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당 블록 도입 플랜

고려 항목 정리

1.
도입 목적 : 왜 해야하는지?
2.
기대효과 : 블록형 제작 방식이 어떤 기대효과를 가져오는지?
3.
도입 방법 : 꼭 밀당 플랫폼이어야 하는지? AIDT 플랫폼에 옮겨오는 방식은?
a.
CCC 구조가 밀당에 옮겨왔을 때 어떤 문제가 있는건지?
i.
“오늘의 미션” 개념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ii.
피드를 ‘발송한다’에 대한 개념이 필요없다.
4.
도입 시기 : 언제 도입해야하는지? (내년 AIDT 사업 고려필요할듯)
5.
도입에 따른 추가 개발 항목 : 블록형 콘텐츠가 밀당에 들어갔을 때 LMS, B2C에서 고려해야하는 항목 리스트업 필요(필터, 학습 데이터 트레킹 등)
6.
도입에 따른 운영팀 대응 : 도입 후 운영팀에서 대응해야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a.
콘텐츠 제작을 미리 블록으로 쌓아나가도록
7.
리소스 : 개발 리소스가 얼마나 드는지?
8.
리소스 대비 임팩트 : 리소스 대비 임팩트가 얼마나 되는지?
9.
도입 후 성공 지표 : 블록형 콘텐츠 도입의 성과를 무엇으로 측정할지?
수업 중, 콘텐츠가 소비되는 부분에서 피드가 가지고 있는 문제
1.
속도
2.
콘텐츠 발송 플로우에 대한 사용성 고민이 더 필요함
3.
학생의 콘텐츠 소비 방식에 대한 사용성 고민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