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2 재우님 얼라인 미팅

01. 시스템 통일성

디교, 밀당 시스템에 대한 통일
블록 자체에 대한 임팩트보다는 시스템 통일화(일원화)로 가져갔을 때 더 많은걸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
블록 시스템 자체에 대한 임팩트, 사용자 경험과 시스템 일원화
블록을 당장 도입한다고 해서 임팩트를 가져오기는 힘들것으로 보인다. 다만, 다른 스쿼드에서 진행하는 앞으로의 피처들이 결국엔 콘텐츠 생산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시스템 일원화는 리소스 측면에서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02. 컨텐츠 제작 시스템 일원화 도입 플랜

CMS 기능 먼저 오픈해서 콘텐츠 제작 먼저 들어가는 방법도 있음
CCC 도입할때의 기존 밀당 피드 시스템에서의 문제가 무엇인지
단점 : 날짜 단위 DC 개념 / 장점 : 편집의 자유로움
피드 전송은 필요 없다. 변경에 대한 기록만 되면 되지
어떻게 도입하는 것이 더 원활할까
피드 성능, 편집, 속도에 대한 비용적인 부분이 얼마나 아낄수 있을지
도입 방법
1안. 블록 콘텐츠 제작 구조만 옮긴다.
2안. 블록 + CCC 구조 모두 옮긴다.
CCC 구조가 밀당에 옮겨왔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파악 필요
1.
“오늘의 미션” 개념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2.
(피드를 ‘발송한다’에 대한 개념이 필요없음)

03. 밀당 도입을 넘어 콘텐츠 스쿼드에서 고민이 필요한 내용

개발 생산성 측면
문제 : 하나가 추가 될 때 타입 추가 리소스가 많은 비용으로 든다. 블록으로 개선했던 큰 이유 중 하나가 빠르게 타입을 추가하는 것이었기 때문
Goal : 추가 타입이 생길때 파이프라인을 만든다 (UI적 제외하고 3일)
블록 하나가 추가되었을때 어떤 모드에 변화가 되는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함. 모드 자체가 스트릭하게 정의되는 것 보다 조합들의 합이 모드가 되어야 함
콘텐츠 제작 방식 다양화 측면
밀당에서 제작하고 싶은 콘텐츠의 형태는 무엇인지
어떤 부분을 밴치마킹 하고 싶은지 아이디어 받기
문제은행 방식의 CMS 사용성
콘팀이 말하는 ‘문제은행’ 방식의 CMS는 무엇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ex) 매쓰플랫
학생 유저의 콘텐츠 학습 방식 측면
밀당 콘텐츠의 경우 날짜별로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학습 내용이 축적되지 않고 있음 (휘발성이 강함)
이처럼 학생이 콘텐츠를 학습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도 필요

Action item

1.
블록 구조 도입 방법에 대한 고려사항 확인하기
a.
1안, 2안의 장단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