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유효성 검증

문제 정의

BE에서는 실제 컨텐츠(프로스미러)의 내부구조를 잘 알 수 없음
Estimation에만 의존하고 있음
이때, Estimation에 데이터가 잘못들어오는 경우 시스템 전반적으로 이슈가 발생할 수 있어서 유효성 검증이 필요
어떤식으로 검증할지? 검증 대상과 범위는 어떤건지? 논의 필요
예)
nodeId 가 유니크하지 않고 중복으로 들어간 경우
ProseMirror 내부 데이터와 비교 및 검증
FE / BE 양쪽 유효성 검증 필요 여부
Estimation 과 Estimation Result 구조가 다른지 유효성 검증

[BE / FE] 컨텐츠 & Estimation 유효성 검증 @성민 박 @고준호

이슈 내용
CMS
ProseMirror의 JSON 스키마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
ProseMirror의 컨텐츠에 따라 필수적인 Estimation이 누락된 경우
Estimation 위계가 ProseMirror 위계와 다르게 전달 되는 경우
Estimation / ProseMirror nodeId가 중복된 경우
LMS/B2C 답안 제출
ProseMirror의 컨텐츠 구조에 맞게 필수적인 Estimation Restult가 누락된 경우
Estimation Result 구조가 Estimation 구조와 다르게 전달되는 경우 (논 이슈)
우선 순위 :
영향 범위 : CMS / LMS / B2C
FE
리서치 필요 기간: 이틀 정도
JSON 스키마 정의 SPEC 구체화: json 스키마, protobuf, avro,… 스키마 정의 언어중에 어떤걸로 할 껀지 선택.
H1, H2 계층의 위계 검사(h1,h2 estimation 의 위계가 PM 모델에서와의 위계랑 일치?)
BE
스키마 정의 언어를 통해 뽑힌 타입을 바탕으로 Estimation 검증 가능
node Id 중복 여부
Estimation & Estimation Result 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