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s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여러 옵션이나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입니다.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선택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기능이나 페이지로의 접근을 간편하게 만들어줍니다. Menus는 웹, 모바일 앱,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옵션의 리스트 제공: Menus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을 목록 형태로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 메뉴는 ‘새로 만들기’, ‘열기’, ‘저장하기’ 등 여러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트리거 요소: Menus는 보통 버튼이나 아이콘 등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터치했을 때 활성화되는 트리거 요소에 의해 열립니다. 예를 들어, 햄버거 메뉴 아이콘을 클릭하면 사이드 메뉴가 나타나거나, 드롭다운 화살표를 클릭하면 추가 옵션이 나타납니다.
3. 드롭다운 형태: Menus의 일반적인 형태는 드롭다운 메뉴입니다. 이는 트리거 요소를 클릭하거나 터치했을 때, 아래로 펼쳐지는 방식으로 옵션 목록을 보여줍니다. 드롭다운 메뉴는 단순하면서도 컴팩트한 옵션 제공에 유리합니다.
4. 컨텍스트 메뉴: 사용자가 특정 요소나 영역을 우클릭하거나 길게 누를 때 나타나는 메뉴로, 해당 컨텍스트와 관련된 옵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을 우클릭했을 때 ‘이름 변경’, ‘삭제’, ‘복사’ 등의 옵션이 포함된 메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사이드바 메뉴: 웹사이트나 앱에서 왼쪽이나 오른쪽에 고정되어 있는 사이드바 형태의 메뉴입니다. 이 메뉴는 보통 네비게이션 용도로 사용되며, 다양한 페이지나 섹션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특히, 대시보드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6. 상태 표시와 선택 가능성: Menus는 선택된 항목에 대해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활성화된 옵션을 하이라이트하여 사용자가 현재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상태를 유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7. 아이콘과 텍스트 조합: 메뉴 항목은 단순한 텍스트뿐만 아니라, 아이콘과 결합하여 옵션의 의미를 더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사’ 항목 옆에 복사 아이콘을 배치하면 사용자가 더 쉽게 그 기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8. 메뉴 그룹 및 섹션 구분: 긴 메뉴는 그룹으로 나누어 섹션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관련된 옵션들을 묶어서 볼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더욱 정돈된 느낌을 줍니다. 예를 들어, ‘파일’ 메뉴 안에 ‘저장’, ‘다른 이름으로 저장’ 등을 그룹화할 수 있습니다.
9. 접근성: Menus는 키보드 내비게이션, 스크린 리더 지원 등을 통해 접근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Tab 키를 이용한 메뉴 항목 간 이동이나, 키보드 단축키를 통한 액세스를 지원하면 더 나은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10. 상호작용 애니메이션: 메뉴가 열리거나 닫힐 때 부드러운 전환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드롭다운 메뉴가 스르륵 내려오거나 사이드바 메뉴가 슬라이드로 열리는 효과를 주면 더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11. 모바일 대응성: 모바일 환경에서는 화면 크기가 작기 때문에, Menus는 접히거나, 풀스크린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햄버거 메뉴 아이콘을 이용한 모바일 네비게이션 메뉴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는 화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12. 다단계 메뉴: 하위 메뉴나 서브메뉴를 포함하는 형태로, 사용자가 메뉴에서 세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개인 정보’, ‘알림 설정’, ‘계정’ 등의 하위 메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