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마 링크 :
프로세스 도식화

1.
문제 정의 및 요구사항 파악
a.
설명 :
b.
담당자 : CEO+ CTO + 기능조직장 + PM
2.
프로젝트 시작
a.
설명 : 비즈니스 우선 순위 하에 프로젝트 셋업 우선순위 확인 (Why)
i.
프로젝트가 최종 CTO 판단이 필요한 과제와 PM 판단으로 진행 가능한 것 분류
b.
담당자 : CTO + 기능조직장 + PM
c.
산출물 : One Pager에 이유 , 프로젝트 후보 리스트, 백로그
3.
프로젝트 리소스 할당
a.
설명 : 기능 조직장이 리소스 할당
b.
담당자 : 기능 조직장
c.
산출물
i.
담당자 설정 완료 뷰
ii.
조직장에게 전달할 산출물
iii.
기능 조직장의 리소스 확인 뷰 필요
1.
주 단위의 사람 리소스 (TODO/DONE) 확인 가능한 칸반 보드
2.
프로젝트 언제 끝나는지
3.
FE/BE Only 과제들 관리
4.
프로젝트 킥오프
a.
설명 : 기획 전 개발 구현 방식 및 방향에 대한 얼라인 및 솔루션 도출 (How + What)
b.
담당자 : 기능 조직원
c.
산출물 : One Pager
i.
방향 - 과제의 요구사항과 싱크가 맞는지
ii.
범위 - 어떤 솔루션이 도출 될 것 같은지, 어디까지를 영향 범위로 보는지
iii.
일정 - 일정 산정을 방해하는 걸림돌 ( 필요한 사전 작업 혹은 계약 등 )
5.
최종 컨펌
a.
설명 : 킥오프를 통해 산출 된 방향성와 결과물 CTO와 alignment
b.
담당자 : 조직원 > CTO
6.
최종 일정 셋팅 및 솔루션
a.
설명 : 최종 솔루션 컨펌 후 솔루션 도출
b.
산출물 : Figma 디자인 시안, SRS 문서, 개발 일정
액션 플랜
•
전체 프로세스 발표
•
위험시그널 감지 조건 정립
•
팀장님 포함 전체 회의
•
지라 셋팅
◦
릴리즈
▪
에픽 : 과제명
•
스토리 - 현재는 안쓰고 있기에 작성자 및 작성 목표 얼라인 필요 (ex. 유저가 버튼을 눌러 제출했을때 )
◦
하위 작업
•
테스크 : 작업자가 작성하는 실제 작업할 작업의 명 - 스토리를 프로세스 단위로 진행 ( 개발 설계, FE 개발, BE 개발)
◦
하위 작업
▪
버그 :
◦
급건 : 인시던트
▪
나갈때 항상 QA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