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 : 경데 - 지원님, 채은님
신규 결제 처리 관련
Q. 판매팀 시트의 신규 결제건 검수는 어떻게 하는지?
먼저 판매팀에서 넘어온 신규 결제건이 실제 포트원에서 조회했을 때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있다면 판매팀에서 전달한 결제자명, 결제자 번호를 검증한다.
Q. 등록 대기 페이지에 반영은 어떻게 하는지?
검수가 완료된 건에 한해서 판매팀 시트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한다.
가끔 판매팀에서 넘어오는 시트에 신규 결제건이 누락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신규 연장관리에서 3일정도 결제건이 처리가 안되는 경우 판매팀에 다시 물어서 찾는다.
이전에는 주에 2번만 개강을 하기 때문에 상관이 없었는데 개강일이 촘촘해지면서 개강일이 지나버린 신규인 경우 난감한 상황이 된다.
Q. 등록 대기 페이지의 역할?
온보딩 팀에서 신규 유입건을 확인하기 위한 페이지.
이 페이지를 참고해서 원생등록지 제출이 필요한 학생을 식별하고, 제출이 늦어지는 경우 독촉을 하는데 참고한다.
Q. 판매팀에서 등록 대기 페이지의 어떤 정보를 확인하는가?
판매팀 번호로 고객의 문의가 오는 경우 학생의 개강 진행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고한다.
Q.
개강 프로세스
Q. 전환 개강 시 이전 선생님의 인수인계사항이 어떻게 전달되는지?
전환개강 접수 전 학부모는 변경하려는 상품으로의 결제를 먼저 진행하면 선생님을 통해 전환 접수를 받는다.
위 접수가 완료되면 경데팀에서 확인 후 이전 결제를 취소하고 기존 계약과 신규 결제를 매핑하고 권한 종료일을 조정한다.
다만 접수가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접수하지 않는다면 경영데이터 팀에서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때 변경결제는 신규 연장 페이지에서 붕 뜬 상태가 된다.
Q. 전환 접수를 안하는 경우 외에도 결제가 계약에 매핑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가?
•
판매팀에서 신규 결제를 전달받지 못한 경우
•
결제 변경에 대한 노티를 받지 못한 경우
•
결제 시 이름 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
•
연장결제 시 같은 이름과 휴대전화번호를 가진 계정이 여러개 있는 경우
◦
다른 계정에 잘못 매핑되어서 수동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함.
Q. 공중반의 원생등록지가 따로 관리되는 이유가 있는지?
일단 개강의 프로세스가 다르다.
진단고사 프로세스를 타지 않고, 공중반을 위한 정밀고사가 따로 존재한다.
정밀고사를 감독하는 주체도 온보딩 팀이 아니기 때문에 문서가 분리되어 있는 것 같다.
Q. 경데팀에서 수행하는 다른 업무는 무엇이 있는지?
결제, 계약 관련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업무를 한다.
Q. 경데팀에서 생각하는 이상적인 업무 프로세스가 있는가?
결제가 특정 유저에 정확하게 매핑될 수 있으면 좋겠다.
LMS 의 유저정보와 CRM 상의 유저정보가 동기화 될 수 있으면 좋겠다.
동기화의 의미는 사실상 결제에 따른 수업일 동기화를 의미하는 듯.
ACRM 의 수정용 앱과 뷰어용 앱 분리.
Q. 개강전 기록, 상담 데이터가 CRM에 적재되어 개강확정되는 시점
선생님 배정 행정요청
Q. 선생님 이관
이것도 API 별도로 가져와야함
질문 List
•
◦
판매팀 시트의 신규 결제건 검수는 어떻게 하는지?
▪
실제 결제가 일어난게 맞는지?
▪
유저가 입력한 이름, 번호가 판매팀 정보와 일치하는지?
▪
판매팀에서 넘어오지 않은 경우?
•
개강 누락인 경우 문제가 있음.
◦
등록 대기 페이지에 반영은 어떻게 하는지? (단순복붙인지?)
▪
복붙이 맞음 - (판매본부->경영데이터팀 시트에서 컬럼 전체 복사해서 등록 대기페이지에 붙여넣고 있음)
◦
등록 대기 페이지의 역할
▪
원생등록지 제출이 필요한 결제건을 파악하기 위한 페이지
▪
온보딩에서 신규 결제에 대해서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역할
▪
제촉은 온보딩에서 진행해주심
◦
원생등록지 작성 재촉 관련 프로세스에 관여하는지?
◦
판매팀에서 해당 시트를 참고한다고 했는데 어떤 데이터를 확인하는지?
•
개강 프로세스
◦
연장 결제시
▪
링크나 안내를 모두 경영데이터팀에서 진행
▪
의견 : 연장 결제시 기존 정보와 매핑 할 수 있는 키 하나만 있어도 문제 해결이 될 수 있음
▪
IMP에 붙어 있는 식별자가 구매자명, 구매자 연락처로 매핑
•
공중반의 원생등록 data 가 따로 관리되는 이유가 있는지?
◦
프로세스가 다르고 진단고사를 안한다. → 코다에 작성을 해야만 경데팀에서 알 수 있다.
•
신규 결제건에 대한 프로세스만 전달받았는데, 이외에 수행하는 업무가 어떤게 있는지?
•
경데팀에서 생각해는 이상적인 업무 프로세스가 있는지?
◦
lms 에서 user 데이터를 당겨올 수 있는가?
◦
lms 에서 수업을 들을 때 CRM 의 결제정보와 연동될 수 있도록 → 학생관리 버든을 줄이기 위함
•
결제가 연장결제인지, 전환인지, 신규인지 이런거에 대한 판단이 자동으로 되지 않는 점이 제일 문제라고 생각
◦
어떤 밀당아이디를 쓰는지 등
•
데이터를 다루는데에 관심이 있다. 그 기반의 시스템을 건드릴 수 없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알엔디가 맡는게 맞다고 생각.
경데
•
경데팀 업무 진행 파악
◦
◦
coda도 사용하시나요? coda와 acrm을 각각 사용하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acrm, coda로 업무진행시 업무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는지?
◦
업무진행시 자동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
•
상담관련 상세 업무
◦
선생님 배정
▪
행정 요청 처리가 CRM에 데이터를 반영하는 시점인가요?
▪
행정 요청 이후에 개강 리스트 정보가 CRM에 선생님 배정에 입력되는 데이터가 수정되는 업무가 있나요?
•
마지막이벤트
▪
선생님 배정이후에 선생님을 변경하는건 어떤 업무인가요?
•
선생님 이관 (contract)
◦
경데DB에 있음 (CRM과 별도의 DB)
▪
선생님 배정결과를 온택트 선생님이 개강리스트를 acrm에서 확인하나요?
•
팀장님들이 → coda → 선생님들이 확인
▪
배정완료 후 노티는 어떤식으로 전달하시나요?
•
불편한 업무는 아님
•
슬랙 노티
학생정보 오기입
연장결제 시 이름, 휴대전화로 연장결제 매핑을 하는데, 이 때 동일한 정보로 계정이 여러개인 경우 매핑
결제변경 미노티, 신규 미노티
연장결제 시 경데팀에서 리마인드
계약 종료일 7일 3일 전에 부모님 휴대전화 목록 뽑아서 톡투비즈 csv 업로드로 문자메세지 전송
현재 우리 시스템에는 개강일이라는 개념이 없음
•
개강일 변경에 따른 프로세스를 반복해야하는 사항이 있음
•
ACRM 에 모든 사람들이 수정이 가능하기에 (변경 기록도 없구)
◦
수정가능한 앱과 뷰어용 앱이 분리가 되면 좋겠다.
경영 데이터 작업툴
•
ACRM
•
포트원
•
개강일 변경은 학생 시스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