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영상 확장자 지원 및 플레이어 접근성 개선

킥오프 할 때 빼먹지 않고 SRS 문서 같이 쓰기

문제점

기능 이슈
1.
vtt 자막과 영상 자체에 넣어진 자막과 겹치는 문제
편의성
1.
콘텐츠 제작자 : srt 확장자 미지원으로 확장자를 변환해야 하는 번거로움
2.
학습자 : 유저 특성별 구분 부족 - 시각 장애, 청각 장애, 비장애에 따라 해설 스크립트가 다르게 보여야하는데 구분되지 않는다.

문제 해결시 기대 효과

장애 상태에 따라 나에게 맞는 학습 환경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 장애 여부 관계없이 평등하게 영상 콘텐츠를 학습하는 것에 있어서 더 높은 편의성을 챙길 수 있다.

고려 해야 하는 것

예전에 정리한 용어 정의
자막 : 짧은 문장을 시간 단위로 보여주는 것
대본 : 전체 문장을 한번에 보여주는 것
해설 스크립트 : 소리 및 행동 묘사를 보여주는 것
청각 : 의성어 (소리) 해설 - 똑똑똑 or 쿵!
시각 : 의태어 (행동) 해설 - 조심스럽게 문을 두드린다. or 문턱을 넘다가 쿵하고 갑자기 넘어진다.
장애인별 학습 환경
시각 장애인 : 헤드셋이나 이어폰을 이용해 화면 해설 음성을 듣는다.
청각 장애인 : 자막을 눈으로 읽는다.
자막의 종류 3가지
일반인 자막
청각 장애인 자막
시각 장애인 자막
View모드 차이가 필요한가?
자막과 대본은 View차이만 있다. View는 장애인 여부와 관계없이 선택이 가능해야 한다.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의 영화 관람 장면 - 서로 다른 보조 장치가 추가 되었을 뿐 보이는 환경이 분리되지는 않음

솔루션

주요 기능

영향 범위

일정 및 로드맵

논의 사항 (회의록)

가설 및 지표

Known issue : 동영상 옵션 기능을 클릭할 수 없는 이슈
유라님, 안드로이드일 때, 모바일 이슈랑 ios에서 전체화면 크게 보기 안되는 이슈는 기존에도 발생했던 이슈입니다. 해당 이슈들 해소하는데 시간이 걸릴 거 같아서, 노운이슈로 가는 거 괜찮을까요? 이전에 저희가 블록 SA 이전 SA 밀당에서 사용했을때는 모바일 사용성이 필요하여 적용했으나, 블록 SA에서는 모바일까지 대응 안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로그 설계

필요함
필요하지 않음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