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녹음
250321 마포고등학교 피드백/대시보드 인터뷰
https://clovanote.naver.com/s/mtiBaxySVwqQS9SQ8amF3cS
비밀번호: aa2ajr
수학
•
수업 중, 학생 개개인에게 피드백을 주실 때, 어떤 순간에 피드백을 주로 주시는 편일까요?
◦
24명의 학생이 있어 개개인 피드백은 어려움
▪
(A선생님) 수업 나가고 문제 풀기만에도 바쁨 → 선생님을 거치기 전에 또래 교수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해결하고 있음
▪
(B선생님) 수업에서 나는 발표하게 함 → 질문에 답을 하는 형식으로 하기 때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피드백을 주는 편임
▪
(C선생님) 수업 자체에 대한 피드백보다는 활동지로 수업을 주로 하는데 활동지에 피드백을 주는 편 ( 수업 중보다는 수업 후에 하는 편 )
•
어떤 내용의 피드백을 주로 주실까요?
◦
(A선생님)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건 수학적으로 기호나 틀리게 적는 것에 대해 피드백 주는 편임
◦
(B선생님) 고등의 경우에는 문제 중심의 피드백이 많음
◦
(C선생님) 피드백은 정서에 집중하고 있음
▪
답을 바로 알려주지 않고 다음 단계에 대한 피드백을 줌
•
수학 도구들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피드백들이 있을까요?
◦
(C선생님) 지오지브라 클래스룸 온라인 학습했는데 정교하게 설계되지 않으면 수업 원활하게 하는 것 자체가 어려움
•
학생에게 피드백을 주고 난 뒤에 학생에게 어떤 개선점이 있었는지, 학생의 반응을 확인하실 수 있는 환경인지 혹은 확인하고 싶은 니즈가 있으실까요?
◦
(A선생님) 수학 풀이를 작성하는 결과(기호를 적합하게 쓴다, 풀이과정을 논리적으로 작성한다 등)가 1년의 과정에서 학년 초와 학년 말에 명확히 차이남을 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음.
◦
(B선생님) 극하위권, 극상위권은 피드백을 줬을 때 안 줬을 때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남 → 수학의 경우에는 좀 학생들의 태도에서 보이는 것 같음
◦
(C선생님) 어느 선생님이나 학생의 개선점 및 피드백 후 반응 확인에 대한 욕구가 있음
▪
지금은 여건이 안되기 때문에 (진도 나가야하기 때문에..)
•
학생들이 모두 있는 교실이라는 공개적인 공간으로 인해 피드백을 주기 주저하시는 경우도 있으셨나요? (너무 학생이 위축될까 우려해서 등의 사유로)
◦
선생님들 특성마다 다름
▪
(B선생님) 나는 공개적으로 피드백 줍니다.
▪
(C선생님) 나는 조심하는 편입니다.
◦
(A선생님) 조심해야 하겠지만 시간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에 공개적인 공간에서 줄 수 밖에 없음. 다만, 그러면서 얼굴을 익히는 장점은 있음
▪
소심한 친구들의 경우에는 비공개 댓글이나 게시판 활용을 많이 함
•
담당하는 학생 수가 많아 겪는 불편 (예. 제공했던 피드백을 잊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실까요?
◦
(수준별로 과제를 많이 줄 수 있으면 좋겠다..) 인원이 많으면 아이들 수준이 모두 다르긴 하기 때문
◦
학생에 대한 수준별 피드백이 가능 해야 하고 아이들이 알 수 있게 팝업이 되면 좋겠다. 맞춤 과제가 나가면 더 좋음..
◦
교과서를 보고 공부하는 애들은 중하위권임 >> 교과서의 초점이 중하위권에 맞춰있으면 좋겠음
▪
다만, AI로 제공되다보니까 맞춤 문제에 대한 시험 이슈가 있어서 고민을 많이 해야할 것임
•
수업 후, 학생 개개인에게 피드백을 주실 때 주로 어떤 경우에 주시는 편일까요? (예. 쪽지시험 후 등)
◦
기본적으로 아이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정보가 있어야 줄 수 있는데, 활동지나 시험 결과에 대해서 피드백을 줌
◦
다만, 2022개정부터는 최소성취기준보장이라는 제도가 생겨서 학력 저하 친구들에게 이제는 교사가 먼저 가서 피드백을 줘야함
대시보드
대부분 아이들의 학습 현황을 현재는 수업 중에 파악하시는 편
•
평소에 서책으로 수업하실 때, 반별 학습 현황은 어떻게 파악하시는 편일까요?
◦
(B선생님) 발표를 통해 학급에서 특이한 친구들을 파악함
◦
(A선생님) 진도 체크는 귀찮기는 하지만 시트에 따로 적어두는 편
▪
대시보드 - 수준이 많이 떨어지는 친구들의 경우 또는 오히려 중간 그룹의 경우의 아이들을 알려주면 좋겠음
▪
(생활기록부) 아이들 평가를 할 때, 버튼 몇개를 선택만 하면 학생들마다 특정한 것들을 모아둘 수 있으면 좋겠다. / 문제해결역량, 인성역량, 등 폴더 형식으로
•
학급별 수준차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학급별 수준차를 딱히 신경 쓰지는 않는 편인 것 같음
◦
학급별로 판단하는 것은 수업 분위기만 주로 파악하는 편이지, 학업 성취도를 집중하는 편은 아님
▪
제공하는 과제는 공평하게 줌
▪
학습지로 수업하기 때문에.. 풀이 과정을 보고 이상하면 그 문제를 체크 해둠 (수업 중)
▪
발표를 한 학생을 카운트할 수 있으면 좋겠다.
수업 후)
•
수업을 진행하신 후에 과제를 학생들에게 자주 주는 편이신가요?
◦
공통 과제는 매번, 개별 과제는 선제적으로 따로 주는 건 없음
◦
최소성취수준보장으로 인해 수준에 맞는 과제를 제공할 필요가 있어짐
대시보드)
대시보드에서 가장 자주 확인하고 싶은 정보가 무엇일까요? (학생별 진도, 오답률 등)
•
수업할 때마다 교사별 진도 현황
◦
진도가 느리면 애들 텐션이 떨어지기도 하니까, 교사별 / 평균 진도율
◦
아이의 성장 기록이 대시보드에서 보였으면 좋겠음 (정량적으로는 평가에 대한 점수이겠지만 그 외에도 특별한 부분의 역량이 교사의 기록으로 남겨서라도)
◦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도 궁금함 / 한 두 줄 성찰일기 등이 남으면 좋겠음 / 자기 평가, 질문 등 메타인지를 높일 수 있는 것들으로 구성해서 그게 대시보드에도 노출되면..
기능 의견 및 요청
•
몇 명의 학생들의 손필기만 모아서 보는 기능이 잇는지 (데스모스 처럼)
◦
추가로, 핀(pin) 기능 > 그 친구의 학습만 선생님이 딱! 짚어서 보여줄 수 있는
•
AIDT 내에 각각의 여러 기능이 보완되면 좋을 것 같음. 이미 좋은 기능을 개발한 회사와 협력한다거나
◦
이미 필기나 특정 기능에 한정해서 좋은 기능을 가진 어플이 많은데 (ex. 굿노트 등 필기가 잘 되는 어플) 캡쳐해서 업로드하고 내리는게 자유로우면 좋을 것 같음
◦
아이패드이다 보니까 타이핑 되는 게 쉽지 않은 데 이미지를 캡쳐해서 올리게 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