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예시는 교사(사용자)의 실제 필요와 욕구에만 초점을 맞추어,
OST(Opportunity Solution Tree)를 재구성한 예시입니다.
1. Product Outcome (목표)
“교사가 수업 목표에 맞는 문제를 쉽고 빠르게 찾아 학생들에게 발송·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효과와 교사의 만족도를 높이고 플랫폼 재방문율을 증가시킨다.”
• 정량 지표 예시
• 교사의 시험(퀴즈·과제 등) 생성·발송 빈도
• 교사별/학생별 재방문율(접속일, 활동일)
• 학생의 응시율, 정답률, 성취도 변화
2. 고객의 기회 (Opportunity)
여기에서는 오직 교사(사용자)가 느끼는 상황과 니즈를 중심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여러 가지 난이도와 유형의 문제를 간편하게 확보하고 싶다
• “반마다 학습 수준이 다른데, 필요한 문제를 일일이 찾아 헤매지 않고 한곳에서 골라 쓰면 좋겠어요.”
• “객관식, 서술형, 논술형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면 상황에 맞게 활용하기 편하겠어요.”
2. 평가를 만드는 과정을 한눈에 처리하고 싶다
• “수업 준비도 바쁜데, 문제를 모아서 편집하고, 발송 대상 지정하고, 배점 정하는 일이 각각 따로라 너무 번거롭습니다.”
• “가능하면 한 번에 끝낼 수 있는 흐름이 있으면 좋겠어요.”
3. 쉽게 문제를 찾고, 필요에 맞게 수정·편집할 수 있으면 좋겠다
• “어떤 반은 기본 개념만, 다른 반은 심화 문제까지… 빠르게 골라내고 약간씩 수정도 할 수 있다면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아요.”
4. 결과와 피드백을 바로 확인하고 후속 지도를 하고 싶다
• “학생들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어디서 많이 틀렸는지 한눈에 보고 싶어요.”
• “후속으로 비슷한 문제나 보충 과제를 빠르게 주면 더 효과적인 것 같아요.”
5. 학생들이 참여하기 쉽게, 즉시 풀이·제출·피드백이 되는 환경이 필요하다
• “학생이 받자마자 풀 수 있고, 빨리 제출하면 교사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 “학습동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가볍게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해요.”
3. 솔루션 & 가설 (교사 니즈 중심)
[솔루션 A] 한 번의 흐름으로 문제 발송까지 진행하는 UX
• 기본 개념
• 교사가 문제를 선택 → 시험지(혹은 과제) 형태로 묶음 → 대상 지정 → 즉시 발송
• 이 모든 과정을 단일 화면(또는 연속된 최소 단계)에서 처리
• 필요 시 자동 추천 기능을 통해 적합한 문항을 제안받을 수 있음
• 가설
1. “평가 생성·발송 절차가 간소화되면, 교사의 준비 시간이 기존 대비 50% 이상 단축될 것이다.”
2. “과정이 편리해지면 교사들이 더 자주 평가를 만들어서, 발송 횟수가 30% 이상 증가할 것이다.”
[솔루션 B] 다양한 문제를 한곳에서 쉽게 찾고 활용하는 기능
• 기본 개념
• 교과·학년·단원·유형별로 구분된 다수의 문제를 교사가 원하는 대로 검색·필터할 수 있음
• 문제의 수준, 난이도, 형태 등을 확인하고 필요하면 간단히 수정·편집해서 사용할 수 있음
• 학생들의 실제 반응 데이터(정답률, 평균 풀이 시간 등)를 반영하여 문제 품질을 점차 높여 나감
• 가설
1. “다양한 문제를 쉽게 찾고 편집할 수 있으면, 교사들이 새로운 평가를 시도하는 빈도가 늘어나 평가 생성률이 40% 이상 증가할 것이다.”
2. “문제의 품질과 검색 편의성이 높아지면, 교사들이 이 플랫폼을 주변에 적극 추천하게 될 것이다.”
4. 재구조화된 OST 트리 예시
┌─ Product Outcome (목표)
│ └─ “교사가 수업 목표에 맞는 문제를 쉽고 빠르게 찾아 학생들에게 발송·평가해
│ 학습 효과와 교사 만족도를 높이고 플랫폼 재방문율을 끌어올린다.”
│
├─ Opportunity (고객의 기회)
│ ├─ (1) 쉽고 다양한 난이도·유형 문제를 원한다.
│ ├─ (2) 평가 제작 과정을 한 번에 처리하고 싶다.
│ ├─ (3) 문제를 빠르게 검색·수정할 수 있으면 좋겠다.
│ ├─ (4) 결과와 피드백을 즉시 확인해 후속 지도하고 싶다.
│ └─ (5) 학생들이 간단히 참여하고 즉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해주면 좋다.
│
└─ Solution & Hypothesis
├─ A. 원스텝 문제 발송 UX
│ ├─ 가설1: 평가 준비 시간 50%↓
│ └─ 가설2: 발송 횟수 30%↑
└─ B. 다양한 문제를 쉽게 찾고 활용하는 기능
├─ 가설1: 평가 생성률 40%↑
└─ 가설2: 교사 만족도·추천도 상승
Plain Text
복사
이 구조는 교사의 실제 욕구(다양한 문제·빠른 제작·피드백 활용)에서 출발하여,
내부적으로는 이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솔루션(A, B) 을 제시해주는 형태입니다.
이를 통해 사내 팀원들에게 “왜 이 기능이 정말로 필요한가”를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