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오프 할 때 빼먹지 않고 SRS 문서 같이 쓰기
문제 정의
기회
선생님이 교재를 편집할 때 콘텐츠를 조회하는 과정이 쉽고 빠르길 원한다. 그 이유는 수업과 연관된 내용을 불러올 때 상관 없는 내용까지 모두 다 노출되어 조회 절차가 많아져 가져오는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미래엔 미팅 내용 (링크)
•
수업 재구성시 클릭 수가 많다. 가져오기 진행시 필터링이 먼저 되어 있는게 필요
(수업 전/중/후 모두 고려 필요 - 해당 요구사항은 수업중에 더 가까운 것 같다)
•
수업 편집시 CC 에서 선택하는 클릭이 5회 이상 (화면기록 영상)
•
해당 수업에서 가져올 때 어짜피 해당 CC 의 단원에서 가져올 확률이 큰데, 굳이 하나하나 다 눌러야 하는지 불편함
•
해당 유닛에 성취하는 속해져있는 지식태그 먼저 나오기
무엇을 불러오고 싶어 할 것인가?
우리의 예측
•
콘텐츠의 출처
◦
직접 제작했거나 or 어디선가 가져왔거나
•
콘텐츠의 형태
◦
파일 (PDF or PPT 등)
◦
액티비티 (커리큘럼에 업로드 되어 있는 형태)
•
상황별 수업과 연관된 추천 문제 (개념 / 응용 / 심화)
◦
학생들이 지루해하네? → 좀 더 재밌는 학습 자료 활용
◦
참여중인 학생들의 이해도를 확인해볼까? → 해당 액티비티의 개념 문제들 중 1개
◦
학생들이 잘 따라오는 것 같네? 좀 더 난이도 있는걸 시켜볼까? → 해당 액티비티의 응용 문제들 중 1개
◦
이 학생 너무 잘 하네? 어려운걸 줘 볼까? → 해당 액티비티의 심화 문제들 중 1개
학교 선생님들께 질문 (수업 자료 활용 경험 개선을 위한 현황 파악 질문)
1.
수업 중에 교과서 외의 다른 자료를 활용하신다면, 어떤 케이스에서 활용하고 계신가요? 가능한 모든 케이스를 알고 싶어요!
2.
활용하시는 자료들의 출처는 어떻게 되나요?
a.
직접 제작한 것 중에서 활용
b.
모아놓은 학습 자료들 중에서 활용
3.
학습 자료들은 주로 어디에서 얻으시나요?
4.
파일의 형태는 PDF, PPT 중 무엇인가요?
5.
모아놓으신 자료들이 많다면 찾기가 쉽지 않을텐데 주로 어떤 기준으로 정리를 해서 활용하고 계신가요?
6.
가장 많이 활용하는 학습자료가 있다면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제 해결시 기대 효과
•
선생님의 수업중 편의성 증가
솔루션
주요 기능
•
고려 해야 하는 것
상황별 고려 (수업 전중후)
•
수업 전
•
수업 중
•
수업 후
영향 범위
•
미리
고민
•
액티비티가 어디서 왔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연결이 끊겨도 불러오는 시점에 주소를 복붙하는 식으로 가져와도 좋지 않을까?
•
선생님이 편집했던 CC를 상위로 올리는 (더 작은 단위면 좋겠지만 > 어떤 단위가 맞는지도 고민 필요)
일정 및 로드맵
논의 사항 (회의록)
가설 및 지표
•
가설
•
지표 설정
•
트레킹 방법
로그 설계
•
필요함
•
필요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