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8

챕터 8: 강화된 아이데이션 (Supercharged Ideation)

1. 아이데이션의 중요성

아이데이션(ideation)은 제품 개발 및 문제 해결에서 중요한 단계로, 창의적인 솔루션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처음 떠오른 아이디어는 대부분 기존 사고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반복적인 과정에서 등장한다.

1.1. 아이디어 평가 기준

아이디어의 품질을 판단하는 세 가지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유창성(Fluency) : 생성된 아이디어의 수
유연성(Flexibility) : 아이디어의 다양성
독창성(Originality) : 아이디어의 참신함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많은 아이디어를 생성할수록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아이데이션 세션의 후반부에서 나오는 경향이 있다.

2. 브레인스토밍의 한계와 대안적 접근법

많은 조직이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창의성 도구로 활용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인적인 아이데이션이 그룹 브레인스토밍보다 더 효과적이다.

그룹 브레인스토밍의 주요 문제점

문제점
설명
사회적 태만 (Social Loafing)
그룹에서 일부 멤버가 덜 참여하며, 개인의 노력이 감소하는 현상
집단 동조 (Group Conformity)
그룹의 초기 아이디어가 나머지 팀원들의 아이디어 방향을 제한
생산 차단 (Production Blocking)
한 사람이 말하는 동안 다른 사람이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어려워지는 현상
하향 규범화 (Downward Norm Setting)
창의성이 낮은 멤버의 수준에 맞춰 아이디어 품질이 낮아지는 경향

2.1. 효과적인 대안 접근법

개별적으로 아이디어를 생성한 후 팀과 공유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
실시간 논의보다는 비동기적 아이디어 공유(예: 온라인 문서, Slack)를 활용
한 번의 세션이 아니라 반복적인 아이데이션 과정이 필요

3. 효과적인 아이데이션 프로세스

아이데이션은 ‘개인 → 공유 → 다시 개인 발전’의 순환 과정으로 반복되어야 한다.

3.1. 아이데이션의 4단계

개인적으로 아이디어 생성
빠르게 여러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비판 없이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
유사한 문제를 해결한 사례나 다른 산업에서 영감을 얻기
팀과 아이디어 공유
동료들과 아이디어를 나누며 피드백을 주고받음
팀원들의 다양한 시각을 반영하여 확장
개인적으로 다시 발전
팀과 공유한 피드백을 반영해 더 발전된 아이디어 도출
기존 아이디어의 변형 및 조합을 시도
아이디어 평가 및 선택
도트 투표(Dot Voting): 각 팀원이 가장 유망한 아이디어를 선택
단 하나의 아이디어를 선택하지 않고, 3개의 아이디어를 유지하며 비교·대조
이후 프로토타이핑과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결정

4. 아이데이션 시 피해야 할 실수 (Anti-Patterns)

실수
해결 방법
다양한 관점 부족
엔지니어, 디자이너, 마케팅 담당자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
비슷한 유형의 아이디어만 생성
기존 아이디어의 변형이 아닌, 완전히 다른 접근법도 고려
한 번의 세션으로 끝내기
여러 차례 반복하면서 아이디어를 숙성시켜야 함
문제와 무관한 아이디어 선택
목표 기회와 연관성이 있는지 철저히 검토

5.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방법

5.1. 배양 효과(Incubation Effect) 활용

문제에서 잠시 벗어나는 것이 더 나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낼 수 있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잠을 자거나 산책을 다녀온 후 더 창의적인 해결책이 나오는 경우가 많음.
뇌는 무의식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거치며, 이를 "배양 효과"라고 한다.

5.2. 유사한 문제를 해결한 다른 산업에서 배울 것

채용 플랫폼의 UX를 개선하는 문제를 해결할 때, 이커머스에서 고객이 상품을 탐색하는 방법을 참고할 수 있음.
다양한 산업에서 해결책을 가져와서 새로운 방식으로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

5.3. 급진적인 아이디어도 고려

실현 가능성이 낮아 보이는 아이디어도 유용한 통찰을 줄 수 있음.
예를 들어, 100% 자동화된 서비스라는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현재 프로세스에서 제거할 수 있는 비효율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음.

6. 아이디어 선택 전략: ‘3개 아이디어 세트 유지’ 기법

최적의 아이디어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성을 남겨두는 것이 중요
도트 투표(Dot Voting) 후 가장 유망한 아이디어를 선택할 때, 한 개의 아이디어만 남기지 않고 3개의 아이디어를 유지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이다.

6.1. ‘3개 아이디어 유지’ 방식의 장점

한 가지 솔루션에 집착하지 않고 유연성을 가질 수 있음.
비교·대조를 통해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음.
이후 프로토타이핑 및 실험을 통해 최종 결정 가능.

7. 결론 & 실무 적용

효과적인 아이데이션을 위해 기억해야 할 핵심 원칙
아이디어는 반복적인 과정에서 발전된다.
브레인스토밍은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개인-팀-개인의 반복적 과정이 더 효과적이다.
배양 효과를 활용하여 무의식적인 창의성을 극대화한다.
도트 투표 후 3개의 아이디어를 유지하며 비교·대조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7.1. 실무 적용 TIP

아이디어 세션 전, 개별적으로 아이디어를 먼저 작성하도록 유도
팀원들과 공유하고, 피드백을 통해 확장
각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다시 아이디어를 발전
도트 투표로 최적의 아이디어를 선정하지만, 3개를 유지하여 비교·대조
프로토타입 및 실험을 통해 최종 솔루션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