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블록 구조도
1.
AC ~ LA 구조 (도식화)
a.
목차가 되는 문서로 사용되면 좋을 듯 ? 정책 허브 느낌
Activity
•
학습할 개념 단위로 묶을 수 있는 콘텐츠
•
액티비티는 H1 Section, H2 Section, Block 등으로 구성되어있음
Activity 구성요소
Activity Snapshot
•
액티비티의 특정 시점(버전)을 저장한 콘텐츠
Section
•
H1 Section (문항번호)
◦
H2 Section 또는 Block 을 담는 단위
•
H2 Section (제목)
◦
H1 Section 하위에 Block 을 담는 단위
◦
H1 Section 없이 생성 불가
Block
•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Estimation
•
제작된 컨텐츠에서 시스템적으로 추적할 대상 및 데이터 정의
•
추척 대상
◦
Activity
◦
H1 / H2 Section
◦
Block
•
추적 데이터
◦
정답 등
Learning Activity
•
실제 특정 학생이 학습하는 컨텐츠
Estimation Result
•
Estimation에서 정의된 추적 대상에 대하여, 학습한 결과 저장
2. Activity 정책 (CMS/MC)
1.
정의 및 특징
2.
액티비티 구성요소
a.
Activty
i.
유형 (일반, 모둠)
b.
Activity Snapshot
i.
정의 및 특징
c.
Section (h1, h2)
i.
정의 및 특징
d.
Block
i.
블록 유형
ii.
유형별 특징
iii.
유형별 유효성 검사 항목
e.
Estimation
i.
3.
액티비티 발행
a.
4.
액티비티 수정 정책
3. Study unit 정책 (CMS/CC) → 추후진행
1.
정의 및 특징
2.
채점 방식
3.
액티비티 세트 → SU로 가져오기
4. Learning Activity 정책 (B2C)
1.
정의 및 특징
2.
Estimtion result
3.
학습 진행 상태
4.
정답 결과
5.
제출 및 결과보기 정책
5. Block mode 정책
1.
정의 및 특징
2.
모드 종류
a.
edit mode
b.
study mode
i.
trial mode
ii.
learning mode
c.
result mode
6. 블록 유형별 정책
1.
정의
2.
모드별 특이사항
7. Estimation 정책
1.
정의 및 특징
2.
Estimation, Estimation result
CCC(LMS)에서의 AC에 대한 정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