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연 시 VC에게 실제 기술이 존재함을 보여주기위한 데이터로그에 대한 항목 정의
•
노출 형태
◦
보여지는 형태는 전혀 상관 없음 ( 단, 채팅 리스트에는 같이 안 보여야 함 )
◦
로그로 찍혀지는 항목들은 최대한 제너럴 하게 진행
▪
로그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아웃풋이 기준
▪
세션 : 세션매니저
•
세션 매니저의 아웃풋 항목 추가
▪
WFM : 워크플로우 매니저 (?) - 이 부분 난해
•
블루프린트를 참조하여 액션이 포함된 그라프 생성
▪
스테이트먼트 : 챗 혹은 스테이트먼트업데이트 에이전트
•
Statement_update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모두
▪
액션
•
액션 상 아웃풋 기준
◦
프롬프트상 LLM 아웃풋 기준
ID | Cat.1 | Cat.2 | Desc |
1 | 세션 | 세션 오픈 | 어떤 대화를 통해 어떤 세션이 오픈되었는지 - ( 나머지 세션은 Pending되었다는 메시지 추가 ) |
2 | 세션 분류 | 왜 그렇게 판단해서 해당 세션이 오픈되었는지 ( 컨텍스트 : 어떤 맥락 - 사용자 메시지인지, 혹은 액션 아웃풋을 통한 시스템메시지 인지 ) | |
3 | WFG | WFG 생성 | 어떤 액션을 수행해야 하는지 |
4 | 생성 판단 사유 | WFG가 이렇게 구성 된 이유 | |
5 | 액션 수행 | 생성 유저 메시지 | 생성 된 사용자에게 전달 될 메시지 |
6 | 생성 시스템 메시지 | 생성된 시스템 메시지 | |
7 | 메시지 생성 사유 | 메시지가 생성 된 사유 ( 대화 맥락 및 인자 ) | |
8 | 스테이트먼트 | 스테이트먼트 업데이트 | 스테이트먼트 업데이트 ( 챗 Agent가 0000 State를 업데이트 ) |
NO | Cat.1 | Cat.2 | Desc. |
1 | 인풋 | “출석했어요….. 너무 힘들어요” | |
2 | sm | session_open | 세션 생성
• create: attendance_check 세션 ACTIVE
• reason : 학생 메시지가 출석 관련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출석 상태 데이터 업데이트가 필요
• history: attendance_check:ACTIVE:25/02/27 14:39:01 |
3 | statement_update | “챗 에이전트”:
• attendance_time: "25/02/27 14:39:01"
• attendance_status: "EARLY_ATTENDANCE"
• category_reason: "출석 예정 시간보다 21분 이상 일찍 출석했기 때문에 이른출석으로 판단" | |
4 | WFM | wfg_create | 워크플로우 그래프 생성 및 시작
• create: “check_attendance” Action 구성하여 WFG 생성
• reason: “check_attendance” 블루프린트 참조 |
5 | Action | teacher_message_send | 교사 메시지 생성 및 발송:
• message: "밀당아, 오늘은 조금 일찍 왔네? 지금 바로 수업을 시작하고 싶니, 아니면 정시에 맞춰서 시작할까?"
• necessary_to_wait: true
• reason: "학생이 이른 출석을 했으므로, 수업 시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
system_message_send | 시스템 메시지 생성:
• session_name: "attendance_check",
• state: "KEEP",
• reason: "학생의 출석 상태를 확인하고 수업 시작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현재 세션 유지" | ||
statement_update | “스테이트먼트 업데이트”:
- session_name: "attendance_check",
• state: "KEEP",
• reason: "학생의 출석 상태를 확인하고 수업 시작 여부를 결정해야 하므로 현재 세션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