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콘텐츠 제작 현황

목적

1.
콘텐츠 생산성 측면, 퀄리티 측면에서 내부적으로 측정하고 있는 지표(객관적 데이터가 아니어도 됨)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스쿼드의 목표 지표를 설정한다. 없다면 함께 설정한다.
2.
블록 구조 밀당 도입에 대한 목적, 당위성, 성공 지표를 논의하여 콘텐츠팀과 함께 도입 플랜을 정한다.
a.
원활한 도입
b.
블록 구조

공통

현재 한 사람당 투입되고 있는 리소스 어떻게 측정하고 있는지?
학생들에게 사용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내부 피드백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선생님의 피드백일수도 있고, 정답률?, 학습 시간 등
이전에 MC 데이터 분석 탭 개발이 이루어졌던걸로 알고 있는데 지금 사용하고 있는지?
1개의 CC를 만드는데 까지 어떤 과정을 밟으면서 제작을 하고 있는지?

영어 콘텐츠

학습 문제의 연구

국어 콘텐츠

수학 콘텐츠

메모

현재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이 해소 되었는지
리소스 측면 (신규 유저 교육 시간)
제약된 기능 측면
어떤 콘텐츠 제작 계획이 있는지
국어 - 논술 등에 대한 계획
1.
개선된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대한 의견
a.
폼을 통해서 정량 + 정성
2.
블록 도입 되었을때 리소스 투입의 합당성
a.
목적 및 목표 셋업
i.
콘텐츠 : 리소스가 줄었어요.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요. 적응하기 빨라요.
ii.
사용자 (선생님) : 가르치기 더 편해졌어요. 애들이 이해를 더 잘해요.
iii.
사용자 (학생) : (?)
1.
블록 도입되었을 때 영상 피드백 처럼
3.
신규 기능(교사의 액티비티 제작)에 대한 의견 조사
a.
의견 요청 대상자
i.
연수팀 : 선생님들의 의견을 많이 받아본 사람
ii.
AIDT팀
b.
인터뷰
i.
1번의 경우 영콘에서 작년부터 한 문제 = 15분으로 잡고 업무 배정을 하고 있습니다. 한 단원, 한 커리는 해당 단원과 커리에 몇 문제가 들어가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또한 몇 지문이 들어가냐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습니다. 지문관련 작업 (문장독해+문법태그 입력 )은 180단어 기준 30분정도 소요됩니다!
[영어]
한 문제 제작 기준 : 15분
지문 작업 : 180단어 기준 30분
1시간 = 4문제 , 6시간 = 24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