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학년별, 점수별로 구분만 가능한 현재 진단고사의 로직을 개선하여, 고객에게 맞춤형 정보 제공 커리큘럼 추천에 대한 신뢰를 주고 학습 계획에 대해서 안내 하고자 합니다.
•
밀당에 처음 들어와서 마주하는 진단고사에서 신뢰를 얻게 된다면 초기 환불률의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문제
1.
진단고사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성적이 오를 것 같은) 기대감을 주지 못하고 (학습 수준/목표/계획)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한다.
2.
학년별, 상품별로 진단고사 로직을 쉽게 개선하거나 변경하지 못한다.
현황
현재 진단고사 진행 로직
각 본부별 의견
각 본부별 의견 요약
B2B 온택트 의견
CX 의견
수학 콘텐츠 의견
고등 수학 온택트
초등, 중등 수학 온택트
영어 콘텐츠
해결 방안
스텝별 계획
1.
학생에게 임팩트 줄 수 있는 리포트 전달 → 11월 목표
2.
상담에 활용하는 리포트를 전달
3.
지속 가능한 리포트로 다양한 활용 가능
[학생에게 임팩트 줄 수 있는 리포트 전달]
1.
리포트 내용 개선
•
디자인의 개선, 해석의 어려운 요소 개선
•
지식 태그 기반의 지식 태그별 문항에 대한 로직이 추가되어 리포트 결과지 노출
리포트 초안 (미확정)
2.
학생에게도 리포트 전달
•
진단고사 시험 이후 바로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함
•
학부모 리포트도 신규 리포트로 전송
3.
학년별 도입 계획 필요
•
커리큘럼의 변경 제작이 먼저 가능한 학년부터 진단고사를 변경하여 단계적 도입 계획 필요
•
개정 교과를 준비중인 고1, 중1 학년에 맞추는 것이 가장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함
4.
리포트 출력 상세 내용
•
목표
•
수준 확인
•
상세 분석 결과 확인
•
분석 결과 확인
◦
지식태그별/ 난이도별
◦
논의 필요
•
추천 커리큘럼 & 지식맵
◦
커리큘럼 이전 학습 / 이후 학습
◦
개수 확인 필요
5.
추가적으로 필요한 학습 로직
•
분류
◦
학년별 / 시기별 /
본부별 회의록
11/13 (수) 영어 온택트 / 콘텐츠
11/14 (목) 수학 온택트 / 콘텐츠
11/15 (금) 영어 온택트
11/18 (월) 영어 온택트 + 콘텐츠 ‘콘텐츠 제작 방향성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