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선하 선생님께서는 스쿨PT, AIDT 시제품 사용 경험이 있으시고 개선된 aidt는 한번도 보신 적 없어요. 그래서 저희가 개선한 사항에 대해서도 의견을 주실 수도 있긴 합니다.
다만, 대구(+경북) 지역에서 수학과 연수를 주도하고 계시고 교육부 장관과 차담회도 진행하신 경험이 있는 선생님이셔서 좋은 의견 많이 주실거예요. 다른 선생님들과도 많이 논의하고 계시구요. 당장은 구현하기 어려울지라도 한번쯤은 생각해볼만한 의견들을 많이 주실거라 건설적인 좋은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사용 현황
•
덕화중학교에서 스쿨 PT 사용중
•
◦
teacher123
•
몇 학급 수업
•
•
스쿨 PT 컨텐츠 링크 : 2024 덕화중 1학년 2학기
•
개발팀에 전달 주실 내용이 많이 있을거라고 전달 받았습니다.
•
진단 테스트 도구가 교사나 학부모에게 신뢰를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
콘텐츠 제작 관련
◦
수업이 끝나고 학생들이 잘 따라오지 못하면 다음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콘텐츠를 변경하신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얼마나 자주 발생할까요?
◦
주로 어떤 콘텐츠 제작을 하시나요?
◦
신규 제작물, 교과서 변경
•
AIDT 사용하시면서 수업진행에 있어서 가장 크게 방해를 받고 있는 문제가 있을까요?
•
현재는 구현이 어려울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이런 기능이 있었으면 한다는 의견이 있으신가요?
인터뷰 내용
1.
수업 재구성할 때 심플하게 할 수 있을지?
2.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 까지는 괘찮았는데 이 과정이 제일 번거롭다고 생각
3.
어렵지는 않지만 번거로운게 가장 크다. 한두번 해보니 해볼만했다.
4.
구글 → 과제 재사용 → 업로드 시켜놓은 업로드 파일을 다른반에서 사용할 수 있음 → 자료가 통으로 복사가 됨
5.
[AIDT/스쿨] 학급에 학생 초대 불편
a.
반별로
6.
콘텐츠 제작 시점
a.
콘텐츠 제작은 매일한다.
i.
수정? 생성?
ii.
교과서 수정보다는 본인 교재물을 만드는 빈도가 높다.
iii.
교과서 중간중간에 선생님이 만든 교재물을 넣는 방식
iv.
개념설명할 때는 교과서 사용, 선생님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거는 직접 제작
b.
수업 시작 전에 교시 쉬는 시간 마다 진행함
c.
쉬는시간에 만드는 경우도 있음 →
d.
앞으로 수업이 남은 반마다 반영이 되기를 기대함
7.
수업 시간에도 피드를 보내고 있음 (학습지 나눠주기)
8.
북마크 (= 오답노트)
a.
오답으로 처음 상태로 바뀌나요?
b.
코스웨어 스쿨 PT는 있음
c.
학교에서 학습지가 나가면 문제 풀이가 미리 되어 있는데, 풀이가 안풀려 있는 상태로 다시 풀고자 함. 지속적으로 오답만 다시 모아보기
d.
학교에서 제공한 학습지에서 답안 내용을 없앤 원본 콘텐츠를 계속 푸는 연습을 하곤 함
e.
선생님이 과제 방식으로도 내고 싶어하고 자기주도 학습도 하고 싶어하고 둘다 ㅇㅇ
9.
AIDT 사용하시면서 수업진행에 있어서 가장 크게 방해를 받고 있는 문제가 있을까요?
a.
수업 동기화 기능 잘 쓰고 있음
i.
ex ) 마타 여기보세요. 10초 후에 선생님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ii.
학생이 딴짓을 하고 있는지 확인을 선생님이
b.
수업 문제 풀이의 시간과 위치 고정 기능
i.
데스모스
c.
챗봇 - 설리번
i.
선생님 : 챗봇 문제마다 On/Off 하고자 함
d.
실시간 모니터링에 익명성이 보장이 되었으면 함
i.
아이들의 실명이 공개 되기 때문에 별명을 변경하고 있ㄷ
e. 학생들의 답안을 수업 모드에서 같이 확인하고자 함
i.
자유형 답안을 확인하고자 함. 긴 경우 말풍선 / 서술형 답변 짧은 버전, 큰 버전 필요
ii.
컨텐츠 자료 복사
1.
임베드 할때 나중에 설정해야하는 문제가 있음
2.
참고자료는 선생님만 보는걸 생각하는지.
iii.
1.
배점 변경 하고자 함
a.
문제 하나에 부분 배점 기준
2.
언제 채점을 하시는지?
a.
수업 시간에 모든 아이들도 가능 / 퇴근길에 하거나
3.
형성평가를 하는경우
a.
채점이 되지 않는 유형들이 형성평가에 들어가게 되면 현재 시스템에서는 반영되지 않다보니 대시보드 같은 곳에서 확인이 어려움
b.
알지오매스 작도한 것을 이미지로 올리는 형태로 하고 있는데, 점수화 시키는 경우에 활용 - 점수
c.
점수화가 필요해 보임 / 배점 필요 (구글 과제제출 예시)
i.
많은 인원의 채점을 자동으로 해주기에 형성 평가에 활용하고자 함
ii.
성취기준하고 연결되면 좋겠다. 나이스에 점수 입력까지
iii.
E : 1~20 로 성취수준 판단까지
iv.
정답률에 따른 구간을 교사가 설정할수 있어야 함
d.
혹시 학기별 플랜? 있는지? 형성평가 시기, 중간고사 시기 같은..? → 형성평가 처럼 저희 시스템에서 놓치고 있는 시나리오 파악을 위해
i.
학교마다 다를것 같은데, 원래는 없는데, 선생님 재량으로 시험을 만들어서 자체적으로 진행함
ii.
점수화를 활용하는 사례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음
iii.
모든 활동에 있어서 점수화가 필요하다. → 수행평가를 했다, 안했다가 아니라 그래서 성적이 올랐냐?를 확인하고 싶어하는 것임 → 대시보드 반영 → 반영된 점수 성취평가와 연동까지
e.
채점을 시작으로 결과적으로 점수가 시스템에 입력되는 것까지의 필요성
•
참고 자료가 AIDT에는 없음
•
수업모드와 실시간 학습 현황 화면의 전환이 잦음
◦
수업모드에서도 학생의 답변을 확인하고 싶어함.
우선순위
1.
평가 체계 구성
2.
수업 재구성 간소화
3.
수업 모드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