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티콘 보내기 기능 분석 및 구현 계획

서비스별 이모티콘 보내기 기능 분석

1. 카카오톡(KakaoTalk)

카테고리 분류 방식
주로 캐릭터브랜드별 이모티콘 세트로 구성되어 있음
예: “라이언”, “춘식이”, “무지” 등 특정 캐릭터 테마
특징
각 세트별로 같은 작가의 그림체를 중심으로 패키징됨

2. 라인(LINE)

카테고리 분류 방식
공식 스티커크리에이터스 스티커(유저 제작 스티커)로 크게 분류
스티커 스토어에서 “인기”, “새로운 작품”, “추천 캐릭터” 등으로 분류되며, 일본(아시아권) 캐릭터 중심 테마가 많습니다.
특징
라인 프렌즈(브라운, 코니 등)처럼 대표 캐릭터 테마를 중심으로 공식 스티커가 많음
크리에이터 스티커는 테마 또는 인기 순, 최신 등록 순 등으로 분류

3. 텔레그램(Telegram)

카테고리 분류 방식
스티커 팩 단위로 등록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스티커 팩을 찾아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공식 이모지(Unicode 표준) 역시 감정/사물/동물 등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특징
사용자가 직접 스티커 팩을 제작하여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스티커 서치봇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만든 스티커 팩을 검색, 추가 가능.

4. 디스코드(Discord)

카테고리 분류 방식
서버별 커스텀 이모지스티커 형태로 존재
스탠다드 이모지는 Twemoji(트위터 오픈소스 이모지)로, 보통 감정/사물/동물 등으로 구분
특징
Nitro(유료 구독) 이용자는 다른 서버 이모지까지 자유롭게 사용 가능.
서버 내에서 커스텀 이모지를 직접 업로드할 수 있지만, 주로 이모지명으로 검색해서 사용

5. 슬랙(Slack)

카테고리 분류 방식
기본적으로 표준 이모지(인물, 음식, 동물 등)와 커스텀 이모지(워크스페이스에서 추가한 것)가 분리
이모지 검색 시 텍스트 검색을 주로 사용하며, 최근 사용 이모지나 즐겨찾기로도 접근 가능.
특징
슬랙에서는 업무/협업 용도에 맞춰 커스텀 이모지를 자유롭게 만들어 사용
디폴트 이모지는 다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감정·사물·동물 등 기본 분류를 따름

6. 왓츠앱(WhatsApp)

카테고리 분류 방식
유니코드 표준 이모지를 사용하여 감정별/사물별로 분류(‘사람/웃는 얼굴’, ‘동물/자연’, ‘음식/음료’, ‘활동’, ‘여행/장소’, ‘사물’, ‘기호’, ‘깃발’ 등).
스티커의 경우 사용자나 써드파티가 만든 스티커 팩 단위로 구분
특징
이모지 탭에서 감정·사물 등으로 바로 이동 가능하며, 별도의 검색 기능도 제공
스티커는 주로 팩별로 모아져 있어, 다운로드 받아 추가하는 방식

7. 페이스북 메신저(Facebook Messenger)

카테고리 분류 방식
스티커 - 감정별로 분류된 스티커 팩을 제공
기본 이모지는 Unicode 이모지를 사용하여 감정·사물·동물 등으로 구분
특징
특정 캐릭터나 작가 테마로 만든 스티커 팩 존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이모지/스티커가 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즐겨찾기나 최근 사용 목록을 지원

그 외 서비스들

애플 iMessage: iOS 표준 이모지(감정·사물·동물·음식 등) 및 애플 스티커 팩(Animoji, Memoji)이 있으며, 감정·컨셉별로 묶임
인스타그램 DM, 트위터 DM: 기본 이모지 세트(Unicode) 기반이라 유사한 분류 체계를 사용합니다. (감정/사물/동물 등)

구현 계획

스티커형 이모티콘 도입 전략

1.
몇가지 ‘주제별’ 이모티콘을 소규모로 제공
교육 상황에 맞춰 자주 쓰일 만한 정서적·컨셉적인 이모티콘을 우선해서 적게나마 준비
자주 쓰이는 이모티콘에 대해서는 설문 진행 필요
칭찬?
예: “수고했어요”, “잘했어요”, “질문 있어요?”, “숙제 다했다!” 등의 간단한 문구나 캐릭터
대량의 스티커를 제공하기보다, 교육현장에 특화된 몇 개의 스티커 팩을 우선 제공
2.
이모티콘 팩 형태로 관리
한 가지 캐릭터나 테마(예: “귀여운 동물”, “공부 캐릭터”, “격려 문구”)를 묶어 하나의 팩으로 제공
이렇게 하면 “팩 단위 버전 관리”가 편하고, 새로운 팩만 업데이트하면 사용자에게 손쉽게 배포 가능
3.
추후 확장
추후, 이모티콘 팩 확장
예: 시험 기간 테마, 크리스마스 테마, 새학기 테마 등
4.
이모티콘 생성 방법
이미지 생성형 AI 등을 통해 이모티콘 생성

단계별 도입 전략

1단계: 내부 제작으로 교육 테마 소량의 이모티콘 팩 제공
2단계: 이모티콘 팩 추가 제작, 이모티콘 팩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 반영 기능
3단계: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최근 사용”, “즐겨찾기”, “자동 검색 추천” 등 고도화 기능 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