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동 채점

현황 및 히스토리

현재 CMS에서 제공하고 있는 블록 유형으로 제작이 불가능한 콘텐츠가 존재한다. 특히, 초등 교과서의 경우 정적인 입력/선택 문제보다는 직접 그려보는 활동적인 문제들로 구성되어있다. 초등 교과에 존재하는 활동들을 모두 답안 블록으로 제작하기에는 물리적 한계가 존재하기에 위에서 직접 그려서 문제를 푸는 활동들은 대부분 ‘손필기’ 기능을 활용하고 있다.
다만, 손필기를 활용하여 문제를 푼 경우 채점이 되지않아 학생은 본인이 푼 문제에 대한 정오답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초등 교과 참고 이미지

문제 정의

학생
학습 피드백 부족 : 문제를 푼 직후 정오답과 그에 따른 해설을 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며 문제의 정오답을 선생님에게 직접 물어 파악해야한다. 이는 학습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소 중 하나이다.
선생님
시스템에서 관리하지 못하는 학생의 학습결과를 선생님은 부가적으로 기록을 해놓아야한다는 관리 부담감이 생긴다.
또한 대시보드와 같이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 흐름을 쌓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문제들은 쌓이지 않게되기 때문에 선생님은 제한된 정보로만 학습 관리를 해야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수동 채점이 필요한 문제 케이스

1.
손필기를 활용하여 제작된 문제
예시 이미지
2.
서술형 문제와 같이 답안이 명확하지 않아 선생님의 판단을 통해 정오답을 채점해야하는 문제
예시 이미지
3.
대소문자, 띄어쓰기, (기호)와 같이 시스템에서 자동채점이 어려운 영역

솔루션

시스템 관련 정책
1.
어디서, 어떤 단위로 설정해야하는가?
a.
CMS
b.
섹션 / 블록(최소단위)
i.
옵션 설정은 섹션 또는 블록 단위에서만 가능하도록
ii.
→ CMS단에서 설정된 옵션이 무엇인지 알려줘야하나?
2.
수동채점 옵션이 설정되었을 경우 선생님은 어디서, 언제, 어떻게 채점을 해야하는가?
a.
어디서 : 실시간 정규 수업 페이지 / 선생님 화면 or 학생 목록 사이드바 활용
b.
언제
사용 흐름
i.
개별채점, 일괄채점 : 액티비티를 완료한 시점에 선생님은 수동채점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됨
c.
어떻게
i.
1) 학생이 완료한 액티비티를 확인한다.
ii.
2) 해당 액티비티는 수동채점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
iii.
3) 학생별 문제 내용과 제출답안을 확인 후 채점(O,X)을 진행한다.
iv.
1)~3)을 학생수만큼, 액티비티 개수만큼 반복한다
사용성 관련 정책
1.
수동채점 옵션이 설정되었을 경우 학생화면에서는 어떻게 보여져야하는가?
a.
액티비티에 ‘대기중’ 상태가 추가된다.
b.
선생님이 수동채점을 완료했다면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인지시켜준다.
2.
수동채점 옵션과 자동채점 옵션이 함께 있는 액티비티에서는 어떻게 구분해줄까?
a.
문제를 풀기전에도 채점 옵션을 알려줘야하는가? → no : 채점옵션이 다르더라도 학생의 문제풀이 중의 액션에는 변경되는게 없다. 학생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정보로 인지할 것임
b.
제출을 완료한 상태에서의 UI
i.
1안) ‘채점 대기중’이라는 블록 상태를 둔다. (준비중 UI처럼)
ii.
2안) ‘채점 대기중’상태는 섹션단위로 알려준다. (건너뛴 문항 표시처럼)
3.
설정된 옵션을 선생님에게 어떻게 보여줘야하는가?
a.
어떤 액티비티가 수동채점이 필요한지 알려줘야하고 → 액티비티 리스트에서 보여줘야하나?
i.
개별적으로? 아니면 유닛단위로?
b.
그 액티비티에서 어떤 블록이 수동채점인지 알려줘야함
4.
수동채점이 완료되었을 때 학생에게 어떻게 알려줘야하는가?
a.
2-b 참고
1차 개발 범위에서 벗어난 정책
1.
이미 채점이 된 문제를 변경하고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a.
수동채점 옵션이 설정된 것만 수동채점이 가능해야하는가?
b.
자동채점으로 된건데
2.
채점이 불가능한 유형은 ‘활동’ 타입이었는데 채점을 할 수 있게 변경하면 ‘문제’유형으로 변경을 해야하는건지? 액티비티의 속성은 어떻게 되는건지?
3.
채점기준에 대해서 선생님에게 알려주고 싶지는 않을지?
a.
수동 채점 옵션에 채점 기준을 작성할 수 있는 메모(?) 영역을 추가하는 방향
4.
수동채점 완료한 문제에 대해 채점 결과를 변경하고 싶어하지는 않을지?
a.
변경가능 시점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정책을 두어야할 것 같음 → 그 결과가 대시보드, 지식태그 등등에 영향을 주기때문
5.
여러명의 학생을 수동채점해야하는 업무 부담을 어떻게 줄여줄 수 있을까?
일괄채점, 개별채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