원 기능을 제공함
다양한 환경 및 보조 기술과의 호환성
•
AI 디지털교과서에 교과서 보조 콘텐츠(학습자료, 학습지, 멀티미디어 자료) 등을 하이퍼링크 또는 바로가기 등으로 탑재하는 경우에도 접근성을 갖추도록 함
◦
파워포인트
▪
색상 대비 제공
▪
제목(슬라이드 제목) 제공
▪
읽기 순서(슬라이드 레이아웃) 제공
▪
설명 링크 제공
▪
테이블 머리글 행 제공
▪
대체 텍스트 제공
◦
워드프로세서
▪
스타일 도구로 제목 및 스타일 제공
▪
제목이 있는 하이퍼링크 제공
▪
테이블 머리글 행 제공
▪
대체 텍스트 제공
▪
색상 대비 제공
◦
멀티미디어
▪
색상 대비
▪
시각적 콘텐츠를 구두로 설명
▪
자동 자막 활성화
▪
오디오 파일에 대본 제공
▪
컨트롤이 보이는 미디어 플레이어 사용
▪
캡션과 함께 성적표 제공
▪
대화형 스크립트와 함께 비디오 플레이어 사용
◦
PDF
▪
접근 가능한 문서로 시작
▪
PDF로 저장할 때 태그 활성화
▪
이미지를 PDF로 인쇄하지 않기
▪
문서 제목 설정
▪
스캔본이 아닌 디지털 원본
◦
표
▪
머리 행 지정
▪
머리 행을 통합하여 하나의 행에 하나의 정보만 제공
▪
표의 제목을 표 내에 삽입하지 않고 일반 텍스트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